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포대 4개 싣고 7분간 비행 성공
관제시스템·이착륙 포트 구축 추진
비싼 요금·시민 접근성이 관건
"여의도~인천공항 요금 11만원"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이날 ‘도심항공교통 서울실증’ 행사를 열고 드론택시 비행실증을 실시했다. 사람이 탈 수 있는 드론택시가 실제 하늘을 비행한 것은 국내 최초다. 실증행사에 띄운 기체는 서울시가 중국 이항사로부터 3억원을 주고 산 ‘이항216’이다. 안전성 우려 등으로 탑승자 대신 무게 80㎏ 쌀포대 4개가 실렸다.
국토부는 2025년을 목표로 드론택시 상용화를 위한 제도 정비에 나설 방침이다. 현행법상 서울 강북지역은 비행금지구역, 강남지역은 비행제한구역이라 비행을 위해선 국토부 장관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국토부는 비행기체에 대한 안전성 기준을 마련하고 관제시스템과 이·착륙을 위한 버티포트(도심항공교통용 터미널)도 구축하기로 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2025년 드론택시 상용화를 위해 산·학·연·관 협업으로 차질없이 과제를 이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수년 내 드론택시 국산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이날 미국 오버에어와 공동 개발 중인 개인비행체 ‘버터플라이’의 실물 모형을 최초로 선보였다. 한화시스템의 상용화 목표는 2026년이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2026년 무인 화물항공기를 우선 상용화하고 개인용 비행체(PAV) 출시는 2028년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인류가 꿈꾸던 미래 교통수단인 ‘드론택시’를 한국 최초의 비행장이 있었던 여의도에서 선보이게 됐다”며 “지상교통의 한계를 해결할 대안이자 미래 먹거리 산업인 도심 항공 모빌리티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드론택시 상용화 성공을 위해선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우선 일반 시민들이 이용할 정도의 요금 수준을 맞추는 것이 관건이다. 국토부는 드론택시 상용화 초기에 조종사가 운행할 경우 여의도부터 인천공항(비행 기준 40㎞)까지 11만원 수준의 요금이 부과될 것으로 추정했다. 같은 거리 택시비(약 4만8000원)보다 두 배 이상 비싸다. 비행 시간은 20분 안팎으로, 자동차로 이동할 때 소요되는 1시간보다는 대폭 줄어든다.
접근성도 관건이다. 도심 내 주요 교통요지에 드론택시 이·착륙을 위한 버티포트를 촘촘히 만들어야만 일반 시민들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민간의 협조가 부진해 공공주차장이나 관용 빌딩 중심으로 버티포트를 만들 경우 시민들의 수요를 충족하지 못할 가능성도 크다. 2007년 정부가 도입했다가 지금은 사라진 한강 수상택시와 같은 신세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뒤처진 국내 드론기술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세계 민간 드론 시장은 중국 업체인 DJI가 70%를 장악하고 있다. 고기능 부품은 미국과 유럽이 선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산 드론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1%에 불과했다.
하수정/최다은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