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KBS는 대학생들이 '과자 뗏목으로 한강 건너기'에 도전한다며 유튜브 예고 영상을 소개했다. 이후 유성호 씨와 장성택 씨는 자신들이 공언한 대로 과자로 뗏목을 만들어 한강 건너기에 성공했다. 사진=KBS 방송화면 캡처
앞서 KBS는 대학생들이 '과자 뗏목으로 한강 건너기'에 도전한다며 유튜브 예고 영상을 소개했다. 이후 유성호 씨와 장성택 씨는 자신들이 공언한 대로 과자로 뗏목을 만들어 한강 건너기에 성공했다. 사진=KBS 방송화면 캡처
'과자로 뗏목을 만들어 한강을 건너겠다'고 공언한 대학생 유성호(26·공주대 전기4)씨와 장성택(25·경희대 경영4)씨가 '위대한 도하'에 성공했다.

유 씨와 장 씨는 지난 28일 오후 4시 35분께 서울 송파구 잠실한강공원에서 국산 봉지과자 160여개를 테이프 등으로 이어붙여 보트 모양의 뗏목을 만들고 미리 준비한 카누용 노를 이용해 한강 맞은편으로 뗏목을 젓기 시작했다.

이른바 '질소 과자'라고 불리는 제과업체들의 과대포장 관행에 항의하기 위한 것이었다.

구명조끼를 입은 대학생 두 명이 '과자 뗏목'을 타고 한강을 건너기 시작하자 시민들은 입을 다물지 못했다. 뗏목에 덧붙여달라며 직접 과자를 가져와 전달한 시민도 있었다.

반면 이들의 취지는 이해하지만 너무 위험하지 않느냐는 시민들도 있었다. 하지만 이날 현장에는 만일의 사고에 대비해 수난구조대 소속 경비정과 제트스키도 출동해 대기했다.

유 씨와 장 씨는 처음에 다소 비틀대며 방향을 잡지 못했지만 곧 빠른 속도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간간이 물을 퍼내기 위해 멈추는 등 작은 문제가 발생했지만 결국 출발 30여분만에 약 900미터 떨어진 강 맞은편에 도착했다. '과자 뗏목 한강 건너기'가 성공하는 순간이었다.

이번 퍼포먼스를 기획한 유씨는 "처음엔 재미로 시작했는데 준비를 할 수록 의미가 큰 이벤트가 됐다"며 "과자 과대포장 관행에 대한 해학적 비판도 있지만, 소비자 중심의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는 메시지를 국내 업체들에게 전하자는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그는 "국산과자는 양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수입과자 매출이 느는 것은 국내 제과업체들이 소비자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 아니겠느냐"고 꼬집었다.

한편 유 씨와 장 씨는 뗏목을 만드는 데 쓰인 과자를 모두 고아원 등에 기부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소식이 알려지자 누리꾼들은 "한강 건너기 성공한 과자 뗏목, 전시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과자 뗏목 한강 건너기, 자소서에 꼭 쓰세요. 물론 제과업체 취직하셨으면", "과자 뗏목으로 한강을 건너다니. 설마 했는데 진짜 되는군요. 씁쓸합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