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이후 갭투자 비중
평택 6.9%·안성 12% 달해
천안 서북구·광주 북구 5%대
전세가 > 매매가 추월하기도
13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지난 7월 이후 이날까지 경기 평택시에선 전체 643건 거래 중 45건(6.9%)이 갭투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실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정보를 분석해 매매 후 전세, 월세 등 임대차 계약이 이뤄지는 거래를 갭투자로 집계한다.
평택에 이어 갭투자 비율이 5% 이상으로 높은 지역으로는 충남 천안 서북구(38건), 경북 구미시(37건), 경기 안성시(35건), 광주 북구(33건) 순이었다.
갭투자는 주로 1억원대 소형 아파트나 도시형 생활주택·오피스텔 등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거래 건수 중 갭투자 비율이 12%가 넘는 안성 지역에서도 매매가 1억원대 소형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 갭투자가 성행하고 있다. 안성시 중리동 동광아파트 전용면적 59㎡는 7월 1억3100여만원에 팔린 뒤 8월 전세보증금 1억4000만원에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 전세금이 매매가보다 1000만원가량 높은 일명 ‘마이너스 갭투자’다.
안성시 공도읍 삼성아파트 전용 59㎡도 지난달 1억8200만원에 거래된 매물이 1주일 후 전세보증금 1억8000만원을 내는 세입자를 들였다. 통상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90%를 넘으면 ‘깡통전세’를 우려할 수준으로 보는데 이 물건은 전세가율이 98%에 이른다.
수도권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집값이 낮은 지방 도시에서도 갭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경북 구미시 구평동 부영 7단지 전용 59㎡는 7월 1억3000만원에 팔린 뒤 1억4700만원에 전세 계약을 맺었다. 집값 대부분을 전세보증금으로 충당하는 갭투자는 요즘같이 매매·전세 가격이 동반 약세를 보일 때는 ‘깡통전세’를 일으키는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집주인이 새로운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면 기존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달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사고금액은 1089억원(511건)으로, 월간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013년 9월 처음 출시된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은 집주인이 전세계약 기간 만료 후에도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면 HUG가 대신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사고금액은 2018년 792억원, 2019년 3442억원, 2020년 4682억원, 작년 5790억원 등으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HUG 관계자는 “매매가보다 전셋값이 높은 임대차계약은 전세보증금반환보증에 가입할 수 없다”며 “계약 전에 주변 시세를 꼼꼼히 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