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판치는 도로운전연수…"사고땐 수리비 폭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수업체 5곳 중 1곳 불법
무자격 강사·무자격 업체…작년 적발 건수만 586건
자격증 있어도 개인교습 불가
공인학원 고용된 강사만 가능…무자격 강사 전국 4만명 추산
무자격 강사·무자격 업체…작년 적발 건수만 586건
자격증 있어도 개인교습 불가
공인학원 고용된 강사만 가능…무자격 강사 전국 4만명 추산

18일 경찰과 운전학원업계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미등록 운전연수업체가 2000여곳, 무자격 운전강사는 3만~4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에만 무등록 운전연수업체와 무자격 운전강사가 586건 적발됐다. 경찰 관계자는 “보통 운전 교습을 과외수업하는 것으로 쉽게 생각한다”며 “무자격 운전강사 피의자 중에서는 자신이 죄를 저지른 줄도 모른 채 입건돼 전과자가 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2010년 운전면허를 딴 이후 운전 경험이 없던 박모씨(34·여)는 지난 4월 지인을 통해 소개받은 운전강사로부터 도로주행 연수를 받다가 곤욕을 치렀다. 그는 “수강료가 10시간에 20만원으로 35만~40만원에 이르는 대형 운전학원의 절반 수준이어서 마음에 들었다”며 “접촉 사고가 난 뒤에야 불법 강사인 줄 알았고, 결국 수리비 100만원을 고스란히 부담해야 했다”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운전연수를 받기 전 업체가 경찰청 인증을 받은 곳인지 해당 지방경찰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야 한다”며 “공인된 업체가 아니면 영업용 운전자보험 가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고가 났을 때 구제받을 방법이 없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