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특융 올부터 단계적 회수키로

부실기업정리에 따라 부실채권을 떠앉은 은행을 지원하기 위해 대출됐던한국은행 특융이 올해부터 일부 회수된다. 22일 한은에 따르면 금년중 만기가 돌아오는 2,500여억원의 특융(A2자금)을각 은행의 경영실적과 자금사정등을 감안해 가며 일부 회수하고 내년이후에상환만기가 되는 나머지 특융도 회수, 점차 줄여나갈 방침이다. **** 최근 은행경영 개선에 따른 조치 **** 이같은 방침은 오는 9월부터 은행의 부실기업정리 관련 대출금의 만기가돌아오기 시작하는데다 최근들어 대규모 유상증자와 예대금리차 확대 및 증권투자수익 급증등으로 은행경영이 크게 개선됨에 따라 관련 대출금의 만기가도래하거나 은행수지가 대폭 개선돼 더이상 금리가 연 3%밖에 안되는 특융혜택을 계속 부여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데 따른 것이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이와관련, "그러나 아직 금년중 만기가 도래하는특융중 어느정도를 회수할 것인지와 은행별로 회수비율을 어떻게 책정할것인지등 구체적인 회수방법은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지난 80년대초 총 1조7,222억 공급됐으나 한푼도 회수되지 않아 **** 한은특융은 지난 80년대초 무더기로 도산한 해외건설업체 및 해운업체들의정상화를 위해 정부가 산업합리화 조치를 단행, 부실기업을 대거 정리하면서인수업체들에 대해 엄청난 금융특혜를 주는 바람에 은행경영이 크게 악화되자85년 12월 처음으로 각 은행에 3,000억원이 지원된 것을 비롯, 86년 5월6,844억원, 87년 5월 7,378억원등 지금까지 3차례에 걸쳐 모두 1조7,222억원이 공급됐으나 한푼도 회수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 상업 9,056억, 외환 3,827억, 조흥 2,054억원등 **** 은행별로는 상업은행이 9,056억원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외환 3,827억원 조흥 2,054억원 제일 1,076억원 서울신탁 875억원 한일은행 333억원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