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소비증가율 계속 높은 증가세...작년 최고수준

민간소비증가율이 지난 86년 이후 5년동안 계속 높은 수준을 지속,지난해에는 사상 최고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은이 발표한 "최근 소비지출의 특징과 변화내용"에 따르면민간소비증가율은 지난 86년 8%에 달한후 해마다 8-9%를 지속, 지난해에는10.2%로 사상최고 수준을 보였다. 이에따라 GNP(국민총생산)에서 민간소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 80년53.2%, 90년 53.9%로 다시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 소비지출은 가처분소득으로 나눈 평균소비성향도 그동안 하향추세를보여 88년에는 0.58로 낮아졌으나 89년 0.6, 90년 0.61로 다시 높아지고있다. 한은은 민간소비지출증가율이 지난 60-70년대에는 고성장에도 불구하고대개 7%이하의 낮은 수준에 그쳤다고 밝히고 민간소비증가율이 일시적으로8-9%를 기록했어도 지속기간은 1-2년에 지나지 않았다고 지적, 최근민간소비증가추세는 이례적이라고 지적했다. 재화형태별로는 내구재소비지출이 지난 86-89년중 연평균 22.3% 증가,전체 소비증가세를 주도했고 이/미용 외식 숙박 해외여행 목욕서비스등가계생활에 필수적이 아닌 선택적 지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이처럼 민간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원인으로 소득분배구조변화를 수반한 임금상승 부동산 주식등 자산가격의 급등 96년 이후국제수지흑자에 따른 유동성 규제의 완화 및 신용카드보급의 확대 재정의 복지기능강화 해외여행자유화등을 꼽았다. 따라서 한은은 급격한 소비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부동산투기억제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 불로소득의 발생을 억제하고 다양한 저축수단을개발해 가계자금소비로 흐르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