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평 새 아파트가 4억도 안 된다고?"…청년들 몰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석열 정부 첫 공공분양주택 사전청약
뉴홈 특공에 1.5만명 몰려
첫 청년 특공, 경쟁률만 52 대 1
뉴홈 특공에 1.5만명 몰려
첫 청년 특공, 경쟁률만 52 대 1
윤석열 정부의 첫 공공분양주택 브랜드인 뉴홈의 사전청약 특별공급 경쟁률이 11대 1을 기록했다. 이번에 처음 도입한 미혼 청년 특별공급 경쟁률은 50대 1을 넘어섰다.
국토부는 뉴홈의 첫 사전청약 공급지인 고양창릉·양정역세권·남양주진접2에서 특별공급 청약 신청을 받은 결과 1381가구 공급에 총 1만5353명이 신청했다고 12일 발표했다. 특히 시세의 70% 이하 가격으로 분양하는 나눔형 공공주택에 대한 관심이 컸다. 고양창릉(887가구)은 17.7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는데, 유형별로 보면 청년 특공 경쟁률이 52.5 대 1로 가장 높았다. 신혼부부는 9.7 대 1, 생애최초는 10.2 대 1로 집계됐다. 청년의 경우 전용면적 기준 59㎡에 가장 많은 인원이 몰려 추정 분양가 3억9778만원인 고양창릉의 59㎡ 특공만 놓고 보면 경쟁률이 64 대 1로 더 높다.
역시 나눔형인 남양주 양정역세권(549가구) 특공 경쟁률은 5대 1로 나타났다. 청년 11.3 대 1, 신혼부부 3.3 대 1, 생애최초는 4.1 대 1의 경쟁률로 마감됐다. 평형별로는 추정분양가가 4억2831만원인 전용면적 84㎡가 6.7 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해 시세의 80% 수준으로 공급하는 일반형 공공분양인 남양주진접2는 특공 경쟁률이 3.4 대 1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평형별로는 추정 분양가가 3억3748만원인 전용면적 59㎡의 경쟁률이 3.9 대 1로 높았다.
고양창릉·양정역세권·남양주진접2의 사전청약 일반공급 접수는 이달 13∼17일 진행된다. 고양창릉·양정역세권·남양주진접2는 다음 달 30일 청약통장 적정 여부 확인 등을 통해 당첨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후 소득·무주택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추가로 심사해 당첨자를 최종 확정한다.
박재순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뉴홈은 미래 세대인 청년층과 무주택 서민의 주거희망 복원을 위해 마련된 대책"이라며 "이번 특공 결과에서 국민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국토부는 뉴홈의 첫 사전청약 공급지인 고양창릉·양정역세권·남양주진접2에서 특별공급 청약 신청을 받은 결과 1381가구 공급에 총 1만5353명이 신청했다고 12일 발표했다. 특히 시세의 70% 이하 가격으로 분양하는 나눔형 공공주택에 대한 관심이 컸다. 고양창릉(887가구)은 17.7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는데, 유형별로 보면 청년 특공 경쟁률이 52.5 대 1로 가장 높았다. 신혼부부는 9.7 대 1, 생애최초는 10.2 대 1로 집계됐다. 청년의 경우 전용면적 기준 59㎡에 가장 많은 인원이 몰려 추정 분양가 3억9778만원인 고양창릉의 59㎡ 특공만 놓고 보면 경쟁률이 64 대 1로 더 높다.
역시 나눔형인 남양주 양정역세권(549가구) 특공 경쟁률은 5대 1로 나타났다. 청년 11.3 대 1, 신혼부부 3.3 대 1, 생애최초는 4.1 대 1의 경쟁률로 마감됐다. 평형별로는 추정분양가가 4억2831만원인 전용면적 84㎡가 6.7 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해 시세의 80% 수준으로 공급하는 일반형 공공분양인 남양주진접2는 특공 경쟁률이 3.4 대 1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평형별로는 추정 분양가가 3억3748만원인 전용면적 59㎡의 경쟁률이 3.9 대 1로 높았다.
고양창릉·양정역세권·남양주진접2의 사전청약 일반공급 접수는 이달 13∼17일 진행된다. 고양창릉·양정역세권·남양주진접2는 다음 달 30일 청약통장 적정 여부 확인 등을 통해 당첨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후 소득·무주택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추가로 심사해 당첨자를 최종 확정한다.
박재순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뉴홈은 미래 세대인 청년층과 무주택 서민의 주거희망 복원을 위해 마련된 대책"이라며 "이번 특공 결과에서 국민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