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애호가 입장에서 보면 미술을 자산증식이나 승계의 수단으로만 접근하는 것이 안타깝게 느껴진다. 그러나 고객의 질문에 대해 변호사로서 결론만 말한다면 미술품은 세금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한 것이 사실이다.
우선 미술품은 부동산이나 주식과 달리 취득세, 등록세, 부가세, 보유세(재산세, 종합부동산세)가 전혀 없다. 다만 양도소득세는 존재하는데, 이 역시도 부과하지 않는 경우(비과세 되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부과하더라도 기타소득 항목으로 분류되어 세율과 비용공제 등에서 많은 혜택이 있다. 미술품의 양도소득세에 관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품의 경우에는 양도가액이 6000만원 미만이거나 양도일 현재 생존한 국내작가의 작품인 경우에는 양도소득세가 면제된다. 따라서 5000만원에 구입한 작품을 2억원에 양도하더라도 그 작가가 생존한 국내작가라면 양도세를 전혀 내지 않아도 된다(소득세법 시행령 제14조).
둘째, 양도가액이 6000만원을 넘는 외국작가 또는 작고한 국내작가의 작품을 양도한 경우에는 양도소득세가 부과되지만, 그 소득은 기타소득(일시적, 비반복적으로 발생한 소득)으로 보기 때문에 22%(지방소득세 포함)의 세율을 적용받는다(소득세법 제21조 제2항). 통상 사업소득보다는 기타소득으로 처리하는 것이 세금 측면에서 유리하다.
셋째, 기타소득의 경우 총수입금액에서 이에 사용된 필요경비를 공제해주는데, 1억원 이하인 경우에는 90%를 필요경비로 공제해주고, 1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억원까지는 90%를, 그 이상 액수에 대해서는 80%를 필요경비로 공제해준다.
그런데 양도가액이 1억원 이상이라 하더라도 만약 보유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에는 1억원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90%를 필요경비로 인정해준다(소득세법 제21조 제3항, 동 시행령 제87조 제2호). 따라서 5천만원에 구입한 작품을 10년 후에 2억원에 양도한 경우(비과세 대상이 아니라면)에는 2천만원에 대해서 22%의 세율을 적용한 440만원이 양도소득세가 된다. 실효세율이 2% 정도 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미술품은 부동산과 같은 실물자산이기 때문에 주식이나 코인처럼 가치가 급락할 리스크가 비교적 크지 않으면서도 수익률은 부동산이나 주식에 비해 낮지 않기 때문에 투자적 측면에서 큰 메리트가 있다.
그러면서도 위와 같이 세제적 측면에서 상당한 혜택이 있기 때문에 많은 자산가들이 미술품 투자에 큰 매력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다만 미술의 궁극적인 목적이 심미적 만족감과 정서적 안정감을 통해 보다 더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데 있다고 한다면, 자기의 감수성과 취향에 맞는 작품을 고르는 안목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법무법인 트리니티 대표변호사, 법학박사 김상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