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 가장 싸다"…분양가 뛰어도 '청약 흥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지방 대도시 완판 행진
'청량리 하이루체' 242대 1
부산 '대연 디아이엘' 15대 1
'분양가 6억 이하' 신축은 급감
2021년 90%→올 상반기 72%
'9억~15억원' 비중은 5%P 증가
'청량리 하이루체' 242대 1
부산 '대연 디아이엘' 15대 1
'분양가 6억 이하' 신축은 급감
2021년 90%→올 상반기 72%
'9억~15억원' 비중은 5%P 증가
분양가 상승세에도 최근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의 주요 단지가 잇달아 청약 흥행에 성공하고 있다. 원자재값 인상과 인건비 부담 등으로 분양 가격이 갈수록 오를 것이란 관측이 많아지자 수요자가 앞다퉈 청약시장에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추첨제 물량 증가와 전매제한 완화 등으로 청약 문턱이 낮아진 영향도 적지 않다.
고금리, 고물가, 공사비 인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분양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분양가 6억~9억원 아파트는 2년 전 7.1%에 불과했지만, 올해 들어 19.3%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9억~15억원 아파트는 2.3%에서 7.9%로, 15억원 초과 단지는 0.1%에서 0.8%로 늘었다.
민간분양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올해 1908만원으로, 2021년(1467만원)과 2022년(1729만원)에 이어 가파르게 상승했다. 월별 기준으로는 이달 2101만원을 기록해 3.3㎡당 2000만원을 돌파했다.
분양가 상승 폭이 큰 구간은 9억~15억원 아파트로, 3.3㎡당 평균 분양가가 277만원(작년 2651만원→올해 2928만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억원 초과는 165만원(2989만원→3154만원), 6억~9억원은 162만원(2159만원→2321만원), 6억원 이하는 53만원(1423만원→1476만원) 늘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분양가 상승 폭이 큰 9억~15억원 아파트는 주로 서울 등 수도권에 몰려 있다”며 “가격 부담을 상쇄할 만큼 규모가 크고 역세권 등 입지가 좋은 아파트에 청약이 몰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11일 1순위 청약을 진행한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청량리 롯데캐슬 하이루체’는 88가구 모집에 2만1322명이 몰렸다. 평균 경쟁률이 242.3 대 1로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 중 가장 높았다. 분양가는 3.3㎡당 3300만원이다.
같은 날 1순위 청약을 받은 부산 남구 대연동 ‘대연 디아이엘’도 1206가구 모집에 1만8837명이 청약통장을 써 1순위 평균 경쟁률이 15.6 대 1을 기록했다. 분양가가 3.3㎡당 2300만원으로 인근 시세보다 높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청약에서 선전한 셈이다.
올 들어 분양 물량이 줄어든 것도 새 아파트 청약 경쟁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발표한 5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 1~5월 주택 인허가와 착공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4.6%, 47.9% 줄었다. 3~4년 뒤 입주 아파트 부족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소득과 자산 수준이 낮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공공분양 사전청약에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윤수민 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수요자가 향후 분양가가 떨어지기 힘들다는 데 공감하고 있는 데다 수도권에서는 당분간 공급이 줄어들 가능성이 작지 않다”며 “대규모 재건축 단지와 공공분양 사전 청약 등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소현/심은지 기자 alpha@hankyung.com
○분양가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 ‘뚝’
공사비 인상 여파로 분양가 6억원 이하인 민간분양 아파트는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1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 1월부터 지난 11일까지 청약 접수가 끝난 민간분양 아파트 3만3925가구 중 분양가 6억원 이하 아파트는 72.0%인 2만4412가구로 집계됐다. 6억원 이하 아파트 가구 비중은 2년 전인 2021년 90.5%보다 18.5%포인트 줄었다.고금리, 고물가, 공사비 인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분양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분양가 6억~9억원 아파트는 2년 전 7.1%에 불과했지만, 올해 들어 19.3%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9억~15억원 아파트는 2.3%에서 7.9%로, 15억원 초과 단지는 0.1%에서 0.8%로 늘었다.
민간분양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올해 1908만원으로, 2021년(1467만원)과 2022년(1729만원)에 이어 가파르게 상승했다. 월별 기준으로는 이달 2101만원을 기록해 3.3㎡당 2000만원을 돌파했다.
분양가 상승 폭이 큰 구간은 9억~15억원 아파트로, 3.3㎡당 평균 분양가가 277만원(작년 2651만원→올해 2928만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억원 초과는 165만원(2989만원→3154만원), 6억~9억원은 162만원(2159만원→2321만원), 6억원 이하는 53만원(1423만원→1476만원) 늘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분양가 상승 폭이 큰 9억~15억원 아파트는 주로 서울 등 수도권에 몰려 있다”며 “가격 부담을 상쇄할 만큼 규모가 크고 역세권 등 입지가 좋은 아파트에 청약이 몰릴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과 지방 ‘청약 흥행’
분양가 상승 추세 속에 최근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를 중심으로 청약 경쟁률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 분양가가 상대적으로 싸다’는 인식이 확산한 데다 추첨제 물량이 늘어나고 전매제한도 완화한 게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다.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11일 1순위 청약을 진행한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청량리 롯데캐슬 하이루체’는 88가구 모집에 2만1322명이 몰렸다. 평균 경쟁률이 242.3 대 1로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 중 가장 높았다. 분양가는 3.3㎡당 3300만원이다.
같은 날 1순위 청약을 받은 부산 남구 대연동 ‘대연 디아이엘’도 1206가구 모집에 1만8837명이 청약통장을 써 1순위 평균 경쟁률이 15.6 대 1을 기록했다. 분양가가 3.3㎡당 2300만원으로 인근 시세보다 높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청약에서 선전한 셈이다.
올 들어 분양 물량이 줄어든 것도 새 아파트 청약 경쟁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발표한 5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 1~5월 주택 인허가와 착공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4.6%, 47.9% 줄었다. 3~4년 뒤 입주 아파트 부족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소득과 자산 수준이 낮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공공분양 사전청약에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윤수민 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수요자가 향후 분양가가 떨어지기 힘들다는 데 공감하고 있는 데다 수도권에서는 당분간 공급이 줄어들 가능성이 작지 않다”며 “대규모 재건축 단지와 공공분양 사전 청약 등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소현/심은지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