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아파트 30% 지방 자산가들이 샀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똘똘한 한채' 쏠림 심화
지난달 양도세 중과 회피 매물
외지인들이 대거 사들여
노원·구로·강서도 거래 급증
"지방에선 전세 살더라도
서울 아파트 사고 싶다" 문의
지난달 양도세 중과 회피 매물
외지인들이 대거 사들여
노원·구로·강서도 거래 급증
"지방에선 전세 살더라도
서울 아파트 사고 싶다" 문의
지난달 서울 강남구의 아파트 거래 3건 중 1건은 서울 외 지역 거주자가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 여력이 있는 지방 자산가들이 지난달 쏟아진 양도소득세 중과 회피 매물을 대거 사들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규제 강화로 ‘똘똘한 한 채’를 선호하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지난 4월 11.2%(87건)에 불과하던 강남구 외지인 매입자 비중은 5월 32.7%(740건)에 이어 6월 31.1%(613건)로 크게 높아졌다. 대치동 K공인 관계자는 “지방에선 계속 가격이 오르는 서울 아파트를 사려고 하고 그중에서도 자금 여력이 있으면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이나 강남 아파트를 갖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강남구 대치·삼성·청담동, 송파구 잠실동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이후에는 인근 개포·역삼·도곡동 등에 지방 매수 수요가 몰리고 있다.
개포동 F공인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되자마자 아파트 시세가 2억~3억원 올랐다”며 “종합부동산세 등 세금 인상을 감당할 수 없는 고령자들이 급매를 내놓는 사례가 있어 자산가들이 매물이 나오길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새 아파트가 대거 들어서는 개포동의 ‘디에이치 아너힐즈’ 전용 84㎡ 아파트값은 지난달 28억3000만원에 거래된 뒤 호가는 30억원에 형성되고 있다. 한강변 아파트에 이어 3.3㎡당 1억원에 육박하고 있는 셈이다.
15억원 초과 아파트 대출 금지와 보유세 부담 증가로 서초구 반포동 등의 중개업소에는 아파트 증여에 대한 문의도 대폭 늘었다. 반포동 S공인 관계자는 “종부세 부담을 대폭 높이는 ‘7·10 부동산 대책’ 이후 증여 관련 문의가 꾸준히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또 경기와 인천 등 수도권 거주자들도 ‘서울 입성’이 낫다고 판단해 아파트를 구매하고 있다. 3기 신도시 등 경기도에서 공급이 늘면 늘수록 경기도 아파트 가치는 떨어지고, 서울은 올라갈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매수세가 몰리면서 지난달 노원구의 아파트 거래량은 5월보다 172%(889건) 증가한 1456건을 기록했다. 구로구와 강서구의 지난달 아파트 거래량도 5월에 비해 각각 125%(487건), 239%(705건) 늘었다. 외지인은 물론 상대적으로 자금력이 부족한 서울 지역 30~40대까지 노원, 구로, 강서구 등 서울 외곽의 저평가 아파트 구매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는 “전국의 유동자금이 안전자산인 서울 부동산 시장으로 쏠리면서 아파트 수요가 늘고 있다”며 “서울과 지방의 집값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
외지인이 강남구 아파트 대거 매입
26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강남구 아파트를 구매한 서울 외 지역 거주자 비율은 31.1%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까지였던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 기한 전에 나온 매물을 지방 자산가들이 대거 구입한 것이다. 강남구 아파트 외지인 매입 비율이 30%를 넘은 건 2006년 통계 작성 이후 2007년 1월, 2018년 7월 등 지금까지 총 네 차례뿐이다.지난 4월 11.2%(87건)에 불과하던 강남구 외지인 매입자 비중은 5월 32.7%(740건)에 이어 6월 31.1%(613건)로 크게 높아졌다. 대치동 K공인 관계자는 “지방에선 계속 가격이 오르는 서울 아파트를 사려고 하고 그중에서도 자금 여력이 있으면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이나 강남 아파트를 갖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강남구 대치·삼성·청담동, 송파구 잠실동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이후에는 인근 개포·역삼·도곡동 등에 지방 매수 수요가 몰리고 있다.
개포동 F공인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되자마자 아파트 시세가 2억~3억원 올랐다”며 “종합부동산세 등 세금 인상을 감당할 수 없는 고령자들이 급매를 내놓는 사례가 있어 자산가들이 매물이 나오길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새 아파트가 대거 들어서는 개포동의 ‘디에이치 아너힐즈’ 전용 84㎡ 아파트값은 지난달 28억3000만원에 거래된 뒤 호가는 30억원에 형성되고 있다. 한강변 아파트에 이어 3.3㎡당 1억원에 육박하고 있는 셈이다.
15억원 초과 아파트 대출 금지와 보유세 부담 증가로 서초구 반포동 등의 중개업소에는 아파트 증여에 대한 문의도 대폭 늘었다. 반포동 S공인 관계자는 “종부세 부담을 대폭 높이는 ‘7·10 부동산 대책’ 이후 증여 관련 문의가 꾸준히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노원, 구로, 강서 지역까지 사들여
노원, 구로, 강서구 등 서울에서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덜한 지역의 외지인 아파트 거래량도 크게 늘었다. 5월 105건이었던 노원구 아파트 외지인 거래량은 지난달 330건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구로구는 109건에서 202건으로, 강서구는 76건에서 200건으로 늘었다. 노원구 중계동 A공인 관계자는 “서울 아파트라면 일단 사두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 지방 거주자가 많다”며 “부산, 대구 등에서 전세로 살면서 서울 집을 사고 싶다는 문의도 많았다”고 말했다.또 경기와 인천 등 수도권 거주자들도 ‘서울 입성’이 낫다고 판단해 아파트를 구매하고 있다. 3기 신도시 등 경기도에서 공급이 늘면 늘수록 경기도 아파트 가치는 떨어지고, 서울은 올라갈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매수세가 몰리면서 지난달 노원구의 아파트 거래량은 5월보다 172%(889건) 증가한 1456건을 기록했다. 구로구와 강서구의 지난달 아파트 거래량도 5월에 비해 각각 125%(487건), 239%(705건) 늘었다. 외지인은 물론 상대적으로 자금력이 부족한 서울 지역 30~40대까지 노원, 구로, 강서구 등 서울 외곽의 저평가 아파트 구매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는 “전국의 유동자금이 안전자산인 서울 부동산 시장으로 쏠리면서 아파트 수요가 늘고 있다”며 “서울과 지방의 집값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