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표준지 공시지가 11년 연속 상승…성동구, 강남 압도하고 1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국 6.33% 상승…서울 7.89%로 최고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17년째 땅값 1위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17년째 땅값 1위

국토교통부는 올해 1월 1일 기준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률이 6.33%로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표준지란 공시 대상 토지 3353만 필지 가운데 대표성을 가진 50만 필지를 말한다. 표준지 공시지가는 금융위기 직후이던 2009년을 제외하고 11년 연속 올랐다. 올해 오름폭은 지난해(9.42%)보다 낮은 편이지만 최근 10년 평균(4.78%)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다.
서울 자치구별로는 성동구가 11.16%로 가장 많이 올랐다. 강남구(10.54%)와 동작구(9.22%), 송파구(8.87%), 서초구(8.73%) 등 강남 주요 지역이 뒤를 이었다. 종로구는 4.11%로 서울에서 가장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해 21.93% 급등했던 중구는 4분의 1 수준인 5.06%로 오름폭이 줄었다.

전국 평균 공시지가는 ㎡당 20만3661원을 보였다. 서울은 592만원, 인천 59만원, 부산 58만원, 대구 43만원 등 대도시의 공시지가는 평균과 큰 차이를 나타냈다. 공시가격대별로는 10만원 미만 필지가 58.9%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10만원 이상~100만원 미만 필지는 24.8%, 1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 필지는 15.6%로 조사됐다. 2000만원 이상 필지는 0.2%에 불과했다.
이용 상황별로는 주거용 표준지의 상승률이 7.70%로 전체 평균(6.33%)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업용 표준지는 5.33% 올라 지난해(12.38%)보다 상승률이 둔화됐다.
이번 표준지 공시지가 산정은 지난해 12월 발표한 공시가격 현실화안에 맞춰 진행됐다. 당시 정부는 아파트 등의 시세와 공시가격의 격차를 줄이겠다며 토지의 경우 현실화율 목표를 70%로 제시한 바 있다. 올해 표준지 공시지가의 현실화율은 65.5%로 전년에 비해 0.7%포인트 올랐다. 주거용 표준지의 경우 1.1%포인트 오른 64.8%로 나타났다.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