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부동산시장 수요자 10명 가운데 9명은 내년에도 집값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전세가격 또한 더욱 불안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집값 상승의 원인은 정부의 ‘두더지잡기’식 규제로 인한 부작용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집값 더 오른다”

집코노미가 지난 4일부터 17일까지 구독자 등 545명의 대상으로 내년 부동산시장 전망에 대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80%가량은 집값 상승세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전국 기준 아파트가격은 ‘5% 이상 상승한다’는 응답이 43.5%로 가장 많았다. ‘3~5% 상승’(23.1%)과 ‘1~3% 상승’(20.2%)이 뒤를 이었다. ‘보합세’(1~-1%)를 보일 것이란 응답은 7.3%에 그쳤다. 하락을 전망한 응답도 ‘1~3% 하락’ 3.1%, ‘5% 이상 하락’ 2%, ‘3~5% 하락’ 0.7%에 머물렀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서울 아파트값의 경우 90%가량이 상승을 점쳤다. 내년 ‘5% 이상 상승’할 것이란 응답이 56.6%로 절반을 넘었다. ‘3~5% 상승’과 ‘1~3% 상승’을 내다본 의견도 각각 20.9%와 12.9%로 높았다. 수도권 아파트가격은 ‘5% 이상 상승’ 52.6%, ‘3~5% 상승’ 25.9%, ‘1~3% 상승’ 11.6% 순으로 조사됐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지방 부동산시장도 상승 전망이 우세했다. 상승률이 1~3% 수준일 것이란 응답이 25.6%로 가장 높았고, ‘3~5% 상승’(24.5%)과 ‘5% 이상 상승’(21%)이 뒤를 이었다. ‘보합’은 17.3%의 비중을 보여 서울 및 수도권보다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1~3% 하락’(4.6%)과 ‘3~5% 하락’(3.9%), ‘5% 이상 하락’(3.1%) 등 집값이 떨어질 것이란 전망의 비중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내년 전국 부동산시장의 흐름은 상반기와 하반기 모두 상승할 것이란 응답이 44.7%로 가장 많았다. 통상 과세기준일(6월 1일)을 앞두고 보유세 절세 매물이 늘면서 나타났던 ‘상저하고’의 장세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는 의미다. ‘상반기 상승-하반기 보합세’를 보일 것이란 응답이 24.8%로 뒤를 이었다. ‘상반기 하락-하반기 상승’의 응답 비중은 0.6%에 그쳤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설문 참가자들은 올해 전국 아파트가격이 8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원인으로 정부의 규제를 꼽았다. 72.7%(중복응답)가 ‘정부의 두더지잡기식 규제로 인한 풍선효과의 전국 확산’을 지목했다. 집값이 오르는 지역이 생길 때마다 조정대상지역을 추가하는 등 뒷북 정책이 원인이란 지적이다. ‘재개발·재건축 규제로 인한 공급감소’(58.9%)와 ‘양도소득세 중과 등 거래제한으로 인한 핵심지역 희소가치 상승’(57.8%)의 응답률도 높았다. ‘언론 보도 증가로 인한 잠재 수요층의 불안감 확산’이 원인이라고 꼽은 이들의 비중은 24.5%로 나타났다. 정부의 진단과 달리 ‘이전 정부의 부동산 부양책 부작용’이라고 응답한 이들은 10.5%에 불과했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전세 불안 지속” 90%

내년 아파트 전세가격은 더욱 불안해질 것이란 응답이 90%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60.4%가 ‘5%이상 상승’을 전망했다. ‘3~5% 상승’(22.1%)과 ‘1~3% 상승’(11.4%)의 응답 비중도 높았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서울의 경우 내년 전셋값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는 응답자가 95.3%에 달했다. ‘5% 이상 상승’을 내다보는 비중이 71.9%로 가장 높았다. 내년 새 아파트 입주가 올해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상한제가 시행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3~5% 이상 상승’은 17.3%, ‘1~3% 상승’은 6.1%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경우도 94.5%가 전세가격 상승을 전망했다(‘5% 이상 상승’ 63.4%·’3~5% 상승’ 21.9%·’1~3% 상승’ 9.2%).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지방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폭은 서울이나 수도권보단 낮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5% 이상 상승’할 것이란 의견은 34.7%로 다른 지역보다 낮게 나타난 반면 ‘보합세’를 보일 것이란 응답은 12.3%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정부가 불안한 전세가격을 잡기 위해 공공전세 도입 등을 골자로 하는 11·19 대책을 내놨지만 69.3%의 응답자는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과도’하다는 응답도 27%로 나타났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11·19 대책이 임대차시장을 안정화시킬 수 있을지 묻는 설문엔 57.1%가 ‘오히려 더 불안해질 것’이라고 답했다. ‘시장 수요와 동떨어져 아무런 영향도 주지 못할 것’(30.4%)이란 응답이 뒤를 이었다. ‘정책이 본격적으로 작동하는 2022년부터 안정화’를 예상하는 응답은 9.4%로 조사됐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10명 중 8명 “내년 집 사야”

올해 수백대 1의 경쟁률이 쏟아진 서울과 수도권 분양시장은 내년 더욱 불안해질 것이란 응답률이 높았다. 70.8%는 ‘올해는 예고편에 불과할 정도로 당첨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봤다. ‘올해와 비슷하게 핵심 지역에선 세자릿수 경쟁률이 유지될 것’(25.4%)이란 응답이 뒤를 이었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실수요자라면 내년 중 집을 사는 게 좋을지에 대한 설문엔 50.9%가 ‘소득의 범위 안에서 무리한 자금조달이 아니라면 구입하는 게 좋다’고 응답했다. ‘영혼까지 끌어모아서라도 반드시 집을 사야 한다’는 응답은 36.4%를 기록했다. ‘3기 신도시 공급을 기다리는 게 현명하다’고 응답한 이들은 5%에 그쳤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내년 첫 집을 마련한다면 어떤 방식이 가장 좋을지에 대한 물음엔 62.5%가 ‘기약 없는 청약을 기다리느니 일반 아파트를 매입하는 겟 낫다’고 답했다. 반면 ‘민간분양과 공공분양 등 청약시장을 공략한다’는 응답도 34.3%로 나타났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투자 목적으로 무리하게 돈을 끌어모아 집을 사는 것에 대해선 반대하는 의견이 많았다. ‘소득의 범위 안에서 무리한 자금조달이 아니라면 구입하는 게 좋다’는 이들이 61.6%로 가장 많았지만, 15.8%는 ‘지금 사면 물린다’고 답했다. ‘영혼까지 끌어모아서라도 상승장에 올라타야 한다’는 응답은 14%로 실수요자 대상 응답률(36.4%)의 절반 수준을 밑돌았다. ‘보유세 부담이 증가할 예정이기 때문에 오히려 현재 보유한 부동산도 매각해야 한다’는 응답은 8.6%로 조사됐다.
10명 중 9명 "집값 더 오른다…내년엔 집 사야" [집코노미]
내년 부동산 투자처로 가장 유망한 자산은 ‘아파트와 다세대 등 일반 주택’(32.5%)을 가장 많이 꼽았다. ‘신규 분양단지 및 분양권’(19.7%)과 ‘재건축 아파트’(18.2%), ‘재개발 주택’(16%)이 뒤를 이었다. ‘오피스텔’(2%)이나 ‘근린상가 등 상업시설’(2.6%) 등 수익형 부동산을 꼽은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가 침체한 영향이다. 반면 ‘토지시장’을 유망하게 보는 이들은 6.4%로 집계돼 수익형 부동산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