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광고시장 민간개방 당분간 어려울듯

정부광고시장을 민간에 개방하라는 업계의 요구가 비등하고 있는 가운데정부는 이에대한 별다른 대안을 마련하지 않고 있어 업계의 불만이 높아가고있다. 11일 공보처의 한 관계자는 "정부광고에 민간 광고회사 참여를 허용한다는것은 기본방침"이라고 말하고 "그러나 정부광고대행의 수수료로 운영되고있는 국제문화협회에 대한 별도의 재원마련이 현재로서는 상당히 힘든상태"라고 밝혀 정부광고 시장개방은 당분간 실현이 어렵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이 관계자는 또 "국제문화협회가 문화부의 관장을 받고 있어 재원마련을위해서는 부처간 상당기간의 협회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제문화협회는 정부의 해외홍보를 담당하고 있는 사단법인 형태의 단체로재원의 90%가량이 정부광고대행 수수료로 채워지고 있다. 이에대해 업계측은 광고의 속성이 아이디어 창안에 의한 효과의 극대화에있음을 지적하면서 "민주화 자율화 시대에 정부 및 정부투자기관의 활동상황과 정책추진방향등을 고지가 아닌 설득력있는 광고로 해야할 필요가있다"고 지적하고 "이를 위해 정부광고에 광고전문인들이 참가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광고대행사측에서는 정부광고제작에는 일부 참여하고 있으나 실질적인수익분야인 매체대행수수료는 광고와는 무관한 국제문화협회가 수수하고 있어정부광고의 질적수준이 일반상업광고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요인이 되고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