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에스터 F로컬가격 인하공방

폴리에스터SF 로컬가격이 인하된데 이어 폴리에스터F 수요업계가또다시 로컬가격 인하를 요구하고 나서자 이번에는 화섬업계가 반발,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폴리에스터F 수요업계인 직물업체들은폴리에스터F 로컬공급가격을 현재보다 20%씩 낮춰 지난 3월1일부터소급해 줄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으나 공급업계인 화섬업체들은 이를수용치 않을 자세여서 쌍방간 팽팽히 맞서고 있다. *** TPA가격 급락, 인하요인 발생 *** 직물업체들은 작년말부터 계속된 EG(에틸렌글리콘), TPA(고순도테레프탈산)등 주요 원자재의 가격속락으로 대폭적인 폴리에스터F가격인하 요인이 발생했다고 지적, 20%씩의 로컬가격 인하에 큰무리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 동남아시장등에서 국산 직물류에 대한 특수바람이일고는 있으나 수출실적에 비해 채산성 개선은 거의 없다고 분석하고그 주요인이 원사 로컬가격의 고가화에 달려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화섬업계측에서는 최근 원자재 가격이 내렸으나 현재폴리에스터F 로컬가격은 종전 원자재가격 상승분이 반영되지 않은것이기 때문에 폴리에스터F의 가격인하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 "아직적자경영못벗어 어렵다"...화섬업계 *** 더욱이 아직까지 국내 화섬업계 상당수가 적자경영을 면치 못하고있는데다 국내 공급가격 파운드당 1달러5센트(75데니어기준)는대만산의 1달러10센트-1달러22센트, 일본산의 1달러15센트-1달러24센트보다 낮은 수준으로 폴리에스터SF 업계의 로컬가격 인하시와는 상황이다른 점을 강조하고 있다. 최근 폴리에스터F 업계는 그간 신/증설 물량의 급증으로 공급과잉을초래, 생산물량 소화에 적잖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로인해 관련수요 업계의 가격인하 요구에 탄력적인 대응을 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