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서울 마포구 연남동 경의선 숲길 주변이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지난해 이후 자신들만의 문화를 추구하는 젊은 층의 발길이 이어지면서 마포구 동교·연남동과 성동구 뚝섬역 일대 상권이 활기를 띠고 있다. 김병언 기자
29일 서울 마포구 연남동 경의선 숲길 주변이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지난해 이후 자신들만의 문화를 추구하는 젊은 층의 발길이 이어지면서 마포구 동교·연남동과 성동구 뚝섬역 일대 상권이 활기를 띠고 있다. 김병언 기자
“뚝섬과 성수동 주변을 한 달에 네 번 이상 찾습니다. 공장 인테리어 등 복고 풍 가게 분위기가 마음에 들어 항상 이 곳에서 약속을 잡습니다.” (서울 강북 에 직장을 둔 20대 회사원 김모씨)

서울 마포구 동교·연남동(경의선 숲 길 상권)과 성동구 뚝섬역 인근 상권이 나홀로 호황을 이어가고 있다. 이들 상 권은 코로나 사태를 겪으며 침체한 강 남대로, 명동 등 서울 주요 상권과 달리 임대료가 오히려 상승하고 있다. 이들 상권에는 ‘힙스터(자기만의 고유문화를 추구하는 젊은 층)’가 열광하는 랜드마 크 상가가 즐비하다. 그들만의 문화를 찾는 젊은 층의 발길이 이어지면서 상권 분위기를 가늠하는 지표인 공실률이 사 실상 ‘제로(0)’ 수준이라는 평가다.

○자연공실률(5%) 밑돌아

힙스터 몰리니…연남·뚝섬 상권 '불황 무풍지대'
2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4 분기 기준 동교·연남동과 뚝섬 일대 중 대형 상가(일반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 330㎡ 초과 상가) 공실률은 각각 0.9%, 2.6%로 집계됐다. 전국(13.2%)과 서울 (9.1%) 평균 공실률을 크게 밑돌 뿐 아 니라 업계가 통상 자연공실률(임대차 계약 만료와 이전 등으로 생기는 공실 률)로 삼는 5%에도 못 미친다. 예비 임 차인이 상권 진입을 위해 대기하는 수 준이라는 얘기다.

현지 중개업소는 이들 지역이 코로 나 시기를 겪으며 오히려 상권이 활기 를 띠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동교·연 남동 일대는 1년 전보다 월 임대료가 50% 이상 올랐다. 동교동 B공인 관계 자는 “임대료가 3.3㎡당 평균 40만원 정도”라며 “1년 전엔 전용면적 33㎡ 상가 월 임대료가 250만원 안팎이었는데 지금은 400만원가량”이라고 말했다.

권리금도 높게 형성돼 있다. 연남동 C 공인 관계자는 “경의선 숲길 쪽은 권리 금이 2억~3억원 선”이라며 “그동안 권 리금이 없다시피 했던 골목 안쪽도 최 근 7000만원에 거래됐다”고 설명했다.

뚝섬역 인근도 마찬가지다. 이 지역 D공인 관계자는 “1층 매물은 거의 없다 고 봐야 한다”며 “전용 33㎡ 권리금은 1억원 수준이었는데 작년 10월엔 1억 5000만원을 주고 카페가 들어섰다”고 말했다.

두 상권은 비주류를 추구하는 ‘힙스 터’가 모이는 공간이라는 게 공통점이 다. 연남·동교동 상권은 마포구 동진시 장부터 시작해 경의선 숲길까지 이어진 상권이다. 20~40대 젊은 사장들이 임 대료가 저렴한 주택가 상권에서 맛집 뿐 아니라 인테리어 소품점, 의류 편집 숍 등 자신만의 개성이 담긴 가게를 내 고 있다.

뚝섬 상권에는 팝업스토어(붐비는 장소와 시간에만 여는 임시 매장)가 속 속 등장한다. 옛것과 새것이 어우러진 ‘뉴트로’ 감성을 자극하는 상가도 발길 을 이끈다. 1970년대 정미소를 개조한 갤러리카페 ‘대림창고’와 물류창고를 리모델링한 복합공간 ‘성수연방’ 등이 대표적이다.

○기존 투자 공식 깬 신흥 상권

연남·동교동과 뚝섬 상권은 기존 상권 의 성장 공식을 따르지 않는다. 기존 상 권이 주거단지, 오피스, 역세권 등 배후 수요를 기반으로 성장하는 것과 달리 소셜미디어를 통해 입소문이 나면서 점처럼 퍼져가는 상권이다. 김종율 보 보스부동산연구소 대표는 “이 지역은 레트로 감성을 타고 젊은 층이 찾아가 는 상권”이라며 “상권이 얼마나 확장될 지는 예측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트렌드와 결합해 급성장한 상권인 만큼 위험 요인도 있다는 지적이다. 대표적인 게 젠트리피케이션 (낙후한 도심이 번성해 임대료가 오르 면 원주민이 내몰리는 현상)이다. 고준 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가로수 길, 경리단길 등도 처음엔 토종 맛집을 중심으로 유동 인구가 늘었는데 차츰 프랜차이즈가 들어서면서 특색을 잃었 다”며 “상권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좋은 식음료와 다양한 문화 콘텐츠가 유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이들 상권은 소규모 점포가 많아 임대료 상 승률이 비교적 높지 않다”며 “한동안 상권 인기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심은지/최해련/조봉민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