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을 망치고 있어요"…제주도서 소탕 작전 나선 이 동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청도서 '생태계 교란종' 흑염소 대거 발견
"안전사고 우려돼 사살 나서는 것 "
"안전사고 우려돼 사살 나서는 것 "
제주시 추자면 신양리 청도에서 3년 만에 '흑염소 소탕 작전'이 벌어진다. '생태계 교란종'으로 꼽히는 흑염소가 대거 출몰해 섬 복원이 어려워질 우려가 커져서다.
3일 환경부 영산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한경닷컴과의 통화에서 "섬 주민들이 수익사업을 위해 풀어둔 것으로 추정되는 염소들이 청도를 훼손시키고 있다"며 "생태계 보전을 목적으로 흑염소 몰이에 나서는 것"이라고 밝혔다.
청도는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풍란, 밀사초 등 희귀 생물이 서식해 2003년 '특정도서'로 선정됐다. 특정도서에서는 각종 개발행위를 포함해 가축 방목, 야생동물의 포획과 반입 등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모든 행위가 금지된다.
특정도서 지정 당시에만 해도 청도에선 흑염소가 서식하지 않았다. 처음으로 흑염소 떼가 발견된 건 지난 2008년이다. 흑염소들이 청도의 희귀 식물을 있는 대로 먹어 치우더니 섬을 파괴하기 시작했다는 게 영산강유역환경청의 설명이다. 당시 제주도는 엽사로 대대적인 흑염소 소탕 작전을 벌였다. 이후에도 흑염소 떼가 출몰하자 2012년, 2020년에도 두차례 포획과 사살을 진행했다.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청도에서 발견된 흑염소는 총 30여마리다. 이는 2020년 소탕 작전 당시 포획되지 못한 개체가 번식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오는 4~5월 드론을 우선으로 이용해 흑염소 소탕 작전을 벌일 예정이다. 다만 절벽 등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는 엽총을 동원해 흑염소 사살이 진행될 예정이다.
원칙적으로 생태계 교란종에 대한 소탕은 살아 있는 상태에서 포획해야 한다. 그러나 영산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몰이꾼들이 절벽에서 염소 몰이를 하다 사망한 사례가 있다"며 "청도는 섬 전체가 절벽 지대여서 안전사고가 우려돼 사살에 나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부분의 섬에서 염소 수익사업이 사라졌으나 현재 또 다른 특정도서인 직구도에서도 흑염소 서식 흔적이 발견됐다"며 "정확한 개체 확인을 위해 열화상 카메라를 동원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
3일 환경부 영산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한경닷컴과의 통화에서 "섬 주민들이 수익사업을 위해 풀어둔 것으로 추정되는 염소들이 청도를 훼손시키고 있다"며 "생태계 보전을 목적으로 흑염소 몰이에 나서는 것"이라고 밝혔다.
청도는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풍란, 밀사초 등 희귀 생물이 서식해 2003년 '특정도서'로 선정됐다. 특정도서에서는 각종 개발행위를 포함해 가축 방목, 야생동물의 포획과 반입 등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모든 행위가 금지된다.
특정도서 지정 당시에만 해도 청도에선 흑염소가 서식하지 않았다. 처음으로 흑염소 떼가 발견된 건 지난 2008년이다. 흑염소들이 청도의 희귀 식물을 있는 대로 먹어 치우더니 섬을 파괴하기 시작했다는 게 영산강유역환경청의 설명이다. 당시 제주도는 엽사로 대대적인 흑염소 소탕 작전을 벌였다. 이후에도 흑염소 떼가 출몰하자 2012년, 2020년에도 두차례 포획과 사살을 진행했다.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청도에서 발견된 흑염소는 총 30여마리다. 이는 2020년 소탕 작전 당시 포획되지 못한 개체가 번식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오는 4~5월 드론을 우선으로 이용해 흑염소 소탕 작전을 벌일 예정이다. 다만 절벽 등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는 엽총을 동원해 흑염소 사살이 진행될 예정이다.
원칙적으로 생태계 교란종에 대한 소탕은 살아 있는 상태에서 포획해야 한다. 그러나 영산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몰이꾼들이 절벽에서 염소 몰이를 하다 사망한 사례가 있다"며 "청도는 섬 전체가 절벽 지대여서 안전사고가 우려돼 사살에 나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부분의 섬에서 염소 수익사업이 사라졌으나 현재 또 다른 특정도서인 직구도에서도 흑염소 서식 흔적이 발견됐다"며 "정확한 개체 확인을 위해 열화상 카메라를 동원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