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경제 회원이 되어 보세요

지금 바로 한국경제 회원으로 가입하시고, 독점 혜택을 누려보세요

  • 특별한 뉴스와 분석 보고서 접근
  • 주식 시장 및 경제 동향에 대한 최신 정보
  • 한경만의 독자적인 콘텐츠에 대한 접근
  • 이벤트 및 세미나 참가 기회

이미 회원이시면 로그인을 클릭해 주세요

    탄소국경조정제도

    • "내년 EU 탄소세 본격화…기업들, 탄소포집 생태계 올라타야"

      “내년부터 본격화되는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비하려면 우리 기업들도 탄소포집저장(CCS) 사업에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이호섭 한국CCUS추진단장(사진)은 30일 한국경제신문에 “현재는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이 ...

      2025.01.31 09:00

      "내년 EU 탄소세 본격화…기업들, 탄소포집 생태계 올라타야"
    • "기후위기는 사기" 주장한 트럼프…한국에 탄소세 부과할까 [김리안의 에네르기파WAR]

      "전체적인 관세 추진 방안 중 하나가 될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아이디어입니다."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지난 16일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관세 정책에 "탄소세를 검토할 수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공화당 빌...

      2025.01.28 20:10

      "기후위기는 사기" 주장한 트럼프…한국에 탄소세 부과할까 [김리안의 에네르기파WAR]
    • 프리미엄탄소국경조정제도 임박, 국내 기업의 대응은

      [한경ESG]-스페셜 리포트유럽연합(EU)은 지난해 5월 16일,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공식 발효했다. 이 제도는 이미 2022년 10월 1일부터 전환 기간이 시작됐으며, EU 역내 수입업자들은 CBAM 대상 제품의 탄소배출 정보를 수집해 지난 1·...

      2024.12.05 06:00

      탄소국경조정제도 임박, 국내 기업의 대응은
    • "보호주의에 잠식된 세계 경제…'한강의 기적' 더는 없을지도"

      레베카 그린스판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사무총장(사진)이 “한국이나 코스타리카와 같은 나라들이 고속 성장할 수 있었던 글로벌 무역 환경은 더 이상 최빈국의 발전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코스타리카 출신의 그린스판 사무...

      2023.12.25 14:30

      "보호주의에 잠식된 세계 경제…'한강의 기적' 더는 없을지도"
    • EU에 철강 수출땐 탄소배출량 알려야

      유럽연합(EU)의 입법부인 유럽의회가 철강, 알루미늄, 비료 등 수입품에 이른바 ‘탄소 국경세’를 부과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법안을 18일 처리했다. EU는 법안이 시행되는 올해 10월부터 역외 기업들의 탄소 배출량 보고를 의무화하기로 했...

      2023.04.19 00:54

      EU에 철강 수출땐 탄소배출량 알려야
    • "韓 철강에 무역장벽"…EU 의회서 탄소 국경세 법안 통과

      유럽연합(EU)의 입법부인 유럽의회가 철강, 알루미늄, 비료 등 수입품에 이른바 ‘탄소 국경세’를 부과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법안을 18일 처리했다. EU는 법안이 시...

      2023.04.18 22:27

    • 탄소배출권 소멸이 불가능한 5가지 이유 [김태선의 탄소배출권]

      탄소배출권시장의 소멸 이슈는 2021년 4월부터 본격적으로 부각됐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정점에 달했던 시기였습니다. 경기 침체는 무상할당 배출권의 과잉할당으로 이어지면서 매도우위의 시장이 본격적으로 전개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소...

      2023.01.31 07:00

      탄소배출권 소멸이 불가능한 5가지 이유 [김태선의 탄소배출권]
    • EU, 탄소국경세 도입…내년 10월 '시범 실시'

      유럽연합(EU)이 12일(현지시간)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에 잠정 합의했다.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비료 전력 수소 등 6개 품목이 대상이며 내년 10월 준비기간에 들어가 3~4년 뒤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CBAM은 EU 외 국가에서 수입하는 제품의 탄소 배출량이 EU 국가에서 생산하는 제품보다 많을 때 배출량 차이만큼 CBAM 인증서를 구입하도록 ...

      2022.12.13 18:03

    • 한국과 유럽 탄소배출권, 가격 동조화 가능한가 [김태선의 탄소배출권]

      지난달 모기관이 발표한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 급등이 산업별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2050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배출권 거래제를 현행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연계해 배출허용총량을 대폭 줄이는 상황을 가정했습니다.시나리...

      2022.07.05 07:00

      한국과 유럽 탄소배출권, 가격 동조화 가능한가 [김태선의 탄소배출권]
    • "韓 2035년 부담할 탄소국경세 4700억원"

      한국이 2035년 부담해야 할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세(CBAM·탄소국경조정제도)가 47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탄소국경세란 EU 역내에서 생산된 제품보다 탄소배출량이 더 많은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다.유럽의 환경정책 싱크탱크 샌드백과 E3G는 30일(현지시간) 한국을 비롯한 EU의 6대 주요 교역국가가 낼 탄소국경세 전망치...

      2021.08.31 17:20

    • EU 탄소국경세 도입, 국내 증시 수혜주·피해주는 어디? [허란의 경제한끼]

      '허란의 경제한끼'는 내 자산을 지키는 든든한 한 끼 같은 인터뷰 콘텐츠입니다. 한국경제 유튜브 채널에서 먼저 만날 수 있습니다.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법안을 발표하면서 국내 산업과 주식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탄...

      2021.07.15 20:37

      EU 탄소국경세 도입, 국내 증시 수혜주·피해주는 어디? [허란의 경제한끼]
    / 1

    AD

    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