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월급·퇴직금 다 날렸다"…'라덕연 폭탄'에 직원 줄퇴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월급과 중간 정산한 퇴직금을 다 날린 직원이 한두 명이 아닙니다.”
10일 서울 종로구 율곡로 S빌딩 앞. 정보기술(IT) 기업 얍컴퍼니 앞에서 만난 한 직원은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發) 주가 폭락의 핵심 인물인 라덕연 호안 투자자문 대표 얘기를 꺼내자 치를 떨었다.
라 대표는 작년 1월 이 회사에 투자한 뒤 경영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직원은 “라 대표의 인맥과 높은 투자 수익률이 알려지면서 전 재산을 털어 넣은 직원이 많았다”며 “‘키다리 아저씨’인줄 알았는데 사실은 썩은 동아줄이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한때 스타벅스의 ‘사이렌 오더’와 코로나19 알리미 앱을 개발해 기술력을 인정받았던 얍컴퍼니와 자회사 얍글로벌이 창사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직원 중 상당 수가 라 대표에게 월급과 퇴직금을 맡겨 손실을 본 데다 라 대표와의 연관성 때문에 회사 이미지도 나빠졌다. ‘SG사태’ 이후 퇴사자도 줄잇고 있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직원들은 라 대표 이야기만 나오면 입을 굳게 다물었다. 수 차례 질문을 하면 “라 대표에게 투자한 사실이 없다”는 한마디를 던지는 게 전부였다.
일부 직원은 “지금 얘기할 수 없으니 연락처를 주면 나중에 연락을 주겠다”고 귀띔했다. 마치 회사 차원에서 라 대표에 대한 함구령을 내린 것 같았다.
라 대표와 이 회사의 인연은 지난해 1월 시작됐다. 라 대표는 작년 1월 투자조합을 결성해 얍글로벌에 전환사채(CB) 240억원을 투자했다.
라 대표는 체포 직전 본지와 통화에서 “식당 주문 어플리케이션인 ‘얍오더’와 코로나19 알리미 등 사업 아이템이 좋다고 판단해 투자를 시작했다”며 “매월 7억 원 정도의 월급과 운영비도 내가 냈다”고 말했다.
이후 얍글로벌의 모회사인 얍컴퍼니 등에도 추가 투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얍글로벌 관계자는 “투자를 한 건 맞지만 경영권을 완전히 인수한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라 대표는 지분 투자에만 그치지 않았다.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회사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한 것.
수년 간 투자 성적이 좋은 데다 라 대표가 상당한 자산가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투자금을 늘리는 직원이 여럿 나왔다. 최근까지 높은 수익률이 이어지자 반신반의하던 직원들도 뒤늦게 투자에 뛰어들었다.
이뿐만이 아니었다. 라 대표가 운영하는 회사의 다단계 영업 사원이 된 직원도 나왔다. 투자자를 외부에서 데려오면 수익금의 일부를 준다는 라 대표 측의 설명에 직원들이 직접 투자자 모집에 나선 것이다.
라 대표에 투자했다 손실을 본 얍글로벌 전 직원은 “투자자를 데려오면 수익금의 1~3% 정도를 돌려줬다”며 “돌이켜보면 전형적인 다단계 영업 방식에 당했다”고 말했다.
라 대표는 “직원 월급과 퇴직금을 다시 받아서 재투자한 건 맞다”며 “그러나 애초부터 내가 투자한 돈을 다시 받은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서울 시내버스와 인천공항, 편의점 등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탄탄한 IT 기업이었던 얍컴퍼니·얍글로벌은 비상이 걸렸다. 이 회사는 우선 라 대표에게 투자자를 연결해 준 직원들은 추후 법적 책임을 져야할지 불안에 떨고 있다.
기업 가치도 하락했다. 비상장 시장에서 2021년 말 2000억 원 수준으로 올랐던 얍컴퍼니의 기업가치는 현재 200억 원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회사가 어려워져 월급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가 직원 사이에서 돌고 있다. 주식시장 상장도 라 대표와 엮여 있어 쉽지 않을 것이란 게 증권 업계의 시각이다.
회사 관계자는 “추가 투자 유치도 쉽지 않게 됐다”며 “다른 투자자들도 기존 사업이 멈추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안정훈/이광식/김우섭 기자
10일 서울 종로구 율곡로 S빌딩 앞. 정보기술(IT) 기업 얍컴퍼니 앞에서 만난 한 직원은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發) 주가 폭락의 핵심 인물인 라덕연 호안 투자자문 대표 얘기를 꺼내자 치를 떨었다.
라 대표는 작년 1월 이 회사에 투자한 뒤 경영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직원은 “라 대표의 인맥과 높은 투자 수익률이 알려지면서 전 재산을 털어 넣은 직원이 많았다”며 “‘키다리 아저씨’인줄 알았는데 사실은 썩은 동아줄이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사이렌 오더 개발한 얍에 무슨일이
한때 스타벅스의 ‘사이렌 오더’와 코로나19 알리미 앱을 개발해 기술력을 인정받았던 얍컴퍼니와 자회사 얍글로벌이 창사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직원 중 상당 수가 라 대표에게 월급과 퇴직금을 맡겨 손실을 본 데다 라 대표와의 연관성 때문에 회사 이미지도 나빠졌다. ‘SG사태’ 이후 퇴사자도 줄잇고 있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직원들은 라 대표 이야기만 나오면 입을 굳게 다물었다. 수 차례 질문을 하면 “라 대표에게 투자한 사실이 없다”는 한마디를 던지는 게 전부였다.
일부 직원은 “지금 얘기할 수 없으니 연락처를 주면 나중에 연락을 주겠다”고 귀띔했다. 마치 회사 차원에서 라 대표에 대한 함구령을 내린 것 같았다.
라 대표와 이 회사의 인연은 지난해 1월 시작됐다. 라 대표는 작년 1월 투자조합을 결성해 얍글로벌에 전환사채(CB) 240억원을 투자했다.
라 대표는 체포 직전 본지와 통화에서 “식당 주문 어플리케이션인 ‘얍오더’와 코로나19 알리미 등 사업 아이템이 좋다고 판단해 투자를 시작했다”며 “매월 7억 원 정도의 월급과 운영비도 내가 냈다”고 말했다.
이후 얍글로벌의 모회사인 얍컴퍼니 등에도 추가 투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얍글로벌 관계자는 “투자를 한 건 맞지만 경영권을 완전히 인수한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직원에 투자금 받아
라 대표는 지분 투자에만 그치지 않았다.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회사에 투자할 투자자를 모집한 것.
수년 간 투자 성적이 좋은 데다 라 대표가 상당한 자산가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투자금을 늘리는 직원이 여럿 나왔다. 최근까지 높은 수익률이 이어지자 반신반의하던 직원들도 뒤늦게 투자에 뛰어들었다.
이뿐만이 아니었다. 라 대표가 운영하는 회사의 다단계 영업 사원이 된 직원도 나왔다. 투자자를 외부에서 데려오면 수익금의 일부를 준다는 라 대표 측의 설명에 직원들이 직접 투자자 모집에 나선 것이다.
라 대표에 투자했다 손실을 본 얍글로벌 전 직원은 “투자자를 데려오면 수익금의 1~3% 정도를 돌려줬다”며 “돌이켜보면 전형적인 다단계 영업 방식에 당했다”고 말했다.
라 대표는 “직원 월급과 퇴직금을 다시 받아서 재투자한 건 맞다”며 “그러나 애초부터 내가 투자한 돈을 다시 받은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서울 시내버스와 인천공항, 편의점 등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탄탄한 IT 기업이었던 얍컴퍼니·얍글로벌은 비상이 걸렸다. 이 회사는 우선 라 대표에게 투자자를 연결해 준 직원들은 추후 법적 책임을 져야할지 불안에 떨고 있다.
기업 가치도 하락했다. 비상장 시장에서 2021년 말 2000억 원 수준으로 올랐던 얍컴퍼니의 기업가치는 현재 200억 원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회사가 어려워져 월급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가 직원 사이에서 돌고 있다. 주식시장 상장도 라 대표와 엮여 있어 쉽지 않을 것이란 게 증권 업계의 시각이다.
회사 관계자는 “추가 투자 유치도 쉽지 않게 됐다”며 “다른 투자자들도 기존 사업이 멈추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안정훈/이광식/김우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