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원룸 아파트도 '15억' 시대…대출금지선 넘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남 입주물량 급감, 집값 상승 영향
삼성동 힐스테이트2차 40㎡ 15.5억
가락동 헬리오시티 39㎡ 13.35억
오는 10월부터는 거래 허가 받아야
삼성동 힐스테이트2차 40㎡ 15.5억
가락동 헬리오시티 39㎡ 13.35억
오는 10월부터는 거래 허가 받아야
서울 강남 일대의 전용면적 30~40㎡대 소형 아파트의 몸값이 15억원을 웃돌고 있다. 1~2인 가구가 주로 거주하는 ‘원룸형 아파트’까지 대출 제한선을 넘어선 것이다. 규제효과도 한 수 거들고 있다. 그동안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빠지면서 실거주 의무가 없었지만, 오는 10월부터는 포함될 예정이다보니 몸값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규제로 ‘똘똘한 한 채’를 원하는 수요가 늘면서 강남권 초소형 아파트에까지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며 “토지거래허가 최소면적 기준 강화를 앞둔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삼성힐스테이트 2단지(926가구)에는 전용 39~41㎡ 초소형 주택형이 146가구 있다. 거실 한 개, 방 한 개, 화장실 한 개 등으로 구성된 원룸형 아파트다. 입주민은 지하철 7호선 청담역, 7호선·분당선 강남구청역, 9호선 삼성중앙역 등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청, 세무서, 보건소, 스타필드 코엑스몰, 현대백화점 등이 가까워 생활이 편리하다. 지하철 2호선 삼성역~9호선 봉은사역 630m 구간에는 지하 6층, 연면적 16만㎡ 규모의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삼성동 A공인 관계자는 “워낙 입지가 좋고 개발 호재가 많아 찾는 사람이 많다”며 “중대형 아파트를 구매하기엔 자금이 부족한 신혼부부나 고소득 1인 가구가 주로 선호한다”고 전했다. 인근 O공인 대표도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이 50% 이하여서 투자비용이 비교적 크다”며 “원룸형 아파트는 주로 임대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들이 많이 찾지만 강남에서만은 실수요자들 진입이 잦다는 게 특징”이라고 말했다. 가락동 헬리오시티 전용 39㎡도 ‘15억 클럽’ 가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7월 13억3500만원에 거래된 뒤 현재 호가는 14억5000만~15억원에 달한다. 인근 H공인 관계자는 “신혼부부들이 단지 매매가와 전세가가 계속 오르니까 더 오르기 전에 사두자는 심리가 강해지고 있다”고 했다. 잠실동 리센츠 전용 27㎡도 6월 11억원에 거래되면서 올 초 최고가(12억2000만원)와 가까워지고 있다.
분양 당시엔 정부 규제를 맞추기 위해 억지로 끼워넣은 이들 소형 아파트들의 인기가 많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강남권 아파트값이 많이 오르면서 덩달아 수요가 커졌다. 재건축 규제 강화로 강남 지역의 주택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서 이같은 분위기는 더욱 강해지고 있다. 특히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 송파구 잠실동 등의 초소형 아파트는 ‘6·17 부동산 대책’의 풍선효과를 누리는 측면도 있다. 이 지역은 6·17 대책 이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서 대지지분이 18㎡ 이상인 아파트는 지방자치단체의 거래허가 대상이 됐다. 초소형 아파트는 대부분 대지지분이 18㎡ 미만인 만큼 허가 없이도 집을 사고팔 수 있다.
다만 오는 10월부터는 거래가 쉽지 않아질 전망이다. 앞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주거지역에서는 6㎡가 넘는 면적의 토지를 거래할 때부터 관청의 허가를 받도록 규제가 강화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잠실 리센츠나 삼성힐스테이트 등 대부분의 강남권 초소형 아파트들이 허가 대상에 포함돼 거래가 까다로워진다. 전세 끼고 집을 사는 ‘갭 투자’도 금지된다.
잠실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중소형 아파트처럼 수요층이 두텁지 않고, 고소득 1인 가구와 신혼부부 수요는 한정된 만큼 투자 가치엔 한계가 있다”며 “거래허가 대상이 되는 10월 이후엔 거래가 뜸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전문가들은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규제로 ‘똘똘한 한 채’를 원하는 수요가 늘면서 강남권 초소형 아파트에까지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며 “토지거래허가 최소면적 기준 강화를 앞둔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원룸형 아파트 15억원 시대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삼성동 삼성힐스테이트 2단지 전용 40㎡는 지난달 중순 15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말 14억8000만원에 거래된 데 이어 이번에 처음으로 15억원대에 진입했다. 이 면적 아파트는 방 1개, 욕실 1개로 구성된 원룸형 아파트다.삼성힐스테이트 2단지(926가구)에는 전용 39~41㎡ 초소형 주택형이 146가구 있다. 거실 한 개, 방 한 개, 화장실 한 개 등으로 구성된 원룸형 아파트다. 입주민은 지하철 7호선 청담역, 7호선·분당선 강남구청역, 9호선 삼성중앙역 등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청, 세무서, 보건소, 스타필드 코엑스몰, 현대백화점 등이 가까워 생활이 편리하다. 지하철 2호선 삼성역~9호선 봉은사역 630m 구간에는 지하 6층, 연면적 16만㎡ 규모의 강남권 광역복합환승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삼성동 A공인 관계자는 “워낙 입지가 좋고 개발 호재가 많아 찾는 사람이 많다”며 “중대형 아파트를 구매하기엔 자금이 부족한 신혼부부나 고소득 1인 가구가 주로 선호한다”고 전했다. 인근 O공인 대표도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이 50% 이하여서 투자비용이 비교적 크다”며 “원룸형 아파트는 주로 임대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들이 많이 찾지만 강남에서만은 실수요자들 진입이 잦다는 게 특징”이라고 말했다. 가락동 헬리오시티 전용 39㎡도 ‘15억 클럽’ 가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7월 13억3500만원에 거래된 뒤 현재 호가는 14억5000만~15억원에 달한다. 인근 H공인 관계자는 “신혼부부들이 단지 매매가와 전세가가 계속 오르니까 더 오르기 전에 사두자는 심리가 강해지고 있다”고 했다. 잠실동 리센츠 전용 27㎡도 6월 11억원에 거래되면서 올 초 최고가(12억2000만원)와 가까워지고 있다.
10월까진 거래 허가지역서도 매매 가능
서울 강남권 전용 27~45㎡ 소형 아파트는 2000년대 중후반 주로 공급됐다. 재건축 단지의 20% 이상을 전용 60㎡ 이하로 짓는 소형 주택 의무비율을 적용받았다. 당시 재건축조합들은 초소형 비중을 늘려 주택 의무비율을 맞췄다. 이런 이유로 삼성힐스테이트 1·2단지(2009년 준공), 역삼동 역삼아이파크(2006년), 리센츠(2008년), 신천동 파크리오(2008년) 등에는 전용 45㎡ 이하 소형 아파트들이 있다.분양 당시엔 정부 규제를 맞추기 위해 억지로 끼워넣은 이들 소형 아파트들의 인기가 많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강남권 아파트값이 많이 오르면서 덩달아 수요가 커졌다. 재건축 규제 강화로 강남 지역의 주택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서 이같은 분위기는 더욱 강해지고 있다. 특히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 송파구 잠실동 등의 초소형 아파트는 ‘6·17 부동산 대책’의 풍선효과를 누리는 측면도 있다. 이 지역은 6·17 대책 이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서 대지지분이 18㎡ 이상인 아파트는 지방자치단체의 거래허가 대상이 됐다. 초소형 아파트는 대부분 대지지분이 18㎡ 미만인 만큼 허가 없이도 집을 사고팔 수 있다.
다만 오는 10월부터는 거래가 쉽지 않아질 전망이다. 앞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주거지역에서는 6㎡가 넘는 면적의 토지를 거래할 때부터 관청의 허가를 받도록 규제가 강화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잠실 리센츠나 삼성힐스테이트 등 대부분의 강남권 초소형 아파트들이 허가 대상에 포함돼 거래가 까다로워진다. 전세 끼고 집을 사는 ‘갭 투자’도 금지된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