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전문가 협의체 '임금직무혁신포럼' 개최
100인 이상 사업체 55.5% 호봉제…규모 클수록 비율 높아
국내 100인 이상 사업체의 절반 이상이 호봉제를 활용한 임금체계를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28일 오후 2시 서울 달개비에서 제2차 임금직무혁신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난달부터 매월 1회 열리는 이 포럼은 임금 정책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전문가 협의체다.

이날 내용이 공개된 지난달 제1차 포럼에서는 오계택 한국노동연구원 임금직무혁신센터장이 '우리나라 임금체계의 현황 및 실태'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임금체계는 과거 고성장 시기 장기근속을 전제로 설계된 호봉제가 여전히 지배적으로, 강한 연공(여러 해 근무한 공로)성이 특징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100인 이상 사업체 가운데 호봉제를 활용하고 있는 사업체 비율은 55.5%다.

특히 대규모·유노조 사업장과 금융·공공 부문에서 호봉제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체 규모별 호봉제 비율을 살펴보면 100인 미만 13.4%, 100∼299인 54.3%, 300인 이상 60.1%, 1천인 이상 70.3%다.

노조가 있는 사업체의 호봉제 비율은 67.8%에 달했지만, 노조가 없는 사업체는 11.2%에 불과했다.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의 호봉제 비율이 68.6%로 가장 높고 전기·가스 공급업이 36.7%로 뒤를 이었다.

현재 노동부는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정식 노동부 장관은 지난달 23일 '노동시장 개혁 추진 방향' 브리핑 당시 "인구구조, 근무환경, 세대 특성 등 시대적 변화를 반영해 합리적이고 공정한 임금체계를 준비해야 한다"며 "연공성 임금체계는 고성장 시기 장기근속 유도에는 적합하지만, 이직이 잦은 저성장 시대에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오 센터장은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현재 별도로 관리되는 임금 정보와 직무 정보를 미국처럼 통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날 제2차 포럼에서는 천장현 머서코리아 부사장이 '기업들의 최근 인사관리 트렌드'를 발표했다.

천 부사장은 "새로운 업무 형태로의 변화가 가속할수록 사람이 가진 능력·지식을 일컫는 '스킬' 재교육이 중요하다"며 "근로자가 상위 직무를 맡을 수 있는 '스킬'을 계발하도록 지속해서 교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