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경기 남부에서 인덕원만큼 주목받는 동네가 또 있을까요. 사실 여태까지는 유흥가 이미지가 강했지만, 이제는 안양과 의왕 등지의 주요 아파트 단지명에 인덕원이 들어갈 정도입니다. 대체 인덕원에 어떤 일이 생기고 있는 건지 임장생활기록부에서 한바퀴 돌았습니다.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
"창 열면 한강, 문 열면 서울"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지구을 조성했을 당시 캐치프레이즈입니다. 미사는 서울과 가까운 데다 한강까지 끼고 있죠. 임장생활기록부에서 미사강변도시를 쭉 둘러봤습니다.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
한강 줄기를 따라 놓인 강변북로를 타고 경기 고양 방향으로 달리다 보면 시선을 끄는 풍광이 있다. 강변에 근사하게 들어선 지식산업센터들이다. 고양 덕은지구는 업무용지의 절반 이상이 이 지식산업센터로 채워지고 있다. 하지만 정작 대부분의 건물 안은 텅 비어 있다. 인근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공실률이 70% 이상 된다”며 “마이너스 프리미엄이 붙은 매물이 쌓여 있다”고 말했다.유튜브 집코노미 채널을 진행하면서 전국 곳곳을 취재 다닌다. 최근 가장 눈에 띄는 건 바로 이 지식산업센터다. 덕은지구엔 지하철이 없고 버스가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인데, 이마저도 배차 간격이 40여 분에 달한다. 교통 불모지인 이 수도권 베드타운에 올해까지 지식산업센터 5000여 실이 들어선다. 근처 향동지구도 상황은 비슷하다. 향동동에 공급되는 지식산업센터는 4000실이 넘지만 절반 이상이 공실이다. 한 투자자는 “임차 업체를 구하지 못해 매물로 내놨는데도 팔리지 않아 대출 이자만 매달 200만원 이상 내고 있다”고 토로했다. 과열됐던 투자 열풍지식산업센터의 태생은 영세 업체의 입지난 해소를 위해 도입한 아파트형 공장이다. 2010년 산업집적법이 제정되면서 지식산업센터로 이름을 바꾼 뒤 도시형 산업시설로 변모했다. 저금리에 집값이 치솟던 지난 정부 때 각종 규제가 주택에 집중되자 지식산업센터는 이를 대체하는 수익형 부동산으로 급부상했다.아파트와 달리 대출 규제가 적용되지 않아 분양가의 90%까지 대출받을 수 있는 데다 분양권 전매도 가능했다. 주택 수에 포함되지 않아 각종 과세 중과를 피할 수 있었다. 입금 순서를 초 단위로 따져 앞선 사람에게 당첨 자격
기자를 구독하려면
로그인하세요.
김정은 기자를 더 이상
구독하지 않으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