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체 공동화 심각, 유휴노동력 활용돼야

임금상승,인력난,수익성 높은 서비스업종으로의 전환 등으로 제조업체공동화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사람을 구하지못해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엄청나게 드는 비용 때문에 자동화를 추진하지 못하는 업체들의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여성인력과 고령 노동력 등 유휴노동력의 활용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28일 경총이 국내 1백69개 제조업체를 상대로 조사한 제조업 고용실태와인력난 대처방안 에 따르면 산업시설의 해외이전 근로자들의 서비스업종으로의 전직 기업가들의 제조업포기등의 원인으로 제조업공동화의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한 업체가 68개사로 전체의 41%에 달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화학.고무가 73.3%로 공동화 어려움을 가장 심하게 겪는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전기.전자 53.3%,1차금속.기계 42.4%, 섬유33.3%, 자동차 및 부품관련산업 25.0% 등이었다. 제조업공동화의 이유로는 임금상승이 4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다음은 인력난(21%),서비스업종이 제조업보다 수익률이 높은 점(10%),노사분규(9.9%) 등의 순이었다. 기업들은 또 최근의 심한 인력난 때문에 자동화에 대한 관심을 크게보였는데 자동화를 이미 추진하고 있거나 계획중인 업체가 81%나 되는것으로 밝혀졌다. 인력난 해소를 위해 최근 거론되고 있는 해외인력 수입문제에 대해서는17%만이 찬성,대부분이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으나 인건비 비중이 높고인력난이 극심한 중소 기업과 섬유산업은 해외인력 수입을 적극 원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2-3년 후의 필요인력에 관한 질문에서 대기업은 이공계대학졸업자의 수요가 가장 많을 것으로 답한 반면 중소기업들은 공고졸업자에대한 수요가 가장 많을 것으로 응답했다. 이 보고서는 자동화가 추진된 업체는 기능직 인력이 남아돌고 있으나자동화를 추진하지 못한 섬유,봉제,전자분야 등의 중소기업들은 심각한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강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1백20만명으로추산되는 유휴노동력인 여성인력과 고령노동력을 활용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여성노동력 활용을 위해 탁아소시설을 확충하고 고령근로자의최저임금예외 적용제도를 도입하는 한편 선진국에서 성행되고 있는인력파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지적했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