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청은 "문제 없다"는데…공무원들 돈 들여 라돈 저감 공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무원임대 개포상록 입주민
"자체 측정서 라돈 기준치 넘어"
일부 가구, 수백만원에 추가 시공
시공사·구청 "공인검사서 안전"
공무원들간 '저감조치' 민원 촌극
"자체 측정서 라돈 기준치 넘어"
일부 가구, 수백만원에 추가 시공
시공사·구청 "공인검사서 안전"
공무원들간 '저감조치' 민원 촌극
서울 강남 금싸라기 땅에 지어진 공무원임대아파트에 입주한 공무원들이 ‘라돈 논란’에 술렁이고 있다. 자체 측정 결과 일부 가구에서 라돈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됐기 때문이다. 구와 시공사의 공인 검사에서는 안전하다는 결론이 나왔지만 불안해하는 입주민이 늘면서 공무원이 공무원에게 민원을 쏟아내는 촌극이 벌어졌다.
2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일원동 개포상록스타힐스(사진) 입주 공무원들은 최근 강남구와 공무원연금공단, 시공사에 ‘가구 내 라돈 저감 조치를 해달라’는 민원을 제기했다. 입주민들이 직접 검사를 의뢰한 결과, 실내 라돈 검출량이 법정 기준치인 200㏃/㎡를 넘었다는 것이다.
한 입주민은 “최근 업체를 불러 라돈을 측정했는데, 최대 400㏃/㎡가 나왔다. 단지 안에서는 500㏃/㎡ 넘게 측정된 가구도 있다”고 전했다. 입주민들은 아예 실내 라돈 수치를 낮춰준다는 ‘라돈 저감 시공’ 업체를 수소문해 많게는 수백만원에 달하는 추가 시공을 하기도 했다.
단지는 공무원 임대아파트 역할을 해온 개포9단지(690가구)를 재건축한 1829가구 규모 신축 아파트다. 작년 11월 입주를 시작했는데 1급 발암물질이 나온다는 소문에 일부 입주민은 ‘민원 폭탄’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실태조사에 나선 구와 시공사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환경부 등록 라돈 측정 회사에 여러 차례 검사를 맡겼는데, 모두 안전하다는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시공사 관계자는 “민원이 계속되고 강남구에서도 검사를 권고해 측정을 의뢰했는데, 권고기준치보다 낮게 나왔다”며 “정확한 방법에 따라 검사를 진행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구도 일부 입주민이 직접 측정하거나 사설 업체를 통해 측정한 결과는 조건과 환경이 달라 신뢰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강남구 관계자는 “지난해 민원을 받고 시공사에 개선 권고를 내렸는데, 재측정에서도 기준치 이하가 검출됐다”며 “부정확한 시험 결과로 주민들이 불안해해 인증 기관에 검사를 다시 의뢰하는 방법을 권고했다”고 말했다.
단지가 사업승인을 받을 때와 현재의 라돈 기준치가 달라진 점이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공동주택의 라돈 기준은 2019년 7월 1일 사업계획을 승인받은 단지부터 기존 200㏃/㎡에서 148㏃/㎡로 강화됐다. 바뀌기 전 사업승인을 받은 이 단지는 지난해 공인 측정 결과, 최고 179.2㏃/㎡의 라돈이 검출됐다. 강화된 규정에 따르면 권고기준치를 넘긴 수치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
2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일원동 개포상록스타힐스(사진) 입주 공무원들은 최근 강남구와 공무원연금공단, 시공사에 ‘가구 내 라돈 저감 조치를 해달라’는 민원을 제기했다. 입주민들이 직접 검사를 의뢰한 결과, 실내 라돈 검출량이 법정 기준치인 200㏃/㎡를 넘었다는 것이다.
한 입주민은 “최근 업체를 불러 라돈을 측정했는데, 최대 400㏃/㎡가 나왔다. 단지 안에서는 500㏃/㎡ 넘게 측정된 가구도 있다”고 전했다. 입주민들은 아예 실내 라돈 수치를 낮춰준다는 ‘라돈 저감 시공’ 업체를 수소문해 많게는 수백만원에 달하는 추가 시공을 하기도 했다.
단지는 공무원 임대아파트 역할을 해온 개포9단지(690가구)를 재건축한 1829가구 규모 신축 아파트다. 작년 11월 입주를 시작했는데 1급 발암물질이 나온다는 소문에 일부 입주민은 ‘민원 폭탄’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실태조사에 나선 구와 시공사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환경부 등록 라돈 측정 회사에 여러 차례 검사를 맡겼는데, 모두 안전하다는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시공사 관계자는 “민원이 계속되고 강남구에서도 검사를 권고해 측정을 의뢰했는데, 권고기준치보다 낮게 나왔다”며 “정확한 방법에 따라 검사를 진행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구도 일부 입주민이 직접 측정하거나 사설 업체를 통해 측정한 결과는 조건과 환경이 달라 신뢰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강남구 관계자는 “지난해 민원을 받고 시공사에 개선 권고를 내렸는데, 재측정에서도 기준치 이하가 검출됐다”며 “부정확한 시험 결과로 주민들이 불안해해 인증 기관에 검사를 다시 의뢰하는 방법을 권고했다”고 말했다.
단지가 사업승인을 받을 때와 현재의 라돈 기준치가 달라진 점이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공동주택의 라돈 기준은 2019년 7월 1일 사업계획을 승인받은 단지부터 기존 200㏃/㎡에서 148㏃/㎡로 강화됐다. 바뀌기 전 사업승인을 받은 이 단지는 지난해 공인 측정 결과, 최고 179.2㏃/㎡의 라돈이 검출됐다. 강화된 규정에 따르면 권고기준치를 넘긴 수치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