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發 전세난 경기로 확산…하남 96㎡ 열흘도 안돼 1.7억 올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양주·고양도 며칠새 억대 폭등
계약 당일 5천만원 올려도 거래
계약 당일 5천만원 올려도 거래
서울에서 불붙은 전세가격 상승이 경기도로 번지고 있다. 경기 하남·고양·남양주 등에선 아파트 전셋값이 최근 수천만~수억원씩 뛰고 있다. 치솟는 서울 전셋값을 견디지 못한 세입자들이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경기 지역으로 내몰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하남 교산 등 3기 신도시 청약을 위해 해당 지역으로 이사하는 수요까지 겹쳤다.
전·월세 상한제 등 전세 시장을 인위적으로 규제하는 ‘임대차 3법’의 국회 통과까지 예고돼 있어 전세 시장의 불안은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강동구(0.28%) 송파구(0.23%) 강남구(0.20%) 서초구(0.18%) 등 ‘강남 4구’가 0.2% 안팎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강동구는 새 아파트가 많은 고덕·강일지구의 전셋값이 크게 올랐다. 강남구는 학군 수요가 있는 대치·역삼동 위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강북 인기 지역인 마포구(0.20%) 성동구(0.16%) 등도 강세였다.
특히 경기도 전셋값은 전주와 같은 0.20%의 높은 상승률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3기 신도시 청약 대기수요가 있는 하남시는 0.88% 상승했고, 오는 9월 수인선이 개통하는 수원 권선구는 0.59% 올랐다. 화성시는 동탄신도시 신축 단지들의 전셋값 강세로 0.47% 상승했다. 이외 고양 덕양구(0.28%), 남양주(0.25%) 등도 평균 상승률을 웃돌았다.
서울에서 시작된 전세난이 경기도로 확산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에서는 재건축 2년 실거주 요건이 생기고, 보유세 부담이 커져 반전세·월세 전환이 늘면서 전세 매물 품귀 현상이 나타났다. 한 달 만에 전셋값이 수억원씩 오르는 단지가 잇따르자 세입자들이 경기도로 밀려났고, 수요가 늘어난 경기도 전셋값 역시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얘기다.
남양주 다산동 ‘힐스테이트다산’ 전용 84㎡ 전세는 최근 5억2000만원에 거래됐다. 직전 전세 가격보다 단숨에 1억2000만원 뛰었다. 고양시 덕양구 향동 ‘DMC중흥S클래스 더센트럴’ 전용 59㎡도 지난 19일 4억15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달 3억원대에 거래되던 물건이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다음달은 가을 학기를 앞두고 이사를 많이 하는 여름방학 시즌이어서 추가적인 전셋값 상승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06% 올라 7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보유세 부담을 늘린 ‘7·10 부동산 대책’ 등의 영향으로 전주(0.09%)보다 오름폭은 줄었다. 전주 급등했던 송파구(0.13%→0.06%) 강남구(0.11%→0.06%) 서초구(0.09%→0.06%) 등 강남 지역의 상승폭이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마포구(0.09%) 용산구(0.08%) 성동구(0.05%) 등 ‘마·용·성’ 집값 상승률도 감소했다. 각종 규제가 점차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연수/심은지 기자 sys@hankyung.com
전·월세 상한제 등 전세 시장을 인위적으로 규제하는 ‘임대차 3법’의 국회 통과까지 예고돼 있어 전세 시장의 불안은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 불안 경기도로 확산
23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달 셋째주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은 전주 대비 0.12%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 첫째주 이후 56주 연속 오름세다.서울 강동구(0.28%) 송파구(0.23%) 강남구(0.20%) 서초구(0.18%) 등 ‘강남 4구’가 0.2% 안팎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강동구는 새 아파트가 많은 고덕·강일지구의 전셋값이 크게 올랐다. 강남구는 학군 수요가 있는 대치·역삼동 위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강북 인기 지역인 마포구(0.20%) 성동구(0.16%) 등도 강세였다.
특히 경기도 전셋값은 전주와 같은 0.20%의 높은 상승률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3기 신도시 청약 대기수요가 있는 하남시는 0.88% 상승했고, 오는 9월 수인선이 개통하는 수원 권선구는 0.59% 올랐다. 화성시는 동탄신도시 신축 단지들의 전셋값 강세로 0.47% 상승했다. 이외 고양 덕양구(0.28%), 남양주(0.25%) 등도 평균 상승률을 웃돌았다.
서울에서 시작된 전세난이 경기도로 확산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에서는 재건축 2년 실거주 요건이 생기고, 보유세 부담이 커져 반전세·월세 전환이 늘면서 전세 매물 품귀 현상이 나타났다. 한 달 만에 전셋값이 수억원씩 오르는 단지가 잇따르자 세입자들이 경기도로 밀려났고, 수요가 늘어난 경기도 전셋값 역시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얘기다.
하남, 남양주 등 전셋값 불붙었다
하남시 풍산동 ‘미사강변센트럴자이’ 전용 96㎡는 최근 8억원에 전세 거래됐다. 지난 11일 6억3000만원에 계약서를 쓴 평형으로 열흘도 안 돼 1억7000만원 오른 셈이다. 풍산동 M공인 관계자는 “전셋값 부담 때문에 서울에서 이사오는 사람이 부쩍 늘었다”며 “전세 매물이 없어 계약 당일 호가를 5000만원 이상 올려도 곧바로 거래된다”고 말했다.남양주 다산동 ‘힐스테이트다산’ 전용 84㎡ 전세는 최근 5억2000만원에 거래됐다. 직전 전세 가격보다 단숨에 1억2000만원 뛰었다. 고양시 덕양구 향동 ‘DMC중흥S클래스 더센트럴’ 전용 59㎡도 지난 19일 4억15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달 3억원대에 거래되던 물건이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다음달은 가을 학기를 앞두고 이사를 많이 하는 여름방학 시즌이어서 추가적인 전셋값 상승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06% 올라 7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보유세 부담을 늘린 ‘7·10 부동산 대책’ 등의 영향으로 전주(0.09%)보다 오름폭은 줄었다. 전주 급등했던 송파구(0.13%→0.06%) 강남구(0.11%→0.06%) 서초구(0.09%→0.06%) 등 강남 지역의 상승폭이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마포구(0.09%) 용산구(0.08%) 성동구(0.05%) 등 ‘마·용·성’ 집값 상승률도 감소했다. 각종 규제가 점차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연수/심은지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