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경제력 낮은 남자들 결혼 못해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의 비혼, 저출산 문제가 남성들의 소득과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과 출산 의향의 동태적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7∼2019년 기준 20대 중후반(26∼30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1분위)는 8%만 결혼 경험이 있지만, 소득 상위 10%(10분위)는 29%가 결혼 경험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원은 한국의 저출산 문제가 여성들의 문제만이 아니며, 남성의 혼인 지연에 관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에서 남성의 소득 수준과 혼인율의 상관관계에 주목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변수를 배제하기 위해 2017∼2019년 통계를 활용했다.
한 번이라도 결혼한 경험이 있는 '혼인 비율'은 모든 연령층에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했다.
30대 초중반(31∼35세)의 소득 하위 10%는 31%, 상위 10%는 76%가 결혼 경험이 있다고 답해 2배 이상 차이 났다. 30대 중후반(36∼40세) 역시 소득 하위 10%는 47%, 상위 10%는 91%로 나타났다. 40대 초중반(41∼45세)의 소득 하위 10%는 58%, 상위 10%는 96%였고, 40대 중후반(46∼50세)의 소득 하위 10%는 73%, 상위 10%는 98%의 혼인 비율이 나타났다.
보고서는 고소득 남성들은 30대 후반 이후 혼인 비율이 급속히 높아지지만, 저소득 남성들은 미혼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또한 결혼에 필요한 소득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남성이 늘어나면서 결혼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의견을 첨언했다.
연구원 측은 "경제력과 상관없이 젊은 남성들은 결혼을 미루는 추세가 있고 30대 중반 이후 남성의 결혼 여부에서 일자리 안정성 및 소득의 중요성은 크게 증가했다"며 "특히 남성들의 평균적인 경제력이 과거보다 개선됐는데도 혼인율은 감소하고 있는데, 이번 연구 결과는 남성의 소득 불평등과 분배 문제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저출산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14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과 출산 의향의 동태적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7∼2019년 기준 20대 중후반(26∼30세)의 경우 소득 하위 10%(1분위)는 8%만 결혼 경험이 있지만, 소득 상위 10%(10분위)는 29%가 결혼 경험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원은 한국의 저출산 문제가 여성들의 문제만이 아니며, 남성의 혼인 지연에 관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에서 남성의 소득 수준과 혼인율의 상관관계에 주목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변수를 배제하기 위해 2017∼2019년 통계를 활용했다.
한 번이라도 결혼한 경험이 있는 '혼인 비율'은 모든 연령층에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했다.
30대 초중반(31∼35세)의 소득 하위 10%는 31%, 상위 10%는 76%가 결혼 경험이 있다고 답해 2배 이상 차이 났다. 30대 중후반(36∼40세) 역시 소득 하위 10%는 47%, 상위 10%는 91%로 나타났다. 40대 초중반(41∼45세)의 소득 하위 10%는 58%, 상위 10%는 96%였고, 40대 중후반(46∼50세)의 소득 하위 10%는 73%, 상위 10%는 98%의 혼인 비율이 나타났다.
보고서는 고소득 남성들은 30대 후반 이후 혼인 비율이 급속히 높아지지만, 저소득 남성들은 미혼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또한 결혼에 필요한 소득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남성이 늘어나면서 결혼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의견을 첨언했다.
연구원 측은 "경제력과 상관없이 젊은 남성들은 결혼을 미루는 추세가 있고 30대 중반 이후 남성의 결혼 여부에서 일자리 안정성 및 소득의 중요성은 크게 증가했다"며 "특히 남성들의 평균적인 경제력이 과거보다 개선됐는데도 혼인율은 감소하고 있는데, 이번 연구 결과는 남성의 소득 불평등과 분배 문제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저출산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