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분기까지 주가동향과 특징...김헌기자 <<<

**** 연초보다 지수 22P 상승 **** 금년 증시는 벌써 3/4분기의 23이 지나고 겨우 3월을 남겨두고 있다. 거래일수기준으로 볼때는 70여일 남은 셈이다. 3/4분기를 마감한 현재 종합주가지수는 연초보다 22.80포인트 오른 972.41을 기록하고 있다. 상승률로 보면 연초에 비해 2.48%에 그쳤다. 더구나 남은 4/4분기의 주가도 물량압박우려등으로 큰 장을 기대하기는어렵다는 점에서 상승폭은 크지 않으리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마디로 투자자들이별다른 재미를 보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현재의 종합주가지수 사상 최고치 1,007.77에 비해 6.48%인 65.36포인트나떨어져있다. 연중 최저치인 지난 7월1일의 840.30보다는 96.11포인트 상승, 11.3%의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분기별주가는 1/4분기(1-3월)중에 강세를, 2/4분기(4-6월)에는 약세를보였으며 3/4분기동안은 회복세를 보였다고 특징지어 말할 수 있다. 올들어 입회일수로 따져서 219일동안 열렸던 증시의 총 거래량은 26억6,199만주로 하루 평균 1,215만주씩 매매됐다. **** 전반 약세, 업종별 명음은 심화 **** 거래대금은 63조9,876억100만원으로 하루평균 2,921억원의 돈이 오고갔다. 전반적인 장세가 지난해에 비해 약한 편이었지만 업종별로 보면 명암이크게 엇갈렸다. 우선 크게 나누어 제조업과 금융 도매 건설등 이른바 트로이카주와의대결에서는 제조업이 압승을 거두었다. 업종지수 상승률 및 거래비중이 이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주가 상승률이 가장 컸던 업종은 기계로 46.45%의 상승률을 보였다. 종합주가지수가 2.48% 오른데 비하면 오름세가 상대적으로 매우 컸다. **** 상승률 최고 기계업으로 46% **** 또 기계 업종지수가 최고치와 최저치를 기록한 날이 각각 9월16일과 1월6일로 종합주가지수와 상이하게 움직여왔으며 비교적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줬다. 가중평균주가가 낮은 편인 의복이 34.99% 오른데 이어 의약 조립금속도30%이상의 상승률을 보였다. CB관련주가 속해있는 전기기계는 연초에 비해 28.96% 올랐다. 이밖에 나무 종이 운수 창고등의 내수업종과 운수장비등의 상승률은 20%를웃돌았다. 이에반해 금융 도매 건설등 트로이카주는 낙폭이 컸다. 단자주가 연초에 비해 11.77%나 떨어진 것을 비롯 은행과 증권의 하락률은각각 7.79%와 7.08%였다. 도매와 건설 역시 각각 9.04%와 7.94%의 하락률을 보여 금융주와 더불어맥을 못추었다. 업종별 거래비중 역시 트로이카주의 인기가 시들했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 **** 1분기 강세 -> 2분기 약세 -> 3분기 회복세 **** 올들어 9월말까지 금융주 거래비중은 19.1%로 전년동기의 32.9%보다 크게낮아졌다. 도매가 지난해 9.0%에서 5.7%로 줄어들었고 건설은 22%%에서 절반이상낮아진 10%로 감소했다. 거래대금에서는 대우중공업과대우전자가 나란히 1-2위를 차지, 거래량에서우세를 보인 서울신탁은행과 상업은행을 누르고 앞섰다. 이밖의 대우 조흥은행 유공 제일은행 현대건설 한일은행등 10개 개별종목의거래대금은 각각 1조원을 넘어섰다. **** 회전율 상위종목 **** 상장주식수가 불과 43주뿐인 쌍용양회 전환신주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태흥피혁 신일산업1신 중원전자 펭귄등이 각각 400%이상의 회전율을보여 손바뀜현상이 매우 활발했다. 상위 50개종목에는 상장주식수가 적은 소형주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 상승률 상위종목 **** 관리대상종목인 진양이 89.73% 오르면서 1위를 차지했다. 진양의 연초 종가는 4,480원이었으며 9월말 종가는 이보다 4,020원이 오른8,500원이었다. 진양의 상승률은 연율로 환산하면 정기예금 금리 10%의 12배나 되는 120%나된다. 한국컴퓨터와 세진이 각각 73%의 상승률로 진양을 뒤따르고 있다. 상승폭으로는 1만8,300원이 오른 삼성항공(상승률 63%)이 수위를 차지했다. 주로 전기기계 화학 기게등 제조업이 상위 50개종목의 대부분을 차지하고있다. **** 하락률 상위종목 **** 상승률에서 관리대상종목이 1위애 랭크된 것과 마찬가지로 하락률 1-2위역시 관리대상종목이 진흥기업과 삼익주택이 올라있다. 하락률은 각각 55%정도로 연초보다 절반이상 떨어졌다. 주가하락폭이 2만2,600원으로 가장 큰 신영증권 1우선주가 3위에 랭크된것을 시작으로 18위까지 증권주가 줄줄이 이어져있다. 하락률 상위 50개종목안에 절반에 가까운 23개종목이 증권주로 구성돼 있어증권주의 약세를 말해주고 있다. 제조업으로는 경일화학이 연초보다 28% 하락, 20위를 차지했다. 상위 50개종목안에는 금융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간간이건설 및 도매업종도 눈에 띈다. 그러나 단순주가하락률은 연초주가와 9월말 주가를 단순비교한 것으로이 기간동안 증자에 따른 권리락이나 배당락의 조치가 취해졌으면 이를감안해야 한다. 이렇게보면 유/무상증자를 많이 실시했고 증자폭도 컸던 증권주의 하락률을그대로 받아들이는데는 문제가 있다. 유/무상증자와 3월말의 배당락 조치등을 감안하면 하락폭은 단준주가비교로 나타난것 보다는 훨씬 낮은 수준임을 감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