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당 3000원에 월드컵 의류 만드는 노동자들…인상요구에 해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NYT 보도…일당 4천원대로 올려달라던 미얀마 노동자들의 비극
카타르 월드컵이 갈수록 열기를 더해가면서 각국 대표팀 유니폼을 비롯해 축구 관련 제품도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가고 있다.
전 세계 수백만 축구팬들은 90∼150달러(약 11만8천∼19만6천원)나 되는 나이키와 아디다스의 유니폼 상의를 입고 응원전에 나선다.
그러나 이러한 유니폼을 비롯해 축구 제품을 만드는 동남아시아의 노동자들은 열악한 근로 환경에서 하루 3달러도 채 벌지 못한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얀마 양곤의 푸첸그룹 공장에서 일하는 7천800여 명의 직원들은 아디다스 축구화를 만들면서 하루 4천800짯(미화 2.27달러, 한화 2천967원)을 받고 있다.
이들은 월드컵을 앞둔 지난 10월 하루 일당을 3.78달러(약 4천941원)로 올려 달라고 요구하며 파업에 나섰으나, 공장 측은 군 병력을 불러 파업을 진압하고 노조 지도부 16명을 포함해 26명을 해고했다.
해고 사태와 관련해 대만에 있는 푸첸그룹 본사는 현지 법 규정을 따르고 있다고만 밝혔고, 아디다스 측은 NYT에 "공급업체의 조치가 적법한지 조사하고 있다"며 "푸첸그룹에 즉각 해고 노동자들의 복직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미얀마를 비롯한 남아시아에는 4천만 명의 의류 산업 노동자가 이처럼 열악한 근로 환경에서 어렵게 돈을 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의류 산업 노동자들의 고통은 더욱 심해졌다.
인플레이션과 자국 통화 약세가 생활고를 더하고 있어서다. 미얀마의 경우 지난해 군부 쿠데타 이후 짯-달러 환율이 50% 이상 폭등했고 식료품, 교통, 주거비가 천정부지로 뛰어올랐다고 신문은 전했다.
대목인 월드컵 직전 미얀마 공장에서 잘린 해고 노동자들은 살길이 막막한 상황이다.
한 여성 노동자는 사흘 동안 먹을 것 없이 지내다 동료들이 음식을 조금 가져다준 덕분에 한숨을 돌렸고, 22세의 다른 노동자는 NYT에 "집세를 내지 못할까 봐, 그리고 우리 가족이 먹고살 수 있는 돈을 집으로 보내지 못할까 봐 걱정"이라고 털어놨다.
앞서 2천800명이 일하는 캄보디아의 의류 공장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고 신문은 전했다.
아디다스 축구 의류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유니폼을 만드는 이 공장은 근로 환경 개선을 요구하며 노조를 결성하자 8명을 해고했다.
최근 월드컵 개막 전부터 카타르의 이주노동자 처우와 성소수자 탄압이 국제적 인권 문제로 비화했으나, 월드컵 의류를 만드는 동남아 노동자들의 문제도 함께 공론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노동자인권컨소시엄'의 툴시 나라야나사미 국장은 "월드컵 관련 제품을 만드는 의류 노동자들의 심각한 인권침해가 완전히 무시되고 있다"면서 "노동자들이 공장에서 더 나은 여건을 얻기 위해 함께 일어서는 것은 기본적인 인권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전 세계 수백만 축구팬들은 90∼150달러(약 11만8천∼19만6천원)나 되는 나이키와 아디다스의 유니폼 상의를 입고 응원전에 나선다.
그러나 이러한 유니폼을 비롯해 축구 제품을 만드는 동남아시아의 노동자들은 열악한 근로 환경에서 하루 3달러도 채 벌지 못한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얀마 양곤의 푸첸그룹 공장에서 일하는 7천800여 명의 직원들은 아디다스 축구화를 만들면서 하루 4천800짯(미화 2.27달러, 한화 2천967원)을 받고 있다.
이들은 월드컵을 앞둔 지난 10월 하루 일당을 3.78달러(약 4천941원)로 올려 달라고 요구하며 파업에 나섰으나, 공장 측은 군 병력을 불러 파업을 진압하고 노조 지도부 16명을 포함해 26명을 해고했다.
해고 사태와 관련해 대만에 있는 푸첸그룹 본사는 현지 법 규정을 따르고 있다고만 밝혔고, 아디다스 측은 NYT에 "공급업체의 조치가 적법한지 조사하고 있다"며 "푸첸그룹에 즉각 해고 노동자들의 복직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미얀마를 비롯한 남아시아에는 4천만 명의 의류 산업 노동자가 이처럼 열악한 근로 환경에서 어렵게 돈을 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의류 산업 노동자들의 고통은 더욱 심해졌다.
인플레이션과 자국 통화 약세가 생활고를 더하고 있어서다. 미얀마의 경우 지난해 군부 쿠데타 이후 짯-달러 환율이 50% 이상 폭등했고 식료품, 교통, 주거비가 천정부지로 뛰어올랐다고 신문은 전했다.
대목인 월드컵 직전 미얀마 공장에서 잘린 해고 노동자들은 살길이 막막한 상황이다.
한 여성 노동자는 사흘 동안 먹을 것 없이 지내다 동료들이 음식을 조금 가져다준 덕분에 한숨을 돌렸고, 22세의 다른 노동자는 NYT에 "집세를 내지 못할까 봐, 그리고 우리 가족이 먹고살 수 있는 돈을 집으로 보내지 못할까 봐 걱정"이라고 털어놨다.
앞서 2천800명이 일하는 캄보디아의 의류 공장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고 신문은 전했다.
아디다스 축구 의류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유니폼을 만드는 이 공장은 근로 환경 개선을 요구하며 노조를 결성하자 8명을 해고했다.
최근 월드컵 개막 전부터 카타르의 이주노동자 처우와 성소수자 탄압이 국제적 인권 문제로 비화했으나, 월드컵 의류를 만드는 동남아 노동자들의 문제도 함께 공론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노동자인권컨소시엄'의 툴시 나라야나사미 국장은 "월드컵 관련 제품을 만드는 의류 노동자들의 심각한 인권침해가 완전히 무시되고 있다"면서 "노동자들이 공장에서 더 나은 여건을 얻기 위해 함께 일어서는 것은 기본적인 인권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