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보상가 평가사마다 큰 차이 보여

*** 공신력문제와 함께 공공사업추진에 어려움 *** ** 사업비 사업추진에도 어려움 겪어 ** 각종 공공사업에 편입되는 토지의 보상가격을 결정하는 공인 평가사들의평가가격이 평가사별로 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공신력문제와함께 공공사업추진에 큰 어려움을 주고 있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관악구 봉천동 낙성대배수지공사로 편입되는 토지총 8필지 5,927평에 대해 시가 의뢰한 한국토지평가사협회소속 대한/한성토지평가사는 평당 10만원씩 5억9,500만원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이 평가에 지주들이 크게 반발하고 나서자 시는 곧바로 건설부중앙토지수용위원회에 재결을 요청했고 중앙토지수용위는 서울시가 당초의뢰한 같은 협회소속 정일/한양 두 평가사에 맡겼다. *** 서울시, 8개월만에 2배차이...사업추진 *** 이들 평가사는 지난 3월 평당 20만6,000원인 12억2,800만원으로 평가했다. 8개월만에 2배이상 (106% 증액)으로 평가한 것이다. 이는 유사한 예의 경우 지금까지 땅값 상승률이 연평균 30%에 달했던 것과건설부 지가동향에서 같은기간 32.4% 인상된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 이 지역이 75년 9월부터 공원으로 도시계획이 결정된 임야로 땅값이이처럼 크게 오를 이유가 없는 곳임을 감안할때 평가과정에 큰 의혹이 일고있다. 서초구 법원청사 진입로의 경우도 평가사들은 지난 2월27일 당초 평가때는평당 335만원으로 평가했으나 재결신청에 의한 6월30일의 평가에서는 평당521만원으로 불과 4개월만에 땅값이 55.5%나 오른 것으로 평가했다. 이때문에 길이 200m, 너비 40m의 법원청사 진입로를 내기 위해 보상비로만100억원에 이르는 시민세금이 들어가게 됐다. 이처럼 불과 몇개월 사이에 토지평가액이 동일협회소속 평가기관마다 큰차이를 보이자 각종 공공사업지구에 포함된 지주들이 최초보상합의를 기피하는 율이 부쩍 높아졌으며 이에따라 사업비가 훨씬 많이 드는 것은 물론사업추진도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