국민의힘이 24일 비상대책위원장 인선을 위한 비상 의원총회를 연다. 당초 비대위원장-원내대표 '투톱' 체제로 의견이 모이는 분위기였지만, 권성동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원톱 체제'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막판 진통이 일고 있다.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10시 국회 본관 예결위 회의장에서 의원총회를 진행한다. 김대식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전날 기자들에게 "24일 의총에서 비대위원장이 (이야기가)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앞서 권성동 원내대표는 지난 20일까지 선수별 의견을 취합해 이번 주 초 비대위원장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당시 진행된 재선·3선·4선 의원들의 모임에선 비대위원장과 원내대표 투톱 체제로 가자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3선 의원 회동에서는 구체적으로 권영세·나경원 의원 등을 추천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내에서는 권영세 의원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온 바 있다.그러나 지난 22일 권성동 원내대표가 "많은 의원이 제게 원톱으로 하는 게 좋지 않겠느냐고 개인적으로, 그룹으로도 전달하고 (있다)"고 밝힘에 따라 원톱 체제의 가능성이 거론됐다.선수별 모임에서는 업무 과부하를 고려해 '투톱' 체제로 가는 것이 맞다고 의견을 모은 바 있다. 서지영 원내대변인은 전날 "일부는 원톱 체제로 가자는 의견도 주셨지만 업무의 과부하라든지 또 대외적으로 국민들에게 보여주는 스피커의 역할 이런 것 등을 고려해서 투톱 체제로 가는 것이 좋겠다는 것이 의원님들 다수의 의견"이라고 전했다.일각에선 이미지 쇄신을 위해 친윤석열계가 아닌 인물이 비대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안철
더불어민주당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향해 24일까지 '쌍특검법'(내란 일반특검법·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공포하지 않으면 책임을 묻겠다고 최후통첩을 날린 상황에서, 정부는 이날 국무회의 안건에 특검법을 상정하지 않기로 했다.국무총리비서실·국무조정실은 '쌍특검법'의 공포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 여부를 법정 시한인 내년 1월 1일까지 검토하기로 했다. 올해 마지막 정례 국무회의인 오는 31일 공포안이나 재의요구안을 상정할 것으로 보인다.민주당은 앞서 한 권한대행에게 이날까지 특검법을 공포하지 않으면 사실상 탄핵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윤종군 원내대변인은 전날 의원총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경고성이 아니다. 언제 탄핵안을 내더라도 당내 이견이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민주당은 실제 한 권한대행 탄핵소추안도 마련해뒀다. 탄핵안에는 한 권한대행이 12·3 비상계엄 선포를 위한 국무회의에 참석한 것이 내란 공모에 해당한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진다.민주당이 마음만 먹으면, 한 권한대행 탄핵안을 즉각 발의해 26일 본회의에 보고한 뒤 27일 본회의에서 표결을 실시할 수도 있다.내란 일반특검법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의혹 일체를 특검이 수사토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검 후보자는 대통령이 포함되지 않은 교섭단체와 비교섭단체 중 다수당이 한 명씩 추천하게 돼 있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추천한 특검 후보자 중 한 명을 임명하게 되는 셈이다.김 여사 특검법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명품 가방 수수, 8회 지방선거와 22대 총선 선거 개입, 20대 대선 부정선거, 명태균 관련 사건 등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