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기술연구원, 고화질TV 개발 주관
입력
수정
고화질TV(HDTV)개발사업의 주관연구기관이 생산기술연구원(원장박우희)으로 결정됐다. 이에따라 그간 사업추진의 중심이 없어 실질적인 연구개발에 큰 진전을보지 못하던 HDTV 개발사업이 구심점을 찾고 본격화될 전망이다. 11일 생산기술연구원(KAITEC)에 따르면 상공부는 HDTV개발사업에 이미참여의사를 밝힌 삼성전자등 16개 업체의 기술별/분야별 개발활동을주도적으로 조직화하고 총괄하는 주관연구기관을 생기원으로 지정하는방침을 최근 확정했다. 이와함께 전자통신연구소(ETRI) 국방과학연구소(ADD) 서울대 뉴미디어연구소등이 협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 93년 국산화 목표 참여업체에 분야별 과제 분담 *** 생기원은 앞으로 주관연구기관으로서 오는 93년말까지 HDTV를 개발한다는목표에 맞춰 참여업체와 연구기관에 시스템/디스플레이/반도체/위성수신등기술별및 수상기/산업응용/방송/전송등 분야별로 세부적인 개발역할을분담시키고 단계별 추진실적을 점검 평가하며 최종적으로 시스템화 시키는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생기원 자체도 신호전송 영상처리등 원천기술과 생산기술개발을 맡게된다. 생기원은 상공부의 이같은 주관연구기관지정에 따라 최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조장희박사(전기및 전자공학과교수)를 생기원의 연구석좌교수로임명하면서 조박사에게 HDTV 개발사업의 총괄연구책임자역을 맡기기로했다. 조박사는 국내처음으로 NMR-CT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영상처리/신호전송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 *** 연내 "연구개발본부" 발족 계획 *** 이와함께 생기원의 연구개발본부는 올해안에 발족시킬 계획은 5개연구개발사업단중 첫번째로 HDTV개발사업단을 구성키로 하는 기민함을보이고 있다. 오는 2월께 구성될 HDTV개발사업단은 조박사를 단장으로 30여명의국내및 해외(유치)의 박사급이상 고급인력으로 구성할 방침이다. 국내 연구개발역사상 최대규모가 될 HDTV개발사업은 지난 88년부터시작돼 지난해 상공부가 정부계획을 발표하고 업계중심의 민간공동개발추진위원회가 구성됐으나 우수한 연구능력을 갖고 업계를 주도할주관연구기관이 설정되지 못해 공동개발이 거의 진전을 보지 못한실정이었다. 업체들이 사업성이 유망한 분야로만 집중적인 참여/투자계획을 세워중복투자의 우려가 큰데다 공동개발과는 다른 독자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하는업체도 나타났다. 또 개별기업차원에서도 선진국의 기술이전이 차단돼 아직까지 기술도입계약을 한건도 체결하지 못하고 일본의 일부기업에 기술연수를 받고 있는정도에 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