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세월이 어느덧 흘러 목회를 시작한지 십 수 년이 흘렀다. 나이도 예순이 넘었다. 나의 인생과 목회를 한번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여러 가지 생각들이 주마등처럼 스쳐지나갔다. 그런 생각 중 하나는, 좀 아쉽고 약간 후회되는 것이 하나 있었다. 그것은 미친 듯이 몰입하는 열정이 부족했던 점이다. 좀 더 열정을 가지고 인생을 살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열정은 사람에게만 붙일 수 있는 단어이다.

역사적으로 살았던 인물 중 그런 열정을 가지고 산 사람들이 많다. 그런 사람 중 한 사람의 자취가 남아 있는 곳을 몇 년 전 교회에서 다녀왔었다. 그곳은 증평이다. 우리교회 성도의 별장이 있어 함께 예배를 드리고 큰 저수지 주변을 돌아보는 둘레 길도 교우들과 함께 한 바퀴 돌았다. 곳곳에 한시(漢詩)와 사람조각물을 보았다. 안내문을 읽다가 ‘아, 이 사람의 고향이 여기구나’하면서 관심을 가지고 주변을 살펴보았다. 그 사람은 백곡 김득신(1604-1684)이다. 그가 어떤 사람인지 우선 그의 묘비명을 보자.“재주가 남만 못하다고 스스로 한계를 짓지 말라. 나보다 어리석고 둔한 사람도 없겠지만, 결국에는 이룸이 있었다. 모든 것은 힘쓰는데 달려 있을 뿐이다”. 내가 처음으로 그를 알게 된 것은 『미쳐야 미친다』라는 책을 통해서이다. 특히 그의 <독수기>를 보고 놀랐다. 그는 한 인간의 성실과 노력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그는 독서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만 번 이하로 읽은 것은 아예 숫자에 들어가지도 않았다.“읽은 횟수가 만 번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에 ‘독수기’에는 싣지 않았다. 만약 뒤의 자손이 내 독수기를 보게 되면, 내가 책 읽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음을 알 것이다.” 만 번 이상 읽은 책이 36편이다. <백이전>은 11만3천 번이나 읽었다. 그는 결코 천재는 아니다. 그는 10세에 글을 배우기 시작해 20세가 되어서야 글 한편을 지을 정도였으니 그 당시 사람들에 비하면 둔재이다. 과거도 59세가 되어서야 합격하였다. 과거합격 해 성균관에 들어간 뒤에도 길을 걸을 때나 앉아 있을 때나 남들과 이야기를 주고받을 때나 혼자 있을 때나 옛글을 외우지 않은 적이 없었다. 밤에는 늘 책을 머리맡에 두고 잤다. 그런 까닭을 묻자“잠에서 깨어 가만히 손으로 문지르고 있으면 마음이 편안해 진다네”(『미쳐야 미친다』 인용)라고 할 정도이다. 한마디로 김득신은 미친 사람이다.

이 세상에 무언가를 이룬 사람들의 숨은 이야기를 들어 보면 때로는 미쳤구나 할 만큼 소름끼치는 이야기가 많다.『미쳐야 미친다』는 불광 불급(不狂 不及)이다. 개인적으로 조선시대 인물에 관심이 많다. 그래서 평전을 종종 읽는다. 다산 정약용과 추사 김정희 두 사람은 우리나라 18세기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그들에 관한 글을 읽다가 혀를 두른다는 말처럼 탄복을 한 대목이 있었다.

다산 정약용의 제자 중 가장 아끼었던 제자는 치원 황상이다. 황상은 스승을 이야기하면서 과골삼천(踝骨三穿)을 말한다.“우리 선생님은 복사뼈에 구멍이 세 번 나도록 공부하고 또 공부하셨다. 내 복사뼈는 아직도 건재하다. 거기다 여태 아무것도 이루지 못했다. 나는 이것이 부끄럽다. 그래서 이 나이가 되어서도 공부를 그만 둘 수 없다. 그러니 말리지 마라.”(『삶을 바꾼 만남』인용) 얼마나 두 무릎을 방바닥에 딱 붙이고 공부에만 몰두했으면 바닥에 닿은 복사뼈가 세 번이나 구멍이 날까? 추사 김정희는 “70 평생에 벼루 10개를 밑창 냈고, 붓 일천 자루를 몽당붓으로 만들었다”(『김정희』인용) 고 한다.

우리가 사는 시대는 점점 전문가를 요하는 시대이다. 전문가를 넘어 장인이 되어야 하는 시대이다. 그런 장인이 되기까지는 무엇보다 자기가 몸담고 있는 분야에 몰두하고 열정을 가지고 살아가는 장인정신이 필요하다. 김득신 정약용 김정희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불광 불급(不狂 不及)이다. 크든 작든 나에게 주어진 처소, 분야에서 미친 듯이 열정을 가지고 살았다면 후회는 없을 것이다. 그렇지 않은가?


<한경닷컴 The Lifeist> 고병국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