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상민 필진
    이상민 필진 머니이스트외부전문필진
  • 구독
  • *약력
    (전) 키움증권 리서치
    (전) 카카오페이증권 전략/퀀트 애널리스트
    (전) 현대자산운용 주식운용본부
    (현) Pluto Research 대표

    *소개글
    2015년 증권플러스를 시작으로 현재 카카오페이증권에서 전략/퀀트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남들이 가지않는 뒤안길에 꽃길이 있다는 말 처럼, 남들이 외면하고있는 곳에서 투자의 기회를 찾고 이를 독자들과 쉬운 언어로 공유하고자 합니다.

  • K-게임의 미래, 콘솔 게임에 주목하라 [이상민의 금융 역발상]

    국내 주식시장에서 게임섹터는 '버려진 섹터'가 됐습니다. 작년부터 '게임주에 미래가 없냐'는 질문도 자주 받습니다. 게임시장이 침체됐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글로벌 게임 시장은 작년에 역대급 한해를 보냈습니다. 우선 '발더스 게이트3'이라는 괴물같은 게임이 나왔습니다. 이외에도 콘솔게임의 주요 평가 지표인 메타크리틱 스코어가 90점 이상인 대작이 줄줄이 출현했습니다. '바이오하자드 4:RE', '젤다의 전설 :왕국의 눈물', '스트리트 파이터 6', '파이널 판타지 16' 등은 다른 해였다면 '올해의 게임(GOTY·Game of The Year)를 충분히 노려볼 만한 타이틀들입니다. 국내 게임사들이 부진했던 건 아닙니다. 콘솔이라는 낯선 도전에서 새로운 지적재산권(IP)을 구축하는 데 성공한 회사들도 있었습니다. 국내 게임업황이 겨울이었다고 느끼는 건 '게임주 = 모바일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국내 게임사들이 힘들었다는 건 착시 현상이었다는 말입니다. 주가 부진이 이런 착시현상을 부추겼습니다. 2021년 말과 올해 5월2일의 게임주들 주가를 살펴봅시다.   2021-12-31 2024-05-02 등락률 크래프톤 460,000 243,000 -47.2% 넷마블 125,000 57,300 -54.2% 엔씨소프트 643,000 178,200 -72.3% 펄어비스 138,300 31,900 -76.9% 카카오게임즈 91,000 21,900 -75.9% 위메이드 177,900 47,150 -73.5% 데브시스터즈 105,200 47,650 -54.7% 웹젠 28,900 16,270 -43.7% 컴투스 158,200 40,350 -74.5% 네오위즈 36,100 21,650 -40.0% MMORPG 제작사인 엔씨소프트, 펄어비스, 위메

    2024.05.08 12:00
  • 경제적 자유가 가능한 시점 계산하는 법 [이상민의 금융 역발상]

    자산 가격의 가파르게 상승사면서 '파이어(FIRE)'족이라는 신조어가 나오는 세상이 됐습니다. 파이어(FIRE)란, 경제적 자유와 빠른 퇴직(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의 줄임말입니다. 지출을 통제하고 자산을 매입해, 빠르게 은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입니다.파이어족이 꿈꾸는 경제적 자유는 언제쯤 거머쥘 수 있게 될까요? 만약 '압도적인 수익률'을 낼 수 있는 독자들이라면 계산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좀 더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접근해 보겠습니다.평균적으로 한국인들이 희망하는 부부의 노후 월 생활비는 300만원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생계를 위해 노동을 하지 않아도 월 300만원, 즉 연간 3600만원의 수입이 발생해야 '경제적 자유'를 이루었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나의 연간 수익률이 10%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단, 금융시장 및 부동산 시장의 수익률이 들쭉날쭉 하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금융시장 투자자라면 최소 5년, 길게는 10년의 평균 수익률이어야 합니다. 부동산 투자자라면 현금흐름 및 시세차익을 합친 수익률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그렇다면 내가 노후에 경제적 자유를 누리기 위한 자본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필요 자본금 X 연 평균 수익률 >= 연간 생활비 가 되어야 하므로,필요 자본금 >= 연간 생활비 / 연 평균 수익률이 되어야 합니다.이 간단한 공식을 위의 사례에 적용해 보겠습니다. 연 평균 수익률이 10%이고 연간 생활비가 3600만원인 부부가 경제적 자유를 누리기 위해 필요한 자본금은 3600 / 10% = 3억6000만원이 되는 셈입니다. 10% 수익률이 부담스러운 투자자가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연 평균 수익률을 낮춰 7%로 계산

    2021.07.16 06:43
  • "티끌은 모아도 티끌"…현명하게 장기투자하는 방법 [이상민의 금융 역발상]

    2020년 3월 증시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로, ‘동학개미’와 ‘주린이(주식+어린이의 신조어)’가 시장에 폭발적으로 늘었습니다. 스타벅스 커피 값을 아껴 주식을 사겠다는 1980~90년대 생들이 크게 증가했습니다.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소비가 아닌, ‘자산’을 편입하는 움직임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자산 가격의 상승과 함께 개인이 기업 가치 상승의 과실을 나누어 받을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기업으로 자본이 이동하는 선순환을 발생시킬 것으로 기대합니다.일부 주린이들은 '장기투자'가 무조건적인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실일까요? 이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주로 아래와 같은 사례를 듭니다. 1989년부터 삼성전자를 매월 1만원씩 적립식으로 투자하였다면, 2021년 7월 현재 2억원이라는 겁니다. 이 이야기 자체는 사실입니다. 다만, 당시 현대그룹과 대우그룹을 거르고 개인투자자가 삼성전자를 선택할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가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사례는 결국 종목 선택(Stock Picking)의 문제로 귀결되는 셈입니다.1989년 1월부터 담뱃값과 술값을 아낀 1만원을 코스피 지수에 매달 투자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복리의 마술은 발생할까요? 필자가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불입 금액은 총 390만원이었습니다. 이 390만원은 7월9일 종가로 1251만원이 되었습니다. 수익률은 30년이 넘는 세월동안 얻은 수익률은 263.9%였으며, 이는 연 평균 4.24%에 불과했습니다. 결국엔 '티끌 모아 티끌'이 됐습니다. 더군다나, 배당을 감안하면 기껏해야 준중형 승용차 하나를 살 수 있는 셈입니

    2021.07.13 09:19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