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남지사(앞줄 왼쪽 다섯 번째)와 광주·전남 지역 국회의원들이 지난달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공동건의문을 내고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의 전남 구축을 촉구하고 있다. 전라남도 제공
김영록 전남지사(앞줄 왼쪽 다섯 번째)와 광주·전남 지역 국회의원들이 지난달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공동건의문을 내고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의 전남 구축을 촉구하고 있다. 전라남도 제공
민선 8기 전라남도가 ‘세계로 웅비하는 대도약 전남 행복 시대’를 비전으로 세계와 경쟁하고 협력하는 글로벌 도정을 선언했다. 도정 운영 방향으로 국가균형발전 선도, 신해양·문화관광·친환경 수도 전남 실현, 영호남 및 제주 연계 광역관광 개발 등을 제시한 전라남도는 세계 시장에 충분히 대응할 만큼의 산업 및 연구개발 자원을 갖춘 지금이 ‘대도약의 적기’라고 판단하고 있다. 민선 7기에 이어 재선한 김영록 전남지사는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전력반도체를 비롯해 반도체와 에너지 산업을 전남이 선도할 수 있도록 총력전에 나서겠다”며 “문화·예술·관광 융복합 산업화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과학기술 연구개발(R&D) 호남권 구축을 위한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 유치에 온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전라남도는 2025년까지 100% 이행 완료를 목표로 8대 분야, 20개 전략과제, 100개 실천과제를 정했다.

글로벌 에너지 중심지 도약

김 지사는 지난 22일 일본 오사카시에서 열린 한일해협연안 시도현교류 지사 회의에서 8.2기가와트(GW)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과 그린수소 전 주기 산업생태계 구축 등 탄소중립 신산업을 선도할 ‘글로벌 전남’ 전략을 발표했다.

전남 부산 경남 제주 4개 시·도와 일본의 후쿠오카 사가 나가사키 야마구치 4개 현을 포함해 8개 시·도·현이 참가한 회의였다. 김 지사는 회의 첫날 주제발표에서 “탄소중립 신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전남으로 도약하겠다”고 공언했다. ‘글로벌 에너지 대전환 선도’를 역점 시책으로 추진하는 전라남도가 신재생에너지 산업에서 국내를 넘어 세계 중심에 서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평가받는다.

전라남도는 신안 앞바다에 국내 최대 규모의 8.2GW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을 비롯해 그린수소 에너지섬 조성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전력을 쏟고 있다. 김 지사는 민선 8기 공약으로 ‘세계적 기후 위기에 대응해 글로벌 에너지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도는 2개의 전략과제와 12개의 실천과제로 구성된 글로벌 에너지 대전환 선도 전략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첫 번째 전략과제는 글로벌 에너지산업 허브 구축이다.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운영 및 관리, 항만 기반 등 기업지원 체계를 갖춘 ‘해상풍력 융복합 산업화 플랫폼’ 구축과 ‘풍력발전 보급촉진특별법’ 제정에 공을 들이고 있다. 풍력발전 보급촉진특별법이 제정되면 인허가 기간을 5~6년에서 2년10개월로 줄일 수 있다. 내년 하반기 제정이 목표다.

광양만권에는 수소산업 융복합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2030년까지 2조8250억원을 들여 액화천연가스(LNG) 허브 터미널과 청정수소 생산기지, 수소항만터미널 등을 짓는 것이 주 내용이다. 올해 나주에 개교한 한국에너지공과대학에 에너지 신소재, 수소, 에너지 인공지능(AI) 등 5대 중점 분야 연구소를 유치해 산업과 연구자원을 연계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두 번째 전략과제는 기후 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전라남도는 여수를 중심으로 한 남해안남중권에 제3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3)를 개최해 탄소중립 실현을 끌어내겠다는 방침이다. 광주시와 함께 2050년까지 9200만t의 탄소를 감축하고 탄소중립·에너지 대전환 기후동맹을 선언하겠다는 구상도 마련했다.

전남 주도, 남해안 경제공동체 완성

'글로벌 도정' 선언한 전남…미래 100년 성장동력 발판 다진다
전라남도는 ‘남부권 영호남 경제공동체’ 조성과 철도·도로망 등의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을 통해 신해양·친환경·문화관광 수도이자 환태평양 시대의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신해양·친환경·문화관광 수도는 수도권과 충청권에 대응해 광주·전남 전북 부산 울산 경남 제주를 아우르는 초광역 메가시티를 조성한다는 방안이다.

전라남도는 3개의 ‘남해안 벨트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먼저 나로우주센터가 있는 전남 고흥군에 우주발사체 클러스터를, 경남 사천시에 우주 위성 산업 클러스터를 지어 남해안 우주산업 벨트를 완성하겠다는 복안이다. 다음달 예정된 정부의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은 물론 발사체 특화 산단 조성과 민간 우주개발 핵심 기반 구축까지 공동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전남 부산 경남 등 3개 시·도가 초광역 협력을 통해 탄성소재 핵심 기술 개발 및 고부가가치 사업화를 추진하는 남해안 탄성소재산업 벨트 조성도 추진한다. 전남은 원소재 생산 거점으로, 부산은 연구개발 기반으로, 경남은 부품 생산 거점으로 역할을 분담한다. 남해안 글로벌 해양관광 벨트에는 전남 광주 부산 경남 울산 등 5개 광역자치단체가 참여해 남부권 광역관광 개발에 주력하기로 했다. 전라남도는 기존 사업비 6858억원을 3조원 규모로 확대하고 이 가운데 전남 사업을 1조5000억원 이상 반영하겠다는 구상이다.

첨단산업 중심 일자리 3만5000개 창출

민선 8기 전라남도는 첨단·전략산업에 30조원 규모 투자를 유치해 3만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원대한 목표 실현에 다가서고 있다. 김 지사는 취임 석 달여 만에 총 43개 기업과 5조4000억원의 투자협약을 성사해 좋은 일자리 창출에 시동을 걸었다.

전라남도는 반도체, 2차전지, 해상풍력·수소, 항공우주·드론 등 다른 지역과의 비교우위 산업 중심으로 일자리를 만들어 내겠다는 방침이다. 세계적 수준의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 유치와 인공태양 국가연구시설 유치 등을 우선 목표로 잡았다.

K바이오 백신·면역치료 국가거점 구축, 2차전지 산업 생태계 확대 조성, 모빌리티 산업 고도화, 글로벌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조성 등도 미래를 내다보고 추진하는 핵심 사업들이다.

전라남도는 투자 기업에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제공하기로 했다. 분양률 80% 미만 산단에만 주던 입지보조금을 전체 산단으로 확대 적용하고, 국가항 배후단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연간 임대료의 일부 또는 전부(최대 50억원)를 지원하는 내용을 신설했다. 근로자 기숙사 임차료 지원(5년간 최대 3억원), 국내 복귀기업 투자 지원(최대 50억원) 등의 투자 유도 방안도 새로 내놨다.

김 지사는 “국가적으로 볼 때 균형발전은 가장 큰 과제”라며 “반도체 특화단지 등 광주·전남 상생 사업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경제공동체로 가는 지름길을 만들고, 지방소멸 대응 기금이 확대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무안=임동률 기자 exi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