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다정동 인근 아파트 전경. 사진=이송렬 기자
세종시 다정동 인근 아파트 전경. 사진=이송렬 기자
"지금은 세종에서 집을 사려는 사람도, 팔려는 사람도 없습니다.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인식이 많은 거죠", "수도 천도론 얘기가 나온 이후 전국에서 투자자들이 몰려왔었죠. 근데 (천도론이) 흐지부지된 이후 투자자들이 많이 떠났습니다. 거의 실수요자들만 남은 상황이에요." (세종시 일대 부동산 공인 중개업소 관계자들)

지난해 전국 아파트값이 대부분 올랐지만 유일하게 된서리를 맞은 곳이 있다. 바로 세종시다. 2020년 42.37% 뛰었지만 지난해에는 0.68% 하락했다. 집값이 가장 많이 치솟았던 지역이 1년 새 가장 오르지 않은 지역으로 돌변한 것이다. 천도론에 몰려왔던 투자자들은 죄다 빠져나갔고, 지난해 중순부터 이어지고 있는 ‘공급 폭탄’이 집값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게 현지에 있는 부동산 중개업소들의 설명이다.

하락 거래 나오는 세종시 아파트

1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정부세종청사 인근 도담동에 있는 '도램마을 14단지(한림풀에버)' 전용 99㎡는 이달 10억7000만원에 매매가 이뤄졌다. 지난해 기록한 신고가(11억8000만원)보다 1억1000만원 내린 수준이다. 인근 단지인 '도램마을 9단지(제일풍경채)' 전용 106㎡도 지난해 11월 12억2000만원에 팔렸는데, 신고가(14억4500만원)보다는 2억2500만원 내린 수준이고 직전 거래 13억2000만원보다는 1억원 떨어졌다.

아름동에 있는 '범지기마을 7단지 호반에코시티' 전용 84㎡는 지난해 11월 5억7500만원에 새주인을 찾았는데 직전 신고가(6억6000만원)보다 8500만원 내렸고, '범지기마을 1단지(한양수자인에듀센텀)' 전용 59㎡는 지난해 12월 4억4000만원에 팔려 신고가(6억원)보단 1억6000만원이 하락했다.
세종시 아파트 전경. 사진=이송렬 기자
세종시 아파트 전경. 사진=이송렬 기자
고운동에 있는 '가락마을9단지(신동아 파밀리에)' 전용 59㎡도 작년 12월 4억5000만원에 거래됐는데 직전 거래(4억6000만원)보다는 1000만원 떨어졌고, 신고가(5억원) 대비로는 5000만원 하락했다. '가락마을 20단지(호반베르디움5차)'도 지난해 11월 6억7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는데, 신고가(6억9800만원)보다 9200만원 내린 가격에 매매 계약이 맺어졌다.

종촌동에 있는 '가재마을12단지' 전용 84㎡도 지난해 12월 7억1500만원에 거래됐는데 올해 신고가(8억5000만원)보다 1억3500만원 내렸고, '가재마을3단지' 전용 108㎡ 역시 지난해 말 7억5000만원에 매매 계약이 맺어져 직전 신고가(8억7000만원)보다 1억2000만원 떨어졌다.

현지에서는 세종시 부동산 시장 침체가 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세종시 어진동에 있는 A 공인 중개 대표는 "세종시 최근 부동산 시장은 조용하다"며 "사려는 실수요자들도 없지만 팔려는 집주인들도 없다"고 평가했다.

"가격 급등에 실수요자들 부담"…늘어나는 '공급'도 부담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세종시 집값은 2020년 42.37% 치솟아 전국에서 나 홀로 급등했다. 같은 해 두 번째로 많이 오른 지역이 대전 유성구(22.58%)였는데 20%포인트가량 차이 난다. 당시 집값 급등의 원인은 '세종 천도론' 때문이었다. 2020년 7월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당시 원내대표)은 "행정수도를 제대로 완성할 것을 제안한다. 국회가 통째로 세종시로 내려가야 한다"며 "적극적인 논의를 통해 청와대와 정부 부처도 모두 이전해야 한다"며 서울에 남아 있는 정부 부처의 세종시 이전을 주장했다. 당시 정부도 "국회에서 여야 공감대를 만들면 추동력이 생길 수 있다"고 말해 천도론을 부채질하기도 했다.

세종시 나성동에 있는 B 공인 중개 관계자는 "천도론 얘기가 나온 이후 인근에 있는 대전부터 전국에 있는 투자자들이 세종을 주목했다"며 "행정 수도가 이전하면 인프라가 구축될 것이라는 기대 심리가 커지면서 집값이 뛰었다"고 했다. 하지만 최근 분위기는 다르다는 게 기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는 "행정 수도 이전에 대한 기대감이 떨어지면서 투자자들이 세종시를 많이 빠져나갔다"며 "투자 수요로 오른 가격을 실수요가 받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다 보니 하락 거래가 나오는 것"이라고 봤다.
세종자이 더 시티 공사현장과 멀리보이는 세종시 아파트들. /  사진=이송렬 기자
세종자이 더 시티 공사현장과 멀리보이는 세종시 아파트들. / 사진=이송렬 기자
이러한 와중에 공급이 늘어난 점도 가격 부진 원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부동산 정보 제공 앱(응용프로그램) 아파트 실거래가에 따르면 2020년 세종시 입주 물량은 4287가구였는데, 지난해엔 7668가구로 3000가구 이상 늘었다. 작년 상반기엔 공급 물량이 1716가구에 불과했지만 하반기에 5952가구가 몰리면서 집값에 영향을 줬다는 게 현지에서의 얘기다.

세종시 아름동에 있는 C 공인 중개 관계자는"지난해 공급 물량이 직전 연도보다 더 많았다는 점도 집값이 부진한 이유 중에 하나"라며 "일부 갈아타기를 하려는 실수요자들이 잔금은 마련해야겠고 기존 살고 있던 집은 안 나가니 울며 겨자 먹기로 기존 집을 싸게 내놓은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물량을 받을 실수요자들은 적은데 공급은 계속되니 매물이 쌓이면서 가격이 내린 것 아니겠느냐"며 "공급 물량이 어느 정도 해소되는 시점에 집값 반등 얘기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귀띔했다.

"2030년까지 계획된 도시, 반등 여력 충분"

세종시는 수요 위축과 공급 증가로 집값이 떨어지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현 상황이 급등에 따른 '일시적인 조정기'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세종시 자체가 2030년까지 개발이 계획된 도시로, 성장 가능성이 남았다는 판단에서다. 지난해 9월 세종시에 국회의사당 분원을 설치하는 국회법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천도론’이 다시 떠오르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고운동에 있는 D 공인 중개 관계자는 "세종시에 사는 실수요자들은 2030년까지 세종시가 계속 개발될 것이라고 보고 집값이 주춤한 현 상황에 대해 '일시적 조정기'로 보고 있다"며 "향후 행정 수도 이전 등이 가시화되면 인근 도시에서 세종으로 이주하는 수요가 있지 않겠냐"며 "길게 보면 결국 집값은 우상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하는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 집값은 지난해 0.68% 떨어져 유일하게 집값이 하락한 지역이 됐다. 작년 5월 셋째 주(17일) 처음으로 0.10% 내려 하락 반전한 이후 등락을 지속하다가 7월 넷째 주(26일)부터 23주 연속 내림세를 유지했다. 지난해 12월 마지막 주(27일)엔 하락 폭이 0.63%에 달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