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ESG] 칼럼우리나라 기업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열풍이 불고 있다. ESG 경영이 기업의 생존을 좌우할 수 있는 필수조건이 되고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그런데 지난 3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ESG 전략 수립 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ESG의 모호한 범위와 개념’이 꼽혔다. ESG가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라는 서로 다른 영역들을 포괄하며 기업마다 사업모델과 전략이 다르기 때문에 기업별로 ESG를 다르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일반적으로 ESG는 제품과 서비스 생산으로부터 발생하는 환경적·사회적 영향의 관리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장기적 가치를 창출하려는 전략과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최근 기업들은 이사회 산하에 ESG위원회를 신설하는 등 이사회와 경영진을 중심으로 ESG 경영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우리나라에서 성공적인 ESG 경영을 위해서는 환경, 사회 못지않게 지배구조가 중요하며 경영진의 인식 전환이 전제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해관계자의 기대와 요구를 반영한 ESG 경영을 위해서 무엇보다 경영진의 성과 평가와 보상에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ESG 성과를 연계할 필요성이 있다.하지만 경영진 성과 및 보상에 대한 산정 기준의 변경은 우리나라 현실에서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지난해 11월 대기업을 대상으로 최고경영자(CEO) 재임 기간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문경영인의 평균 재임 기간은 3.6년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짧은 임기 중에 재무적 성과를 희생하면서 장기적 가치 및 현금흐름을 창출하기 위한 ESG 경영을 요구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따라서 경영진에 대한 성과급 지
[한경ESG] 환경 경영 ABC①요즘 ESG(환경·사회·지배구조)로 촉발된 기업 가치와 투자 기준의 변화로 인해 환경 경영이 주목받고 있다. 1995년부터 환경 경영 분야에서 일해 온 필자는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느낀다. 사실 환경 경영이 주목받던 시기가 과거에 두 차례 있었다. 1996년 ISO 14001이라 불리는 환경 경영 시스템 국제표준이 제정돼 발표됐다. 이 국제표준은 환경 개선을 통한 발전의 기대감과 무역에서의 요구로 인해 대기업과 환경 부하가 큰 업종을 중심으로 확산됐다. 그런데 확산의 방향이 문제였다. 인증 제도이다 보니 빨리 인증을 받는 것이 목표가 되고, 빨리 받으려다 보니 직접적인 환경 업무를 넘어서는 분야는 제대로 개선하지 못하는 상황이 다반사였다.환경 업무만 다루는 것은 환경 경영이 아니다. 기존의 환경 관리에 불과한 것이다. 물론 환경 관리의 수준을 높이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 성과는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환경 관리는 성장 전략이 아니다. 그나마도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해 적지 않은 기업들에서는 인증서라는 형식만 남게 됐다. 두 번째로 찾아온 시기는 2008년 등장한 녹색성장과 관련된다. 녹색성장은 국제적 흐름인 ISO 14001과는 달리 기후변화 대응을 통한 경제 발전 정책이어서 내심 기대했으나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녹색성장이 에너지와 기후변화에 집중하면서 다양한 환경 이슈의 유기적인 관계를 조율하지 못했고 기업의 체질 개선까지 연결되는 데 한계를 나타냈다. 이번이 세 번째다. 앞서 이야기한 과거의 기억으로 인해 우려가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기대가 더 크다. ESG가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발전 단계에 들어선 개념
기자를 구독하려면
로그인하세요.
한경비즈니스외고 기자를 더 이상
구독하지 않으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