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체에서 강의를 마치고 나오면서 가끔 이런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과연 나의 상품 가치는 무엇일까?” “나는 지금 무엇을 팔고 있는가?” “그렇다면 이 상품은 내년에도 팔릴 것인가?”




한 온라인 취업 사이트가 직장인 5,37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무려 73.1퍼센트가 “몸값을 올리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답했다. 여기서 자기 계발의 이유로는 “이직을 위해서”가 30.9퍼센트로 가장 많았고, “연봉 인상을 위해서”라는 답변도 29.5퍼센트에 달했다고 한다. 그러니까 직장인들의 가장 관심사는 자신 몸값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자신의 몸값을 올리려면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 우선 이런 질문을 한번 해 보자. “나는 회사 명함 없이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이런 질문에 답을 할 수 있다면 다행이지만 만약 그렇지 않다면 철저하게 자기 경영 즉 리모델링에 들어가야 한다.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5각형 모델’ (그림1) 이라는 도구를 사용한다. 이 ‘5각형 모델’로 자신을 현실적으로 점검해 보자.
당신이 몸값을 올리려면?
여기서 ‘5각형 모델’이란 기업을 평가할 때 ‘5가지’를 축으로 해서 평가하는 데서 나온 것이다. 자신이 ‘1인 기업’이라는 가정 하에 자신의 가치를 평가해 보아라. 그 5가지 축은 다음과 같이 구성이 되어 있다. 첫째, 현재의 시장 가치는? 둘째, 경영자가 평가하는 현재 기업의 가치는? 셋째, 내부 개선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잠재 가치는? 넷째, 내부 개선을 통해 높아질 잠재 가치는? 다섯째, 금융 기법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가치는? 이 질문에 차례대로 답을 준비한다. 당신의 가치를 올릴 수 있는 방법이 보일 것이다.




그러면 지금부터 <가상 평가 워크숍>을 통해 몸값을 올리기 위한 실습을 한번 해 보자. 가령 당신이 A기업 인사팀에 근무하는 ‘김철수 대리’ 라고 가정하자. 당신의 연봉은 4000만 원이다. 당신이 ‘김철수’라고 생각하고 다음 질문에 대답을 해보자.




첫 번째 질문이다. ‘현재 시장 가치는 얼마인가?’ 에 대한 답은 바로 4000만 원이다. 둘째, ‘당신이 생각하는 현재 가치는 얼마인가?’라는 질문에 “내 가치는 연봉 5000만 원은 될 것이다.”라고 답했을 것이다. 이처럼 현재 시장의 가치와 자신이 합당하게 여기는 가치와는 차이가 있기 마련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런 차이가 생겨난 이유를 찾아야 한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회사가 당신의 가치를 1000만 원 깎아서 평가하고 있거나, 당신이 근무하는 회사의 매출이 좋지 않아 당신의 기대만큼 연봉을 주지 않아서일 것이다. 당신이 기대하는 연봉을 받기 위한 방법은 원인을 어떻게 진단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 보자.




이제 세 번째 질문인 “내부 개선을 통한 잠재 가치는 얼마인가?”이다. 여기서 내부 개선이란 당신이 3년 내에 야간 대학원에 진학해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이 분야의 전문가들을 만나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자신이 하는 일을 주제로 ‘커뮤니티’를 만들고 업무에 대한 깊이를 키워 가면서 자신의 잠재 가치를 연봉 6000만 원으로 높이겠다고 구상했다. 내부개선을 통한 이제 당신의 잠재 가치는 6000만 원이 되는 것이다.




넷째, ‘외부 환경 개선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잠재 가치는 얼마인가?’라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당신이 “외부 전문가들과 연대해 공동으로 인사 제도 및 평가와 관련된 저서를 펴내거나 인사 관리 협회 등 각종 전문지에 기고하면서 외부 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해 연봉 7000만 원에 도전하겠다.”고 말했다고 하자. 이렇게 되면 외부 환경개선을 통해 당신의 잠재 가치는 7000만 원이 되는 것이다.




끝으로, ‘금융 기법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가치는 얼마인가?’라는 질문이다. 가령 당신이 “재테크를 통해 연봉 1억 원의 수익을 올릴 계획이다.”라고 답했다고 하자. 그렇다면 바로 당신이 최적의 가치는 1억 원이 되는 것이다.




사실 자신의 몸값을 하루아침에 올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물론 개인에 따라 ‘시장의 가치’와 ‘자신의 가치’에 괴리가 생기는 원인이 다르고 처방도 다를 것이다. 이 차이를 극복하고 가치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5각형 모델’로 냉정하게 자신을 재평가 해 보고, 만약 사각 지대가 있다면 그곳을 보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당신이 최적의 가치를 만들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필자는 매일 “‘No 3’를 외쳐라.” 라고 주문하고 싶다. 매일 아침 출근 시간에 앞서 거울을 보고 다음 세 가지 질문 즉 ‘체크 No 3’ 외쳐 보아라. 여기서 ‘체크 No 3’란 이렇다. ‘체크 No 3’이란 일종의 ‘성공 주문’이다. 매일 거울을 보고 해야 한다. ‘나는 무엇을 생산하는가?’ ‘나를 어디에 파는가?’ ‘나의 시장 점유율은 높아지고 있는가?’ 매일 아침 이 세 가지 질문에 명확하게 답변할 수 있을 때까지 부가 가치 창조를 위한 계획과 실행에 온 힘을 집중하면 된다.





자신의 가치는 자신이 평가하는 게 아니라 시장이 평가하는 것이다. 시장에서 제값을 받으려면 우선 일터로 나가는 자세를 바꿔야 한다. 바로 그 일터에 열정을 담고, 일을 사랑할 때 몸값도 오르기 마련이다. 오늘 점심식사를 한 후 잠시 시간을 내어 당신에게 아주 질손하게 자문해 보아라. “나의 가치는 얼마일까?” 이제 4월이다. 어느새 2/4분기가 시작하고 있다. Think Your Value! ⓒ이내화28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