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면 톱 > 업계, 산업재산권 업무강화

업계가 지적재산권본부를 신설하는등 산업재산권관련업무를 강화하고있다. 25일 금성사는 현재 1실 6개팀 35명으로 구성된 특허실을 빠르면 내년중지적재산권본부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회사는 국내외 특허출원에 한정됐던이조직의 기능을 이같이 넓혀 해외기술정보입수및 분석등산업재산권관련업무를 총괄토록할 계획이다. 또 일본에만 내보낸 주재원도 미국 EC(유럽공동체)등 경제블록별과주요시장에 파견,기술정보습득과 현지기업과의 분쟁예방에 힘쓰고 본사안에특허데이터베이스(DB)를 갖출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1백18명의 특허전담요원을 갖고 있으나 해외기술정보의조기입수가 긴요하다고 보고 주재원을 내년초 각국에 보내 기술정보를 얻을예정이다. 이회사는 해외기술을 국내 R&D(연구개발)와 연계,경쟁력을높이며 특허정보의 전산화도 추진중이다. 또 미국의다이얼로그-일본의패트로이스등 외국의 정보판매및 제공기관과의 협조를 다져 신속하게첨단기술내용을 입수할 방침이다. 현대 대우등 주요대기업그룹도 산업재산권관련업무를 확대하고있다. 현대는 분야별 전문인력을 키우기위해 자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외국사와의 특허분쟁에 대비한 분쟁전문가,외국기술동향을 분석하는기술전문변리사등을 체계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대우 쌍용등도 전문가및요원들의 특허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을 실시중으로 직원들의특허지도(PM)_작성과 PM경진대회등을 분기별로 열고 있으며 직무발명제를확대,인사고과에 반영하고있다. 중소기업의 경우 중기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산업재산권분야 전문인력을양성,활용중이다. 업계의 이같은 움직임은 기술개발및 관리강화를 통해 로열티부담을 줄이고UR(우루과이라운드)이후의 개방경제체제에 대비하기 위한 자체노력으로풀이되고있다. 그러나 기업의 효율적인 특허관리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관련제도의정비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허청의 전산화 미비,심사기간의장기화,전문인력부족등이 특허관리의 장애요인이라고 업계는 지적하고있다. 특허관련 전담부서를둔 업체는 지난 6월말현재 6백49개사로 이들업체는1천7백85명의 전담요원을 갖고있다.