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 가장 긴 우리말 지명은?…9자 '옥낭각씨베짜는바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에서 가장 긴 한글지명은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에 있는 9자 고유어 '옥낭각씨베짜는바위'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지리정보원이 오는 9일 한글날을 맞아 전국의 고시된 지명 약 10만개를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가장 긴 지명은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에 있는 9자로 이루어진 고유어 ‘옥낭각씨베짜는바위’라고 6일 발표했다. 대구 주암산 능선에 있는 이 바위는 바로 앞 가창저수지를 내려다보고 있다. 바위산이 베를 짤 수 있을 정도로 넓어서 옛날 옥낭각시가 베를 짜다 총각에게 쫓겨 하늘로 올라갔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전국 대다수 지명은 고유어와 한자어, 그리고 이 둘의 조합으로 이뤄져 있다. 그중 순우리말로 이루어진 고유어 지명은 1만1771개, 한자어는 4만5961개, 혼합어 지명은 1만7657개다. 고유어 지명 중 ‘새로 마을이 생겼다’다는 의미의 ‘새터’가 가장 많았다. 전국에 273개다. ‘절골(142개)’, ‘새말(110개)’, ‘안골(96개)’, ‘큰골(68개)’, ‘뒷골(66개)’ 등도 많이 쓰였다.
한자어 지명은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뜻의 ‘신촌(新村)’이 263개로 가장 많았다. 혼합어 지명의 대표적인 사례는 점말(店말)이다. ‘점(店)’은 가게, 상점 등을 의미하는 한자로, 고유어인 ‘말(마을)’과 합쳐 만들어졌다.
전국에서 같은 이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산 지명은 ‘남산(南山)’이며 101개가 있다. 봉우리의 경우는 국사봉(國師峰)으로 80개다. 일부 지역에서는 산과 봉우리 구분 없이 모두 산으로 통용되고 있다.
최근 외래어 지명을 사용하는 등 지명을 상품화하고 상업화하려는 경우도 있으나, 여전히 우리의 고유 지명이 지역별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장승’은 돌이나 나무에 사람의 얼굴을 새겨서 마을 어귀나 길가에 세운 푯말로, 이정표 또는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한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 ‘장승’과 관련된 지명은 전국에 39곳이다. 사공호상 국토지리정보원 원장은 “한글날을 맞아 전국의 지명을 유형별로 파악해 본 결과, 한자 문화의 영향으로 고유어 지명보다 한자어 지명이 상대적으로 많았다”며 “국토개발로 인해 사라진 고유 지명의 발굴과 일본식 지명 등을 정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지리정보원이 오는 9일 한글날을 맞아 전국의 고시된 지명 약 10만개를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가장 긴 지명은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에 있는 9자로 이루어진 고유어 ‘옥낭각씨베짜는바위’라고 6일 발표했다. 대구 주암산 능선에 있는 이 바위는 바로 앞 가창저수지를 내려다보고 있다. 바위산이 베를 짤 수 있을 정도로 넓어서 옛날 옥낭각시가 베를 짜다 총각에게 쫓겨 하늘로 올라갔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전국 대다수 지명은 고유어와 한자어, 그리고 이 둘의 조합으로 이뤄져 있다. 그중 순우리말로 이루어진 고유어 지명은 1만1771개, 한자어는 4만5961개, 혼합어 지명은 1만7657개다. 고유어 지명 중 ‘새로 마을이 생겼다’다는 의미의 ‘새터’가 가장 많았다. 전국에 273개다. ‘절골(142개)’, ‘새말(110개)’, ‘안골(96개)’, ‘큰골(68개)’, ‘뒷골(66개)’ 등도 많이 쓰였다.
한자어 지명은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뜻의 ‘신촌(新村)’이 263개로 가장 많았다. 혼합어 지명의 대표적인 사례는 점말(店말)이다. ‘점(店)’은 가게, 상점 등을 의미하는 한자로, 고유어인 ‘말(마을)’과 합쳐 만들어졌다.
전국에서 같은 이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산 지명은 ‘남산(南山)’이며 101개가 있다. 봉우리의 경우는 국사봉(國師峰)으로 80개다. 일부 지역에서는 산과 봉우리 구분 없이 모두 산으로 통용되고 있다.
최근 외래어 지명을 사용하는 등 지명을 상품화하고 상업화하려는 경우도 있으나, 여전히 우리의 고유 지명이 지역별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장승’은 돌이나 나무에 사람의 얼굴을 새겨서 마을 어귀나 길가에 세운 푯말로, 이정표 또는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한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 ‘장승’과 관련된 지명은 전국에 39곳이다. 사공호상 국토지리정보원 원장은 “한글날을 맞아 전국의 지명을 유형별로 파악해 본 결과, 한자 문화의 영향으로 고유어 지명보다 한자어 지명이 상대적으로 많았다”며 “국토개발로 인해 사라진 고유 지명의 발굴과 일본식 지명 등을 정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