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신축성 촉각센서 기술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주혁 에너지공학과 교수팀
웨어러블 기기 배터리·센서 활용
웨어러블 기기 배터리·센서 활용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은 이주혁 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움직임이 많은 일상 활동에서 사용해도 문제가 없는 신축성 촉각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12일 발표했다.
최근 착용형(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바이오센서 등이 개발되면서 이에 대한 에너지원 또는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마찰대전 발전소자가 주목받고 있다.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접촉하는 소재가 무해해야 하고 움직임으로 형태가 변해도 출력이 안정적이어야 한다. 이 교수는 “기존의 신축성 마찰대전 발전소자는 형태의 변화가 발전소자 출력에 영향을 줘 정밀한 감지에 제한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주헌 한양대(에리카 캠퍼스) 생명나노공학과 교수와 공동으로 그래핀 전극과 폴리염화비닐 겔(PVC-gel)을 이용해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만들었다. 인체의 움직임에도 일정한 출력을 낼 수 있는 안정적인 센서 소자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 교수는 “인체 움직임으로 발생하는 변형률보다 높은 최대 50%의 신축변형 상황에서도 터치와 압력에 의해 일정한 전기가 출력되도록 구현했다”고 밝혔다. 연구에 사용된 소재들은 생체 안정성 평가를 통과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NRF)과 DGIST가 센서 반도체 개발을 위해 지난해 초 설립한 DGIST센소리움 연구소 지원사업을 통해 진행됐다. 에너지공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나노에너지에 게재됐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최근 착용형(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바이오센서 등이 개발되면서 이에 대한 에너지원 또는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마찰대전 발전소자가 주목받고 있다.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접촉하는 소재가 무해해야 하고 움직임으로 형태가 변해도 출력이 안정적이어야 한다. 이 교수는 “기존의 신축성 마찰대전 발전소자는 형태의 변화가 발전소자 출력에 영향을 줘 정밀한 감지에 제한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주헌 한양대(에리카 캠퍼스) 생명나노공학과 교수와 공동으로 그래핀 전극과 폴리염화비닐 겔(PVC-gel)을 이용해 마찰대전 발전소자를 만들었다. 인체의 움직임에도 일정한 출력을 낼 수 있는 안정적인 센서 소자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 교수는 “인체 움직임으로 발생하는 변형률보다 높은 최대 50%의 신축변형 상황에서도 터치와 압력에 의해 일정한 전기가 출력되도록 구현했다”고 밝혔다. 연구에 사용된 소재들은 생체 안정성 평가를 통과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NRF)과 DGIST가 센서 반도체 개발을 위해 지난해 초 설립한 DGIST센소리움 연구소 지원사업을 통해 진행됐다. 에너지공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나노에너지에 게재됐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