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환자 ‘100만 명 시대’다. 골다공증은 ‘선진국 병’으로도 불린다. 고령 인구가 많은 선진국형 사회가 되면 골다공증 환자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증상처럼 여겨지지만, 자칫 몸의 중심이 무너져 뼈가 부러지는 사고로 이어진다.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은 거동을 불편하게 할 뿐 아니라 심하면 사망에까지 이른다.
무서운 병이지만 골다공증을 미리 예방하기란 쉽지 않다. 30대부터 뼈 안에 있는 칼슘이 천천히 빠져나가기 시작하지만,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 50대를 기점으로 골밀도가 급격히 떨어지며 뼈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평소에 식생활, 근력 운동 등 생활습관으로 틈틈이 ‘뼈 건강’을 챙겨야 한다고 조언한다. 골다공증은 왜 생기는지, 어떤 사람들이 특히 위험한지, 어떻게 치료하고 예방해야 하는지 살펴봤다.

○여성 환자가 남성의 16배

뼈는 흡수와 생성을 끊임없이 반복한다. 오래된 뼈는 녹아서 안으로 흡수되고, 건강한 새 뼈가 그 자리를 대체한다. 나이가 들면 이 과정이 점차 더뎌진다. 35세부터 새로 생기는 뼈의 양이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뼈 강도도 약해진다. 바로 ‘골다공증’이다. 골다공증에 걸리면 뼈 안쪽 해면골에 구멍이 생긴다. 뼈에 구멍이 숭숭 뚫리면 무게가 줄어들고 강도도 약해지는 것이다.

골다공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특히 비타민D, 칼슘 부족의 영향이 크다. 비타민D는 장 내 칼슘 섭취를 돕고, 신장에서 칼슘이 배출되는 양을 감소시켜 체내 칼슘을 보존한다. 뼈 분해를 막아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식습관이 불균형하고 햇빛 노출이 거의 없으면 비타민D가 부족해진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 간 등에서 만드는 활성 비타민D가 자연스레 감소하기도 한다.

성호르몬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골밀도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폐경으로 인해 에스트로겐 분비량이 줄어들면 골다공증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이유다. 남성은 나이가 들어도 호르몬이 계속 분비돼 파골세포(뼈를 부수는 세포) 기능을 억제한다. 이 때문에 골다공증 환자는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다. 지난해 기준 골다공증으로 병원을 찾은 여성 환자는 99만4338명이었다. 남성 환자(6만554명)의 16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커피, 녹차 등에 들어 있는 카페인도 뼈 건강을 악화시킨다. 카페인이 몸 밖으로 배출되면서 칼슘도 함께 내보내기 때문이다. 성인의 하루 카페인 권장량은 400㎎ 정도다. 카페에서 판매하는 아메리카노 한 잔에 카페인이 100㎎ 조금 넘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하루에 커피를 3잔 이상 마시면 골다공증을 촉진할 수 있다.

○한 번 골절되면 재골절률↑

골다공증 여부는 골밀도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다. 엑스레이 촬영과 같은 방식으로 뼈 사진을 찍어서 골밀도 수치(T스코어)를 확인한다. T스코어가 -1보다 높으면 정상이다. -1에서 -2.5 사이면 골감소증, -2.5 밑이면 골다공증으로 분류된다.

골다공증에 걸리면 골절 위험도 높아진다. 주로 골절되는 부위는 연령에 따라 다르다. 고령층은 넘어질 때 주저앉으면서 대퇴부(무릎 윗부분 넓적다리)에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잦다. 대한골대사학회에 따르면 대퇴부가 골절되면 반대쪽 대퇴부 골절이 발생할 가능성도 3배 증가한다. 이에 비해 비교적 운동신경이 좋은 중장년층은 손을 짚고 넘어지면서 손목 골절이 자주 발생한다.

최근에는 골다공증 환자 중에서도 ‘골절 초고위험군’이 따로 분류됐다. 미국임상내분비학회에 따르면 △T스코어가 -3 이하인 사람 △골다공증 치료 중에 골절이 발생한 환자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 골격계 손상을 유발하는 약물을 복용하던 중 골절을 경험한 환자 등이 초고위험군에 속한다. 골다공증 골절 평가(FRAX)에서 주요 골다공증 골절 위험이 30% 이상이거나 고관절 골절 위험이 4.5% 이상인 환자도 여기에 해당한다.

초고위험군은 특히 골절에 유의해야 한다. 일단 한 번 골절을 경험하면 척추, 고관절, 손목 등에서 재골절이 발생하기 십상이다. 골절을 경험한 여성의 41%는 첫 골절 발생 시점으로부터 2년 내에 또 골절이 발생한다는 해외 연구도 있다. 골다공증 위험이 높은 폐경 후 여성은 첫 골절 발생 후 1년 이내에 추가 골절이 발생할 확률이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5배나 높았다.

○칼슘·비타민D로 골다공증 예방

골다공증은 골절이 발생한 부분을 중심으로 치료받는다. 골절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생활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로 천천히 뼈 건강을 키워야 한다.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는 대표적인 골다공증 치료제다. 파골세포 기능을 억제해 뼈의 파괴를 막는다. ‘알렌드로네이트’, ‘리세드로네이트’, ‘이반드로네이트’ 등이 모두 이 계통이다. 골 흡수를 억제해주는 ‘데노수맙’ 역시 골다공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

골절 초고위험군은 ‘로모소주맙’처럼 골 흡수 억제 이외에도 골 형성을 촉진해 주는 치료제를 써야 한다. 로모소주맙은 골 형성을 저해하는 스클레로스틴이란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아 없앤다. 파골세포를 억제하는 동시에 조골세포(골 조직의 형성을 돕는 세포)를 촉진하는 것이다. 암젠의 ‘이베니티’ 등이 여기에 속한다.

식습관도 중요하다. 골다공증을 예방하려면 하루 1000~1200㎎의 칼슘을 섭취해야 한다. 녹황색채소 우유 두부 멸치 미역 등은 칼슘이 풍부한 음식이다. 음식만으로 칼슘 섭취량을 채우기 어렵다면 보충제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체내 칼슘 섭취와 근력 향상을 돕는 비타민D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오전 10시~오후 3시에 15~30분 정도 햇빛을 쬐면 비타민D 형성에 도움이 된다. 송기호 건국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뼈의 양은 20~30대에 최고로 많았다가 조금씩 떨어진다”며 “갖고 있는 골량이 많지 않으면 뼈가 금방 약해지기 때문에 이 시기에 최고의 골량을 만들어 놔야 한다”고 말했다.

수시로 근력운동을 해 뼈를 강하게 만들 수 있다. 처음에는 팔굽혀펴기, 윗몸 일으키기, 앉았다 일어서기 등으로 가볍게 시작했다가 나중에는 기구를 이용해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넘어가면 된다. 이 밖에도 줄넘기, 달리기 등 체중을 뼈에 싣는 운동을 하면 골밀도가 높아진다. 단 관절이 약하다면 뼈와 관절에 부담이 덜 가는 평지 걷기, 수영 등이 좋다. 김진우 노원을지대병원 교수는 “골다공증은 치료보다 예방이 효과적인 질환”이라며 “노년기에 산책과 조깅, 등산, 에어로빅, 계단오르기 등을 꾸준히 하면 골밀도가 소실되는 속도를 늦추고 근육을 발달시켜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