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비즈니스 안옥희 기자입니다.
[한경ESG] 케이스 스터디 - 호텔신라(본문)‘맛있는 제주 만들기’(맛제주)는 호텔이 보유한 조리법, 서비스 교육 등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시설과 내부 인테리어 등을 개선해 영세 식당의 자립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제주에서 별도 조리사 없이 소규모 음식점을 운영하는 영세 자영업자들이 대상이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공들이는 상생 프로그램 중 하나다.‘20년 경력의 베테랑’ 박영준 제주신라호텔 메인 셰프가 10년째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다. 박 셰프는 제주를 대표하는 식재료를 활용해 특별한 메뉴를 개발한다. 메뉴는 한식부터 양식, 중식, 분식까지 다양하다. 언뜻 외식사업가 백종원 씨가 골목상권을 살리고 영세 자영업자를 돕는 TV 프로그램 〈백종원의 골목식당〉과 취지가 비슷해 보이지만, 원조는 호텔신라다.‘위기의 자영업자’ 문제에 주목맛제주의 시작은 201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호텔신라가 제주에서 신라호텔과 면세점을 운영하면서 지역 주민에게 받은 사랑을 지역사회에 환원할 방법을 고민하던 중 자영업자 문제에 주목하게 됐다. 박 셰프는 “맛제주 기획 당시 자영업자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하고 있었는데, 특히 음식점업 폐업 자영업자가 94%로 압도적으로 높았다”고 설명했다.음식점업은 진입장벽이 낮아 사전에 준비 없이 개업해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가 많았다. 박 셰프를 비롯한 호텔신라 직원들은 “식음(F&B) 부문에 강점이 있는 호텔신라의 업(業)을 살려 영세 자영업자의 재기를 돕고 제주 관광지의 음식 문화 경쟁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보자”고 의기투합했다. 그렇게 10년에 걸친 동행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한경ESG] 케이스 스터디-LG화학 기후변화라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 속에서 산업적·기술적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글로벌 전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유럽연합(EU)은 핵심원자재법(CRMA)과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움직임을 본격화하며 클린 에너지산업과 제조업 부양, 에너지 안보 강화라는 성장 기회를 만들고 있다. 세계경제 질서가 탈탄소 무역 규범으로 재편되면서 주요 탄소배출 업종 중 하나인 석유화학 기반의 화학산업도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다행인 점은, 기후변화가 위험과 기회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응하지 않으면 위기가 되지만, 잘 대처하면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기후변화 대응 전략 핵심은 탄소중립, 넷제로(net-zero) 달성이다. 비즈니스에서도 선제적 대응 전략으로 기업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는 기회를 만들어내는 기업이 나타나고 있다. LG화학은 시대적 요구에 발맞춰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핵심과제로 전 사업 영역에서 체질 개선에 속도를 높이며 위기 속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LG화학은 과감한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과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한 결과 영국 글로벌 브랜드 평가 전문 컨설팅업체인 브랜드 파이낸스가 선정한 2023년 글로벌 화학기업 중 2년 연속 브랜드 가치 3위에 올랐다. 글로벌 화학 기업 상위 25개 중 LG화학이 한국 기업으로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연 15% 고성장 LG화학은 탄소를 줄이는 것이 비즈니스의 성장 동력이자 사업 경쟁력이 될 것으로 보고 선제적으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전지 소재·친환경 소재·혁신 신
[한경ESG] 케이스 스터디- 한화 한화그룹은 다양한 친환경사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와 탄소중립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2050년 탄소배출 제로(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여러 프로젝트 중 주력사업인 태양광 기술을 활용해 기후변화 위기로부터 꿀벌을 지키는 ‘솔라 비하이브(Solar Beehive)’ 프로젝트가 주목받고 있다. 한화가 꿀벌에 주목한 이유는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물이기 때문이다. 꿀벌은 수분과 작물 생산을 도와 ‘화분 매개자’로도 불린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 중 70% 이상이 꿀벌의 수분 활동으로 생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꿀벌은 전 세계 야생식물 90%의 번식을 도와 지구의 탄소흡수원을 늘리기에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후행동가’로 불린다. 문제는 최근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등으로 꿀벌 개체수와 종 다양성이 급감하고 있다는 점이다. 꿀벌의 개체수 감소는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파괴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2006년 미국에서는 꿀벌의 ‘군집붕괴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이 처음 보고됐다. 꿀과 꽃가루를 채집하러 나간 일벌 무리가 돌아오지 않아 여왕벌과 애벌레만 남은 벌집이 다수 발견된 것이다. 군집붕괴현상은 꿀벌이나 개미처럼 무리 지어 사는 군집이 동시다발적으로 붕괴되는 현상을 말한다. 미국 환경보호국(EPA)에 따르면, 2006년 이후 매년 평균 28.7%의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유럽, 남아프리카, 중국 등에서도 벌집이 집단적으로 사라지는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 꿀벌 개체수 감소가 인류의 식량안보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세계적 문제로 대두하자, 국제연합(UN)은 꿀벌
기자를 구독하려면
로그인하세요.
안옥희 기자를 더 이상
구독하지 않으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