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점 모자르니 추첨이라도"…중대형 아파트 인기끄는 이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추첨으로라도 일단 당첨돼야"
청약 치열해…소형 아파트서 갈아타기 사실상 어려워
공급량 줄고 집값 상승
청약 치열해…소형 아파트서 갈아타기 사실상 어려워
공급량 줄고 집값 상승
청약 시장에서 중대형(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규제지역에서 중소형 아파트의 당첨자를 가점으로만 뽑으면서, 그나마 당첨확률이 있는 중대형으로 청약자들이 몰린 결과다.
1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중대형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은 199.6대 1에 달했다. 지난해 경쟁률(38.4대 1)의 5.2배에 이른다. 서울 중대형 아파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2014년만 하더라도 2.8대 1에 그쳤다. 이를 감안하면 6년 새 71배 이상으로 상승한 셈이다.
경쟁률이 치솟은 가장 큰 원인은 '당첨 가능성' 때문이다. 청약시장은 집값 및 전셋값 상승으로 내 집 마련 욕구가 커지면서 경쟁률이 급등했다. 높은 가점대의 예비청약자들이 통장을 사용하고 있는데다, 특별공급의 문턱이 낮아지면서 경쟁률은 더 높아졌다. 소형 아파트에 청약했다가 갈아타기를 하는 것 또한 어려워졌다.
이 와중에 1순위에서 중소형 면적은 대부분 가점으로만 당첨자를 가리는 반면, 중대형은 추첨분이 배정된다. 전용 85㎡를 초과하는 민영주택 기준으로 투기과열지구에서는 공급량의 50%, 조정대상지역은 75%를 각각 추첨을 통해 당첨자를 선정한다. 조금이라도 빨리 내 집 마련을 하려는 수요자들은 중대형으로 몰릴 수 밖에 없게 됐다.
공급이 줄어든 것도 원인이다. 서울에서 중대형 아파트 공급 물량은 2014년 4317가구였지만, 올해에는 3290가구로 감소했다. 전국적으로도 마찬가지다. 2014년 중대형 분양물량은 3만3033가구였지만, 올해에는 1만6190가구로 7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2014∼2016년 3만 가구를 웃돌았지만, 2018년에는 1만9000가구까지 떨어졌다.
공급량이 줄다보니 집값도 뛰었다.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대형 아파트(전용면적 135㎡·41평 초과) 평균 매매가격은 21억777만원으로 처음으로 21억원을 돌파했다. 1년 전(18억6202만 원)과 비교하면 13.2%(2억4575만원) 상승했다. 정부의 초강도 규제에도 서울 대형 아파트 가격은 1년 만에 평균 2억5000만원 가깝게 뛴 것이다.
최근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넓은 실내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점도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 분위기가 확산함에 따라 집의 기능이 일과 학습, 여가까지 소화해야 하는 곳으로 바뀌면서 중대형 면적이 시장의 주목을 받는 것이다.
서울 뿐만 아니다. 올해 중대형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은 세종(153.3대 1)과 경기(116.2대 1)에서 세자릿수를 기록했다. 지난해 보인 경쟁률 대비 각각 2.7배, 3.0배로 상승한 수치다.중대형이 소형 면적보다 더 높은 청약경쟁률을 보이고, 단지내 최고 경쟁률도 중대형이 차지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지난달 경기 하남 감일지구에서 분양한 ‘감일 푸르지오 마크베르’는 1순위 청약에서 평균 404.7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가장 높은 경쟁률은 전용 114㎡A 주택형으로, 99가구 모집에 5만7079명이 몰려 576.5대 1을 보였다.
세종시 1-1생활권 고운동에서 공급된 ‘세종한림풀에버’ 역시 최고 경쟁률은 136㎡에서 나왔다. 2가구를 뽑는데 686명이 청약에 접수해 34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평균경쟁률(153.3대 1)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몇년간 1·2인 가구 증가, 혁신 설계, 높은 환금성 등으로 소형 아파트가 인기를 끌면서 건설사들도 중대형보다 소형 면적 중심으로 단지를 구성하다보니 공급이 부족해졌다"면서 "이제는 중대형 면적이 희소성, 코로나19, 똘똘한 한 채 현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1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중대형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은 199.6대 1에 달했다. 지난해 경쟁률(38.4대 1)의 5.2배에 이른다. 서울 중대형 아파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2014년만 하더라도 2.8대 1에 그쳤다. 이를 감안하면 6년 새 71배 이상으로 상승한 셈이다.
경쟁률이 치솟은 가장 큰 원인은 '당첨 가능성' 때문이다. 청약시장은 집값 및 전셋값 상승으로 내 집 마련 욕구가 커지면서 경쟁률이 급등했다. 높은 가점대의 예비청약자들이 통장을 사용하고 있는데다, 특별공급의 문턱이 낮아지면서 경쟁률은 더 높아졌다. 소형 아파트에 청약했다가 갈아타기를 하는 것 또한 어려워졌다.
이 와중에 1순위에서 중소형 면적은 대부분 가점으로만 당첨자를 가리는 반면, 중대형은 추첨분이 배정된다. 전용 85㎡를 초과하는 민영주택 기준으로 투기과열지구에서는 공급량의 50%, 조정대상지역은 75%를 각각 추첨을 통해 당첨자를 선정한다. 조금이라도 빨리 내 집 마련을 하려는 수요자들은 중대형으로 몰릴 수 밖에 없게 됐다.
공급이 줄어든 것도 원인이다. 서울에서 중대형 아파트 공급 물량은 2014년 4317가구였지만, 올해에는 3290가구로 감소했다. 전국적으로도 마찬가지다. 2014년 중대형 분양물량은 3만3033가구였지만, 올해에는 1만6190가구로 7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2014∼2016년 3만 가구를 웃돌았지만, 2018년에는 1만9000가구까지 떨어졌다.
공급량이 줄다보니 집값도 뛰었다.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대형 아파트(전용면적 135㎡·41평 초과) 평균 매매가격은 21억777만원으로 처음으로 21억원을 돌파했다. 1년 전(18억6202만 원)과 비교하면 13.2%(2억4575만원) 상승했다. 정부의 초강도 규제에도 서울 대형 아파트 가격은 1년 만에 평균 2억5000만원 가깝게 뛴 것이다.
최근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넓은 실내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점도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 분위기가 확산함에 따라 집의 기능이 일과 학습, 여가까지 소화해야 하는 곳으로 바뀌면서 중대형 면적이 시장의 주목을 받는 것이다.
서울 뿐만 아니다. 올해 중대형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은 세종(153.3대 1)과 경기(116.2대 1)에서 세자릿수를 기록했다. 지난해 보인 경쟁률 대비 각각 2.7배, 3.0배로 상승한 수치다.중대형이 소형 면적보다 더 높은 청약경쟁률을 보이고, 단지내 최고 경쟁률도 중대형이 차지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지난달 경기 하남 감일지구에서 분양한 ‘감일 푸르지오 마크베르’는 1순위 청약에서 평균 404.7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가장 높은 경쟁률은 전용 114㎡A 주택형으로, 99가구 모집에 5만7079명이 몰려 576.5대 1을 보였다.
세종시 1-1생활권 고운동에서 공급된 ‘세종한림풀에버’ 역시 최고 경쟁률은 136㎡에서 나왔다. 2가구를 뽑는데 686명이 청약에 접수해 34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평균경쟁률(153.3대 1)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몇년간 1·2인 가구 증가, 혁신 설계, 높은 환금성 등으로 소형 아파트가 인기를 끌면서 건설사들도 중대형보다 소형 면적 중심으로 단지를 구성하다보니 공급이 부족해졌다"면서 "이제는 중대형 면적이 희소성, 코로나19, 똘똘한 한 채 현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