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세종시를 뺀 지방의 부동산 규제를 오는 26일부터 전면 해제키로 한 가운데 9월 셋째주 전국 아파트 가격은 2012년 이후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사진은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부산 연제구와 동래구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정부가 세종시를 뺀 지방의 부동산 규제를 오는 26일부터 전면 해제키로 한 가운데 9월 셋째주 전국 아파트 가격은 2012년 이후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사진은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부산 연제구와 동래구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정부가 세종을 제외한 지방 전체를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한 가운데 전국 아파트 가격 낙폭은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17주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이번 조사는 정부의 규제지역 해제 직전에 이뤄졌다. 전문가들은 미국발 3연속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에 따른 추가 금리 인상 우려가 규제 완화 효과를 압도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 17주 연속 하락

2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셋째주(19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9% 떨어졌다. 이는 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주간 변동률로는 가장 큰 폭이다.

서울 집값, 17주째 하락…지방 하락폭 더 커져
전국 모든 지역의 내림폭이 커졌다. 서울은 0.17% 떨어져 17주째 하락세를 보였다. 낙폭도 전주(-0.16%)보다 확대됐다. 구별로는 도봉구(-0.31%)의 하락폭이 가장 컸다. 노원구(-0.28%), 종로·중·서대문구(-0.25%)가 뒤를 이었다. ‘강남3구’ 중 송파구도 0.22% 내려 -0.2%대 변동률을 나타냈다. 서초구(-0.07%), 강남구(-0.10%) 등도 다른 지역보다 낙폭은 작지만 매수세 위축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수도권은 -0.23%로 전주(-0.20%)보다 내림폭이 커졌다. 경기(-0.25%)도 하향곡선이 가팔라졌다. 인천은 전주와 같은 -0.29%의 가격 변동률을 보였다. 인천 연수구(-0.36%)는 송도신도시에서 매물이 쌓이면서 하락 거래가 쏟아지고 있다. 경기 지역에선 수원 영통구(-0.44%), 양주(-0.39%)의 입주 물량 영향으로 매물 적체가 늘고 있다. 화성(-0.42%)은 동탄신도시에서, 광명(-0.41%)은 소하·철산동 등에서 급매가 나온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추가 금리 인상 우려와 주택 가격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인식이 짙어지며 매수 문의가 급감했다”며 “주요 단지 위주로 매물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금리 추가 인상 우려에 거래절벽 지속”

이번 규제지역 해제의 최대 수혜 대상으로 꼽히는 지방 아파트값은 0.15% 떨어지며 전주(-0.13%)보다 하락폭이 컸다. 지방 광역시는 -0.18%에서 -0.22%로, 8개 도는 -0.07%에서 -0.08%로 내림폭이 확대됐다.

전날 국토교통부는 주거정책심의위원회를 열어 세종을 제외한 모든 지방 광역시·도의 조정대상지역 지정을 해제했다. 수도권에선 안성·평택·동두천·양주·파주 등 경기도 접경 지역 일부만 조정대상지역에서 벗어났다.

이번 통계는 정부의 규제지역 해제 발표 전에 조사가 이뤄져 효과를 가늠하기 어렵다. 하지만 정부의 규제 완화에 따른 기대보다는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서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이로 인해 수도권뿐 아니라 지방 부동산도 한동안 약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미국 중앙은행(Fed)이 자이언트스텝을 세 차례나 단행하면서 다음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도 당연한 수순으로 여겨진다”며 “규제 해제 지역에서 급매물 일부는 소화될 수 있지만 시장 전체로 볼 때 거래절벽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달뿐 아니라 11월 예정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회의에서도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다는 게 시장의 관측이다. 이 경우 현재 5대 시중은행 변동금리 기준 연 4.4~6.4% 선인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추가로 가파르게 오를 수밖에 없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저평가 지역, 비규제지역 투자도 부동산 호황기에 주로 이뤄진다”며 “지금처럼 주택담보대출 시장금리가 1년 새 두 배 이상 뛴 상황에선 그 압박감을 이겨내고 매수에 나서는 수요자를 찾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