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광주전남] ③ 개관 5년에도 흔들리는 아시아문화전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년간 누적 관람객 1천만…여전히 '대표 콘텐츠' 부재
'안정 vs 전문성' 융합해 전당·아시아문화원 이원화 체계 해소해야 국립아시아문화전당(Asia Culture Center·ACC)은 내년 11월 25일이면 개관 5주년을 맞는다.
지난 4년간 1천만명의 누적 관람객을 기록하고 다양한 레퍼토리를 개발했지만, 대표 콘텐츠 부재와 불안정한 직무대리 체제 해소가 과제로 남아 있다.
◇ 4년간 1천만명 관람…커진 외형에도 '대표 콘텐츠' 부재
ACC는 2015년 11월 문을 연 이후 공연 200건, 전시 113건, 축제 37건 등 668건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대규모 잔디 옥상정원인 '하늘마당'은 매년 100만명이 찾는 도심 속 휴식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외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애초 표방했던 아시아를 이끄는 문화 콘텐츠 창·제작소로서 지위를 확고히 하지는 못했다.
외부 대형 공연·전시로 관객을 끄는 대신, 양질의 자체 콘텐츠를 생산하고 예술인들을 키우겠다고 했지만 4년 동안 이렇다 할 대표 콘텐츠가 탄생하지 않았다.
ACC는 최근 판타지극 '무사MUSA-불멸의 영웅들'을 대표 콘텐츠로 내세웠지만 지난 20∼21일 열린 본 공연에서 "킬러 콘텐츠라는 표현이 무색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무사는 객석 사이에 곡선 형태로 무대를 배치해 소외되는 관객이 없도록 한 점과 최근 유행하는 미디어아트와 극을 접목한 공연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그러나 마당극, 풍물놀이, 곡예, 마샬 아츠(무술), 입체적인 무대 구성, 온라인 게임·애니메이션 인물 특징을 가진 캐릭터 활용 등을 한 번에 시도하면서 기존 넌버벌 뮤지컬·무술 극과 비교해 극의 개연성과 완성도가 떨어졌다.
◇ 직무대리 체제, 예산·인력 부족 문제 해소 못 해
이러한 대표 콘텐츠 부재는 불안정한 전당 운영 체계와 예산 부족 등의 복합적인 결과로 볼 수 있다.
현재 ACC는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운영하고 있으며 전당 운영 일부를 '아시아문화원'에 위탁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전반적인 운영, 정책 수립, 대외 협력, 아시아문화원 관리 감독을 하며 아시아문화원이 홍보, 교육, 연구, 콘텐츠 창·제작, 유통, 기타 사업 등을 하는 구조다.
조직의 이원화로 업무 중복 등 비효율이 해마다 지적되고 있고 전당장 공모도 수차례 무산돼 개관 후 줄곧 직무대리 체제가 유지되고 있다.
ACC가 국내 최대 복합문화시설이고 예술의 전당 역대 전당장 3분의 1이 차관 출신이었던 점 등을 고려해 위상에 맞게 직급을 차관급으로 상향하자는 여론도 있지만, 운영 주체 통합과 맞물려 쉽사리 답이 나오지 않고 있다.
문화전당 운영 예산은 2016년 572억원(아시아문화원 313억원), 2017년 485억원(328억원), 2018년 552억원(322억원), 2019년 511억원(322억원)이다.
그러나 콘텐츠 창·제작을 담당하는 아시아문화원 예산 중 상당 비율이 인건비 등 고정비이고 콘텐츠 개발 예산 비중은 크지 않다.
전문 인력 부족도 수년째 지적된 고질적인 문제다.
2014년 정부 보고서에서 나온 필요 인력은 정규직 423명, 비정규직 200명이었다.
그러나 문화전당의 인력은 정원 기준 50명(전문임기제 18명 포함), 아시아문화원은 96명이다.
전당은 공무직 88명과 용역직 186명, 아시아문화원은 공무직 171명이 근무하고 있어 정규직과 비정규직 비율이 바뀐 셈이다.
◇ 국가소속 vs 법인화 vs 제3의 방식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20년 4월 ACC의 성과를 평가한 뒤 전당 운영을 일부 위탁에서 전부 위탁으로 할지 결정한다.
안정적인 정부 지원과 전문성 극대화를 놓고 의견이 갈리고 있다.
문체부는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으나 2013년 특별법 개정안 논의 당시 정부의 입장이었던 법인화를 통한 조직 일원화가 유력한 방안으로 예상된다.
광주시는 ACC 운영 주체를 법인으로 일원화했을 때 콘텐츠 창·제작 등 국비 예산 감소 등을 우려해 국가기관으로 유지하고, 수익사업 등이 필요한 부분만 아시아문화원이 수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기곤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지난 6월 문화도시 광주의 정책을 진단하는 포럼에서 "국가의 충분한 재정적 지원을 받고 지역 문화예술 인력의 참여를 일정 정도 보장하는 민간 조직이 전당을 운영하는 제3의 방식이 논의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희중 천주교 광주대교구 대주교는 "피렌체가 르네상스 중심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출신지와 상관없이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라며 "구청 문예회관으로 전락하지 않고 세계의 문화전당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외부인을 통해 적극적으로 외지와 연결하고 정부 기관과 호흡을 맞춰 나아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안정 vs 전문성' 융합해 전당·아시아문화원 이원화 체계 해소해야 국립아시아문화전당(Asia Culture Center·ACC)은 내년 11월 25일이면 개관 5주년을 맞는다.
지난 4년간 1천만명의 누적 관람객을 기록하고 다양한 레퍼토리를 개발했지만, 대표 콘텐츠 부재와 불안정한 직무대리 체제 해소가 과제로 남아 있다.
◇ 4년간 1천만명 관람…커진 외형에도 '대표 콘텐츠' 부재
ACC는 2015년 11월 문을 연 이후 공연 200건, 전시 113건, 축제 37건 등 668건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대규모 잔디 옥상정원인 '하늘마당'은 매년 100만명이 찾는 도심 속 휴식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외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애초 표방했던 아시아를 이끄는 문화 콘텐츠 창·제작소로서 지위를 확고히 하지는 못했다.
외부 대형 공연·전시로 관객을 끄는 대신, 양질의 자체 콘텐츠를 생산하고 예술인들을 키우겠다고 했지만 4년 동안 이렇다 할 대표 콘텐츠가 탄생하지 않았다.
ACC는 최근 판타지극 '무사MUSA-불멸의 영웅들'을 대표 콘텐츠로 내세웠지만 지난 20∼21일 열린 본 공연에서 "킬러 콘텐츠라는 표현이 무색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무사는 객석 사이에 곡선 형태로 무대를 배치해 소외되는 관객이 없도록 한 점과 최근 유행하는 미디어아트와 극을 접목한 공연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그러나 마당극, 풍물놀이, 곡예, 마샬 아츠(무술), 입체적인 무대 구성, 온라인 게임·애니메이션 인물 특징을 가진 캐릭터 활용 등을 한 번에 시도하면서 기존 넌버벌 뮤지컬·무술 극과 비교해 극의 개연성과 완성도가 떨어졌다.
◇ 직무대리 체제, 예산·인력 부족 문제 해소 못 해
이러한 대표 콘텐츠 부재는 불안정한 전당 운영 체계와 예산 부족 등의 복합적인 결과로 볼 수 있다.
현재 ACC는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운영하고 있으며 전당 운영 일부를 '아시아문화원'에 위탁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전반적인 운영, 정책 수립, 대외 협력, 아시아문화원 관리 감독을 하며 아시아문화원이 홍보, 교육, 연구, 콘텐츠 창·제작, 유통, 기타 사업 등을 하는 구조다.
조직의 이원화로 업무 중복 등 비효율이 해마다 지적되고 있고 전당장 공모도 수차례 무산돼 개관 후 줄곧 직무대리 체제가 유지되고 있다.
ACC가 국내 최대 복합문화시설이고 예술의 전당 역대 전당장 3분의 1이 차관 출신이었던 점 등을 고려해 위상에 맞게 직급을 차관급으로 상향하자는 여론도 있지만, 운영 주체 통합과 맞물려 쉽사리 답이 나오지 않고 있다.
문화전당 운영 예산은 2016년 572억원(아시아문화원 313억원), 2017년 485억원(328억원), 2018년 552억원(322억원), 2019년 511억원(322억원)이다.
그러나 콘텐츠 창·제작을 담당하는 아시아문화원 예산 중 상당 비율이 인건비 등 고정비이고 콘텐츠 개발 예산 비중은 크지 않다.
전문 인력 부족도 수년째 지적된 고질적인 문제다.
2014년 정부 보고서에서 나온 필요 인력은 정규직 423명, 비정규직 200명이었다.
그러나 문화전당의 인력은 정원 기준 50명(전문임기제 18명 포함), 아시아문화원은 96명이다.
전당은 공무직 88명과 용역직 186명, 아시아문화원은 공무직 171명이 근무하고 있어 정규직과 비정규직 비율이 바뀐 셈이다.
◇ 국가소속 vs 법인화 vs 제3의 방식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20년 4월 ACC의 성과를 평가한 뒤 전당 운영을 일부 위탁에서 전부 위탁으로 할지 결정한다.
안정적인 정부 지원과 전문성 극대화를 놓고 의견이 갈리고 있다.
문체부는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으나 2013년 특별법 개정안 논의 당시 정부의 입장이었던 법인화를 통한 조직 일원화가 유력한 방안으로 예상된다.
광주시는 ACC 운영 주체를 법인으로 일원화했을 때 콘텐츠 창·제작 등 국비 예산 감소 등을 우려해 국가기관으로 유지하고, 수익사업 등이 필요한 부분만 아시아문화원이 수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기곤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지난 6월 문화도시 광주의 정책을 진단하는 포럼에서 "국가의 충분한 재정적 지원을 받고 지역 문화예술 인력의 참여를 일정 정도 보장하는 민간 조직이 전당을 운영하는 제3의 방식이 논의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희중 천주교 광주대교구 대주교는 "피렌체가 르네상스 중심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출신지와 상관없이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라며 "구청 문예회관으로 전락하지 않고 세계의 문화전당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외부인을 통해 적극적으로 외지와 연결하고 정부 기관과 호흡을 맞춰 나아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