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
"삼성전자, 범용 메모리 반도체 시황 호조 지속될 것"-DS
DS투자증권은 25일 삼성전자에 대해 최근 범용 메모리 반도체 시황 호조가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0만9000원을 유지했다. 최근 범용 메모리반도체 가격 상승률이 주춤하면서 시황이 정점을 찍은 것 아니냐는 우려가 ...
2024.06.25 07:48
-
메모리부터 패키징까지…삼성 "TSMC보다 납품기간 20% 단축"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종합반도체 기업이다.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 개발·생산부터 다른 기업이 설계한 반도체를 만들어주는 파운드리, 서로 다른 칩 여러 개를 하나로 묶어주는 패키징까지 다 한다. 설계만 하는 엔비디아, 파운드리 및 패...
2024.06.13 18:32
-
"올해 메모리 시장, 과거 호황기 수준"…예상밖 실적 기대감 [종합]
올해 메모리 반도체 업황이 본격 개선되면서 과거 슈퍼 사이클 당시 호황기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AI) 열풍에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늘어나는 등 제품 판매단가가 올라가고 고부가 제품 판매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SK하이닉스가 25일 컨센서스(...
2024.04.25 14:10
-
반도체 겨울 지났다…삼성전자 1분기 매출 '70조 복귀' 유력
삼성전자가 반도체 부문 흑자 전환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삼성전자 매출 70조원대 복귀가 예상된다. 그동안 삼성전자의 발목을 잡았던 반도체 부문이 5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다. 지난해 내내 60조원대로 떨어졌던 매출이 70조원대를 회복하고 영업이...
2024.04.01 13:00
-
HBM 1등 SK하이닉스 자신감…"올해 매출 비중 두자릿수 돌파"
“D램 매출에서 고대역폭메모리(HBM) 비중이 지난해 한 자릿수에서 올해 두 자릿수로 올라갑니다.”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CEO·사진)은 27일 경기 이천 본사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HBM 경쟁력을 강화해 수익을 극대화할...
2024.03.27 18:21
-
삼성전자 "CXL 생태계 구축"…차세대 메모리 기술 선점 나선다
삼성전자가 국제 반도체 콘퍼런스인 ‘멤콘 2024’에서 차세대 메모리 솔루션 CXL(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을 공개하고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생성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고성능 연산 칩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만큼 CXL과...
2024.03.27 07:28
-
'D램 풍향계' 마이크론 흑자…삼성·하이닉스도 기대감 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실적 풍향계’로 불리는 미국 마이크론이 인공지능(AI) 특수에 힘입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메모리 강자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실적 전망도 밝아지고 있다. 마이크론은 20일(현지시간) 2024회계연도 2분기(지난해 12월~올해 2월) 매출이 58억24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8% 늘었다고 밝혔다. 시장 ...
2024.03.21 18:53
-
오픈엣지, 디자인하우스 세미파이브와 손잡고 AI 반도체 공략
반도체 설계자산(IP) 플랫폼 전문회사 오픈엣지테크놀로지(오픈엣지)가 디자인플랫폼 전문 회사인 세미파이브와 협력을 강화한다고 11일 밝혔다. 인공지능(AI) 반도체, 고성능컴퓨팅(HPC) 등 미래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다. 오픈엣지는 반도체의 특...
2024.03.11 11:35
-
삼성 낸드 출하량, 44% 뛰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지난해 한파를 극복하고 완연한 회복세에 접어들었다.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지난해 4분기 세계 D램 매출이 174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6일 발표했다. 이는 전 분기보다 29.6% 늘어난 수치다. 트렌드포스는 “D램 업체들이 전략적으로 감산한 영향이 크다”며 “올해 실적도 좋을 것으로 예상한다&rd...
2024.03.06 19:02
-
"밀리면 끝난다"…삼성 vs 반도체 연합군, 불붙은 'HBM 전쟁'
지난 10년여간 D램시장 관전법은 단순했다. ‘선수’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미국 마이크론 등 세 곳뿐. ‘누가 잘하느냐’는 생산 규모와 수율(전체 생산품 중 양품 비율)로 결정됐다.‘게임의 법칙’이 ...
2024.02.19 18:39
-
차세대 메모리는 하이브리드 반도체
‘똑똑한’ 인공지능(AI)을 구현하려면 성능 좋은 반도체는 필수다. 아무리 잘 설계한 AI라도 반도체 용량과 속도가 받쳐주지 못하면 아무짝에 쓸모없는 껍데기가 되기 때문이다. 요즘 가장 주목받는 메모리 반도체 제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는 이런 고민의 산물이다.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쌓는 식으로 용량을 늘리고 속도를 끌어올렸기 ...
2024.02.19 18:18
-
쫓기는 D램·'넘사벽' 아이폰…위기의 주력사업 '초격차' 살려야
삼성전자엔 창업·선대회장 때부터 내려온 ‘보석’ 같은 사업들이 있다. 각각 30년과 11년간 ‘세계 챔피언’ 자리를 지켜온 메모리 반도체와 스마트폰이다. ‘초격차’란 딱지가 붙은 이들 품목은 ...
2024.02.07 18:47
-
고전하던 메모리 살아난다…"삼성전자 올해 영업이익 30조 낼 것"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는 삼성전자의 실적을 좌우하는 ‘열쇠’로 통한다. 메모리 반도체를 찾는 기업이 늘면 이에 따라 영업이익이 폭증하지만, 수요가 끊기면 영업이익도 동반 추락하기 때문이다. 2018년 58조9000억원에 달한 영업이익이...
2024.01.31 18:49
-
삼성, HBM 생산 2.5배 늘린다
삼성전자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량을 전년 대비 2.5배 늘린다.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 확산으로 HBM 주문이 쇄도해 생산능력을 키워야 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와의 HBM 점유율 경쟁에서 우위를 가져가기 위해 삼성전자...
2024.01.12 18:52
-
삼성전자 'HBM' 승부수…내년에도 생산량 2.5배로 늘린다
삼성전자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량을 전년 대비 2.5배 이상으로 늘린다.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 확산으로 HBM 수요가 급증하면서 생산능력을 키워야 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와의 HBM 경쟁에서 우위를 가져가기 위해 삼...
2024.01.12 14:34
-
"AI폰·노트북 고맙다"…메모리 업황에 온기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시대가 열린 것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도 호재다. 온디바이스 AI가 적용된 스마트폰과 PC, 가전에 수없이 많은 낸드플래시와 D램이 들어가기 때문이다.‘낸드 훈풍’이 불기 시작한 것은 작년부터다. 오는 17일 공개하는 갤럭시S24 등 기업들이 올해 본격적인 제품 출시를 앞두고 작년부터 물량 확보에 나선 결과다...
2024.01.05 18:08
-
HBM 완판, D램값 반등…삼성 실적 청신호
‘해빙기에 막 접어든 업황을 보수적으로 반영한 수준.’삼성전자의 올해 반도체 영업이익 목표치(11조5000억원)에 대한 전문가들의 평가다. 영업적자를 기록한 작년처럼 암울하진 않아도 매년 영업이익 30조~40조원을 찍었던 ‘슈퍼사이클&r...
2024.01.01 17:41
-
AI 시대 급부상 'CXL 메모리'…삼성, 차세대 반도체 선점 발판
삼성전자가 차세대 메모리 기술인 CXL(Compute Express Link·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 선점에 나섰다. CXL은 메모리 용량을 유연하게 늘릴 수 있는 연결 기술로, 인공지능(AI)처럼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때 적합하다. 삼성전자는 AI 시대...
2023.12.27 18:06
-
"내년 메모리 반도체, 가동률 높일 가능성 작아"-유진
내년 메모리 반도체 업체가 가동률을 높일 가능성이 작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재고 수준이 높고, 수요 반등은 어렵기 때문이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4일 보고서를 내고 "재고가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이라며 "국내 주요 반도체 업체의 내년 수요 전망...
2023.12.04 09:01
-
"테슬라 홀렸다"...삼성전자, 'GDP' 전략 앞세워 150조 AI 반도체 시장 공략
삼성전자가 일반 D램보다 전력 효율이 70% 개선된 ‘LLW(Low Latency Wide) D램’을 내년 출시한다. 3나노미터(㎚: 1㎚=10억분의 1m) 이하 초미세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공정 기술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메모리 반도체와 프로세서를 수직으로 배치해...
2023.11.21 17:39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