럭키, TV 브라운관용 형광체공장건설...미국과 기술제휴

제조업 부문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지난해 크게 둔화됐다. *** 지난 3년간 (86-88) 평균증가율 절반도 안돼 *** 23일 한국생산성본부가 실시한 지난해 제조업부문 노동생산성 조사(상용근로자 기준)에 따르면 지난 86년 17.9%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이후 87년 12.0%, 88년 12.7%로 계속 둔화되어 온 노동생산성 지수 상승률이지난해에는 6.6%로 격감, 지난 3년간 (86-88년)의 평균증가율 14.2%의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으로 떨어졌다. *** 작년 임금상승률 생산성증가율의 4배 *** 이에 비해 명목임금 인상률은 지난 86년의 9.2%에서 87년 11.6%,88년 19.6%로 급증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25.4%를 기록, 지난 3년간(86-88년)의 평균 인상율 13.5%의 거의 2배에 육박하면서 노동생산정증가율 6.6%의 4배에 이르고 있어 국내 산업의 국제경쟁력 약화를심화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 노동생산성 소폭 증가는 노동투입량 감소때문 *** 한편 지난해 산업생산의 증가율이 2.9%로 과거 3년간의 연평균증가율 17.8%의 6분의 1수준으로 급격히 둔화됐음에도 불구, 노동생산성이소폭이나마 증가세를 유지한 것은 노동투입량 지수가 상용근로자의 경우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내면서 4.6%가 감소했고 생산직 근로자의경우도 88년의 1.7% 감소에 이어 지난해에는 마이너스 9.1%로 감소폭이크게 늘어나는등 노동투입량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같은 노동투입의 감소는 주로 조업단축이나 근로시간 단축등에기인한 것이어서 직접 고용감소로 이어지지는 않았으나 장기적으로는고용감소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어 실업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