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을금속, 니켈합금 국내 최초개발

우리나라 기업체의 40%이상이 노무관리전담부서를 두지않고 있으며 전담부서를 두고있는 업체의 절반이상이 전담직원을 2-5명밖에 두고 있지 않아기업체들의 노무관리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기업 40%만이 전담부서 둬 *** 또 대부분의 노조들이 기본급 또는 월급여 총액의 1-2%를 조합비로거두고 절반이상의 노조들이 쟁의기금등을 적립하고 있으나 적립금액등이적어 노조의 교섭력을 경제적으로 뒷받침할수 있는 수준은 되지 못하고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노동연구원(원장 손창희)이 31일 전국 1천1백86개노조를 대상으로 실시한 노동조합실태 조사보고서에서 밝혀졌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노조 7백20개중 43.0%인 3백14개사가 노무관리부서를 두지 않고 있다고 답변했다. 노무관리전담부서를 두고 있는 업체는 4백16개사(57.0%)로 부단위가1백25개사(17.1%), 과단위가 2백31개사(31.6%), 계단위가 60개사(8.2%)로과단위규모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무관리전담부서의 직원수는 2-5명이 2백29개사(55.0%)로 가장 많고1명밖에 안둔 업체도 86개사(20.7%)나 됐다. 6-7명은 57개사(13.7%), 11명이상은 36개사(8.7%)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 조합비 적립도 영세 경제적 뒷받침 못해 *** 한편 이 보고서에 따르면 노동조합의 조합비 부과기준은 기본급(49.5%)이나 월급여총액(30.2%)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조합비징수비율은 평균 1.4%로 나타났다. 조합비 징수비율은 1.0%가 39.9%로 가장 많고 1.1-1.5%가 30.5%, 1.6-2.0%가 23.8%, 1%미만이 6.7% 순이었다. 또 전체대상노조의 50.8%가 기금을 적립하고 있으며 기금종류는 파업/쟁의기금(53.4%)이 가장 많고 후생기금 41.6%, 기타 목적부금 등이었다. 기금의 연간적립액은 1백만-1천만원이 50%로 가장 많고 1백만원미만이43%였으며 1억원이상은 1개사(0.2%)에 불과했다. 또 현재 기금적립총액은 1백만-1천만원이 51%로 가장 많고 1백만원미만이 38%, 1천만-1억원미만은 8% 순이다. 10억원이상을 적립한 기업은 1개기업밖에 없으며 현재 적립한 기금이없다고 대답한 조합도 17개(3%)나 됐다. 특히 조합원 1백-2백99명규모 노조의 경우 60%가 1백만-1천만원규모의기금을 적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의 기금규모가 노조의 교섭력을경제적으로 뒷받침할수 있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