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서정훈
서정훈
The Moneyist
이메일
서정훈의 환율노트
*약력
한양대에서 경영학 박사(재무금융)를 거쳐 2008년부터 하나은행(옛 외환은행)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외환시장과 환율 및 국제금융이 전문 분야입니다. 주요 경제지 등에 다수의 환율관련 이슈를 기고했고, 재무관련 학술지 등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환위험관리위원회 비상임위원, 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단 조사분석위원을 역임해 현재 주요 공공기관과 대형중공업 업체 등에서 환리스크관리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소개글
환율이 무엇인지, 개념을 시작으로 주요 이슈로 환율이 급반등 했던 사례들을 소개해 나가겠습니다. 일반 독자들이 알아야 할 내용을 환율 경제적 관점에서 풀어보고, 시장에 주요 이슈가 등장할 때에는 적시적으로 그에 대한 내용으로 시장 상황을 살펴보는 연재를 진행하겠습니다.
  • 최근 인플레이션 현상과 환율에 대한 영향

    최근 미국 경제의 인플레이션이 크게 상승한 가운데 국채금리까지 가파르게 올랐습니다. 달러 강세가 심화됨에 따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신흥국가들의 통화가치가 크게 절하되는 모습입니다. 그동안 이 인플레이션에 대해 '일시적인'이라는 기조를 유지해왔던 제롬 파월 중앙은행(Fed) 의장도 최근의 추세가 일시적이 아닌 '공급망 병목현상'에 의한 공급측 충격임을 제시했습니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될 수 있...

    2021-11-10 07:05
  • 외환시장에서 '환율 동조화'는 왜 발생할까

    외환시장에서 결정되는 양국 통화간 교환 비율인 환율의 가격 결정은 수급이나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에 기초해 항상 결정되지는 않습니다. 최근 통화간 동조화 현상에 의해 우리나라 원화와 같은 한 국가의 통화 움직임이 기초여건을 반영한 가격에서 이탈하며 가격 결정이 왜곡되는 현상이 간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원화와 거래되는 많은 통화들 중에 어떤 통화의 영향이 동조화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고,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까요. 이를 통...

    2021-09-02 07:02
  • '테이퍼링'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1년이 지난 현재, 악화일로로 치닫을 것만 같았던 확산세는 완화되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의 효과는 코로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것 외에 그동안 침체됐던 경제와 금융 부문 회복 동력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백신접종 확대 이후,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가들에서는 경제 재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동안 경제주체들의 기대인플레이션 확대가 금리상승을 이끌며 통화 시장에서도 달러 강세가 나타나는 흐름이었습니다. 그런데 ...

    2021-07-06 05:39
  • 중앙은행의 통화정책과 환율

    세계경제가 충격을 받아 요동치는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등장하는 곳이 미국 중앙은행(Fed)입니다. 여기서 통화정책 의사결정을 하는 곳이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이고, 이 FRB에서 공개시장조작 정책을 수립, 집행하는 의결기구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입니다. 우리나라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의결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와 유사하다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연방준비제도는 12개 지역 연방은행들의 은행입니다. 말 그대로 중앙은행이라는 점에서...

    2021-05-04 06:00
  • 환율과 최근 급등한 금리와의 관계

    환율은 일반적으로 한 나라의 통화에 대한 상대국 통화의 교환 비율입니다. 교환 비율이라는 관점에서 먼저 통화(돈)의 가격을 생각해봅시다. 우리가 통상 은행을 통해 돈을 빌리는 경우 그에 대해 이자를 지급하게 됩니다. 이 때, 이자 지급에 기준이 되는 금리를 돈을 빌리는 가격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자에 대한 금리로 한 국가의 통화에 대한 가격이 형성되는데 반해, 상대 통화에 대한 가격, 즉 교환 비율이 환율인 것입니다. 이는 원화를 가지...

    2021-03-05 0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