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 경제자유구역·교육특구 지정으로 미래를 선도하는 도시로 거듭나기로 했다. 사진은 세종시 나성동 전경  세종시 제공
세종이 경제자유구역·교육특구 지정으로 미래를 선도하는 도시로 거듭나기로 했다. 사진은 세종시 나성동 전경 세종시 제공

○‘나노·반도체산업’ 집중 육성 나선 대전


시는 최근 ‘나노·반도체산업 육성 비전’을 선포했다. 이들 산업을 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실증평가원 설립, 산업단지 조성, 인력양성 등 3대 전략을 제시했다. 현재 대전에 있는 나노·반도체 분야 기업은 447개다. 이들 기업은 대부분 부품·소재 기업으로 전문성은 높지만, 대규모 연구개발·설비 투자가 어려운 상황으로 시는 진단했다. 시는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제품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실증평가원을 설립해 지원하기로 했다. 시는 330만㎡(100만 평) 이상 규모의 나노·반도체 산업단지도 조성해 생태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도 대전 발전의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방위사업청은 2023년 상반기에 지휘부를 포함한 일부 부서가 대전 서구로 이전한다. 정부대전청사 유휴부지에 청사를 신축해 2027년까지 전체 부서가 이전을 완료하기로 했다. 시는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으로 안산산업단지에 조성하는 방산 클러스터 조성사업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국방산업 경쟁력을 갖춘 도시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다음달 10~14일 유성구 도룡동 대전컨벤션센터에서 대전 세계지방정부연합(UCLG) 총회가 열린다. UCLG는 UN이 인정한 세계 최대의 지방정부 국제기구다. 140여 개 국가의 지방정부 24만여 개와 관련 단체 175개가 회원으로 가입해 있다. 대전에서 전 세계 주요 도시의 정책 담당자와 지방자치 전문가들이 모여 기후변화와 환경, 시민 주권 등의 의제로 지방정부의 미래를 논의한다.

총회 주제는 ‘위기를 이겨내고 미래로 나아가는 시민의 도시’로 정했다. 코로나19를 극복하고 전진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고 시는 설명했다. 해외 100여 개 국가, 300여 개 도시에서 10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주요 프로그램은 △UCLG 간부회의 △재정관리위원회 △법정회의위원회 △집행부회의 및 월드사무국위원회 등이 잇달아 열려 도시정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아시아태평양(ASPAC), 유럽(CEMR) 등의 대륙·지부별 회의와 토론회도 열린다.

행사를 주최하는 대전은 ‘대전 트랙’을 통해 홍보할 예정이다. 대전 트랙에는 대전세종연구원, 유엔거버넌스센터 등 10개 기관 전문가들이 참석해 스마트도시와 메타버스, 기술혁신과 행정혁신 등을 주제로 토론할 계획이다. 한국이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를 세계에 알리기 위한 전시회도 마련했다.

시민들을 위한 볼거리도 마련했다. 다음달 11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는 K팝 콘서트가 열린다. 총회 기간 내내 한빛 광장에서는 K팝 공연, 버스킹, 해외컬처데이, 시립예술단 공연 등이 개최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총회는 코로나19 이후 국내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의 국제행사로, 시민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자족경제·문화예술 도시 세종


한국 과학산업과 국가 행정을 아우르는 대전과 세종이 대한민국 발전을 견인할 전략을 내놨다. 대전은 나노·반도체 부품소재 실증평가원을 설립하는 등 나노·반도체 부품 산업을 시의 새로운 핵심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세종은 미래전략의 핵심인 자족 경제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과 교육특구 지정에 행정력을 모으고 있다.
한국 과학산업과 국가 행정을 아우르는 대전과 세종이 대한민국 발전을 견인할 전략을 내놨다. 대전은 나노·반도체 부품소재 실증평가원을 설립하는 등 나노·반도체 부품 산업을 시의 새로운 핵심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세종은 미래전략의 핵심인 자족 경제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과 교육특구 지정에 행정력을 모으고 있다.
세종시는 2002년 출범 후 지난 10년 동안 국가균형발전이라는 국가 정책 목표에 따라 성장해왔다. 그동안 중앙부처 13곳, 국책 연구기관 16곳 등 공공기관이 이전하면서 행정중심복합도시 면모를 갖췄다. 인구도 시 출범 당시 10만 명에서 이달 현재 39만 명으로 늘어나 농촌에서 최첨단 도시로 탈바꿈했다. 시의 평균 연령은 지난해 말 기준 37.7세로 가장 젊은 도시로 보이지만, 공무원 가족 7만~8만 명을 빼면 대부분의 인구는 대전, 청주 등 인근 도시로 출퇴근한다. 공공기관을 제외하고는 번듯한 회사가 없기 때문이다. 정부의 ‘세종시 2040 도시계획’에 따르면 시 인구는 2040년에 80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행정기관만으로는 앞으로 80만 명으로 늘어날 시민을 먹여 살릴 수 없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창조와 도전의 미래전략수도 세종’ 건설을 시정 4기 비전으로 제시했다. 시는 미래전략의 핵심으로 ‘자족 경제도시’를 만들기로 했다. 경제자유구역과 글로벌 창업 빌리지를 조성해 좋은 기업을 유치하고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기업이 성장해갈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한다는 전략이다. 대전은 대덕특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에서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역할을 맡고, 세종은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를 실증 테스트베드 공간으로 활용해 첨단기업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또 도시의 혼이 담긴 문화예술 도시 조성을 위해 금강을 중심으로 ‘비단 강 금빛 프로젝트’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단계별 사업으로 수변공원을 만들고 각종 편의시설 확충과 다양한 문화 콘텐츠 제공을 통해 수변에 조성된 상권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세종시는 컨벤션 산업의 최적지로도 알려져 있다. 국토 중심지에 자리한 장점과 중앙부처 및 국책 연구기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마이스(MICE) 산업과 관광콘텐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의료복지 도시로도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립 중입자 가속기 암치료센터를 유치하고 대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중이온 가속기, 청주 오창테크노폴리스 방사광 가속기와 연계해 중부권에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할 방침이다.

시는 교육특구도시도 표방하고 있다. 우선 교육자유특구 지정에 행정력을 모으고 있다. 교육자유특구는 학생 선발과 교과과정 편성 등에 특례를 적용한다. 교육자유특구로 지정되면 주민의 교육 만족도를 높이고,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지원해 미래 교육도시 조성에 기반이 될 것으로 시는 판단했다. 최민호 시장은 “세종시에서 새 정부의 ‘행정수도 완성’ 공약 이행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며 “누구든지 일하고 먹고, 놀고, 쉴 수 있는 다양한 ‘거리’가 많은 도시로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