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정 "개구리소년 흉기 새 주장, 합리적 추론…일리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개구리소년 사건'에 대해 언급
1991년 3월 26일 발생한 미제 사건
'개구리소년 사건'에 대해 언급
1991년 3월 26일 발생한 미제 사건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가 국내 대표 미제사건 중 하나인 '개구리소년 사건'에 대해 언급했다.
이수정 교수는 지난 7일 KBS에 출연해 '버니어캘리퍼스'가 범행 도구일 가능성에 대해 "두개골에 남은 흉기가 너무 특이해서 이를 찾아내려고 노력했지만 적당한 흉기를 찾아내지 못해 재수사가 진척 없이 중단됐다. 이번 글에서 제일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흉기"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1일 'kkotukpang'라는 닉네임을 쓴 누리꾼 A 씨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나는 개구리소년 사건의 흉기를 알고 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이 글에서 A 씨는 범행 도구는 길이나 높이 등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자의 일종인 '버니어캘리퍼스'라고 주장했다.
또 그는 소년들을 살해한 범인이 인근에 버니어캘리퍼스를 들고 다닐 만한 학교에 다니는 비행 청소년, '문제아'라고 했다.
그 근거에 대해서는 "소년들이 집에 안 들어가고 산에서 본드를 불고 있던 일진과 마주쳤을 가능성이 있다"며 "다섯 명을 잔인하게 죽일 정도로 대담한 살인마가 동네 산에 매복하고 있을 확률보다 동네 중·고등학생일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어설프게나마 피해자들을 매장했다는 점에서 전원이 환각 상태는 아니었을 것"이라며 "범인 중 한 사람이 (피해 아동을) 못 움직이게 잡은 뒤 다른 한 사람이 가격했을 것"이라고 했다. 현재 A 씨의 글은 삭제된 상태다.
이에 이수정 교수는 "저는 사실 좀 감동받았다. 둔기로 사망한 사람들 사진을 보면 저렇게 안 된다. 둔기는 일단 끝이 무디기 때문에 파손의 범위가 넓다"고 말했다.
또 "(개구리소년 피해 아이 두개골을 보면) 여러 조각이 났다. 모든 두개골 함몰 부위가 '콕콕' 찍혀 있다"며 "버니어캘리퍼스의 날카로운 끝처럼 보일 수 있다는 주장은 설득력 있다. 완전 치명적이지 않지만, 저 정도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흉터에 부합되는 흉기가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환각 상태에서 범행을 저질렀을 거라는 주장도 일리가 있다고 했다. 이 교수는 "다섯 명을 이 지경으로 만들려면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동안에는 이런 범행을 하기 어렵다. 애들이 고성 지를 테니까. 그런데 흉기로 여러 번 상해를 입혔다. 이성을 유지하면서 여러 번 (상해를)입히는 게 가능하겠냐. 거의 불가능하다. A씨가 제기한 게 본드였다. 이게 근거 없다고 할 수 없는 게, 요즘엔 본드를 안 하는데 1991년엔 청소년 비행 죄명 중 본드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범인이 여러 명일 거라는 추측엔 "여러 명이 몰려다니는 고등학생 무리에 의해 아이들이 이렇게 됐다는 가설은 상당히 설득력 있다"고 했다. 이 교수는 "여러 명이 몇 명을 붙잡고, 한 명이 흉기를 휘둘러서 치명상을 입히는 건 충분히 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글을 읽으면서 특이한 건 A씨가 학력이 높은 사람 같다. 전문적인 지식이 없지 아니한 그런 사람의 글처럼 보인다. 이 사람을 찾아서 설명을 좀 더 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끝으로 이 교수는 "지금이라도 이런 정보가 올라오는 거 보면, 우리가 한 번쯤은 조사의 노력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또 "버니어캘리퍼스로 아이들 두개골에 남은 흔적들이 재현되는지 해보는 건 지금의 과학수사 기법으로 충분히 실험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개구리소년 사건은 1991년 3월 26일 대구 달서구 성서초에 다니던 다섯 어린이가 도롱뇽알을 주우러 나갔다가 11년 만에 마을 근처 와룡산에서 백골로 발견된 사건이다. 사건 당시 도롱뇽알이 개구리로 와전되면서 개구리소년 사건으로 불리고 있다.
당시 경북대 법의학팀이 유골 감정을 통해 '예리한 물건 등에 의한 타살'로 결론을 내렸지만, 아직 범인은 잡지 못했다.
김현덕 한경닷컴 기자 khd9987@hankyung.com
이수정 교수는 지난 7일 KBS에 출연해 '버니어캘리퍼스'가 범행 도구일 가능성에 대해 "두개골에 남은 흉기가 너무 특이해서 이를 찾아내려고 노력했지만 적당한 흉기를 찾아내지 못해 재수사가 진척 없이 중단됐다. 이번 글에서 제일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흉기"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1일 'kkotukpang'라는 닉네임을 쓴 누리꾼 A 씨는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나는 개구리소년 사건의 흉기를 알고 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이 글에서 A 씨는 범행 도구는 길이나 높이 등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자의 일종인 '버니어캘리퍼스'라고 주장했다.
또 그는 소년들을 살해한 범인이 인근에 버니어캘리퍼스를 들고 다닐 만한 학교에 다니는 비행 청소년, '문제아'라고 했다.
그 근거에 대해서는 "소년들이 집에 안 들어가고 산에서 본드를 불고 있던 일진과 마주쳤을 가능성이 있다"며 "다섯 명을 잔인하게 죽일 정도로 대담한 살인마가 동네 산에 매복하고 있을 확률보다 동네 중·고등학생일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어설프게나마 피해자들을 매장했다는 점에서 전원이 환각 상태는 아니었을 것"이라며 "범인 중 한 사람이 (피해 아동을) 못 움직이게 잡은 뒤 다른 한 사람이 가격했을 것"이라고 했다. 현재 A 씨의 글은 삭제된 상태다.
이에 이수정 교수는 "저는 사실 좀 감동받았다. 둔기로 사망한 사람들 사진을 보면 저렇게 안 된다. 둔기는 일단 끝이 무디기 때문에 파손의 범위가 넓다"고 말했다.
또 "(개구리소년 피해 아이 두개골을 보면) 여러 조각이 났다. 모든 두개골 함몰 부위가 '콕콕' 찍혀 있다"며 "버니어캘리퍼스의 날카로운 끝처럼 보일 수 있다는 주장은 설득력 있다. 완전 치명적이지 않지만, 저 정도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흉터에 부합되는 흉기가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환각 상태에서 범행을 저질렀을 거라는 주장도 일리가 있다고 했다. 이 교수는 "다섯 명을 이 지경으로 만들려면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동안에는 이런 범행을 하기 어렵다. 애들이 고성 지를 테니까. 그런데 흉기로 여러 번 상해를 입혔다. 이성을 유지하면서 여러 번 (상해를)입히는 게 가능하겠냐. 거의 불가능하다. A씨가 제기한 게 본드였다. 이게 근거 없다고 할 수 없는 게, 요즘엔 본드를 안 하는데 1991년엔 청소년 비행 죄명 중 본드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범인이 여러 명일 거라는 추측엔 "여러 명이 몰려다니는 고등학생 무리에 의해 아이들이 이렇게 됐다는 가설은 상당히 설득력 있다"고 했다. 이 교수는 "여러 명이 몇 명을 붙잡고, 한 명이 흉기를 휘둘러서 치명상을 입히는 건 충분히 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글을 읽으면서 특이한 건 A씨가 학력이 높은 사람 같다. 전문적인 지식이 없지 아니한 그런 사람의 글처럼 보인다. 이 사람을 찾아서 설명을 좀 더 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끝으로 이 교수는 "지금이라도 이런 정보가 올라오는 거 보면, 우리가 한 번쯤은 조사의 노력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또 "버니어캘리퍼스로 아이들 두개골에 남은 흔적들이 재현되는지 해보는 건 지금의 과학수사 기법으로 충분히 실험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개구리소년 사건은 1991년 3월 26일 대구 달서구 성서초에 다니던 다섯 어린이가 도롱뇽알을 주우러 나갔다가 11년 만에 마을 근처 와룡산에서 백골로 발견된 사건이다. 사건 당시 도롱뇽알이 개구리로 와전되면서 개구리소년 사건으로 불리고 있다.
당시 경북대 법의학팀이 유골 감정을 통해 '예리한 물건 등에 의한 타살'로 결론을 내렸지만, 아직 범인은 잡지 못했다.
김현덕 한경닷컴 기자 khd998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